• 제목/요약/키워드: Installation prior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BRT 정류장 형태에 따른 버스 우선 신호 효과 분석: 세종시 한누리대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us Signal Priority Effect by BRT Stop Types: Focusing on Hannuri-daero, Sejong)

  • 김민지;한여희;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0-33
    • /
    • 2021
  • 현대 사회는 한정된 도로로 증가하는 교통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대중교통 장려 정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버스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치가 확대함에 따라 버스의 신속성 보장을 위한 우선 신호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버스 운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BRT 정류장 형태는 버스의 정지횟수를 증가시켜 버스 우선 신호 적용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시 한누리대로를 분석 대상지로 하여 BRT 정류장 형태에 따른 버스 우선 신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버스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류장 형태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버스 우선 신호는 일반 차량과 버스의 양방향 연동폭을 최대화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버스의 이중 정차를 야기하는 정류장에서 버스 우선 신호의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를 개선 후 우선 신호의 효율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도시에 BRT 정류장 설계 시 교통운영 측면을 고려한 올바른 정류장 형태의 근거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감천 유역 내 투수성포장과 빗물저류조의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설치 우선 순위 결정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permeable pavement and rain barrel in Mokgam stream basin and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ies)

  • 채승택;정은성;박인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05-91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목감천 유역에서 투수성포장(PP)과 빗물저류조(RB)의 설치에 의한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유역 내 설치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PP와 RB의 설치를 통한 최대 유출 저감 성능 도출을 위해 최적 설계인자를 결정했고, 최적 설계인자를 반영한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비교했다. 유출량의 시계열 변화로부터 첨두유출량 발생 전에는 PP가, 첨두유출량 발생 후에는 RB가 유출량 저감에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설치에 따른 소유역 별 총 유출량, 첨두유출량 저감 성능을 비교한 결과, PP의 경우 유역면적이 큰 소유역에서 RB보다 더 높은 우수 유출저감 성능을 나타냈고 RB는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더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결과를 통해 목감천유역 내 두 시설의 설치 우선 순위를 결정했다. 그 결과, PP와 RB 모두 유역면적,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소유역에서 높은 우선 순위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순위와 유역특성 간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상위 25%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나타낸 소유역에서는 불투수면적외에도 유역의 형상 인자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도심 지역에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우선 순위 결정 시 불투수면적 비율과 함께 유역의 형상 인자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Localization of solar-hydrogen power plants in the province of Kerman, Iran

  • Mostafaeipour, Ali;Sedaghat, Ahmad;Qolipour, Mojtaba;Rezaei, Mostafa;Arabnia, Hamid R.;Saidi-Mehrabad, Mohammad;Shamshirband, Shahaboddin;Alavi, Omid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79-205
    • /
    • 2017
  • This research presents an in-depth analysis of location planning of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s for electricity production in different cities situated in Kerman province of Iran. Ten cit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elect the most suitable loc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solar-hydrogen power plant utilizing photovoltaic panel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ology was applied to prioritize cities for installing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 so that one candidate location was selected for each city.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population, distance to main road, flood risk, wind speed, sunshine hours, air temperature, humidity, horizontal solar irradiation, dust, and land costare used for the analysi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among the candidates' cities, the site of Lalezar is ranked as the first priority for the solar-hydrogen system development. A measure of validity is obtained when results of the DEA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echnique for ordering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Applying TOPSIS model, it was found that city of Lalezar ranked first, and Rafsanjan gained last priority for installing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s. Cities of Baft, Sirjan, Kerman, Shahrbabak, Kahnouj, Shahdad, Bam, and Jiroft ranked second to ninth,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DEA model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OPSIS an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two methods produced similar results.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 is considered for installation in the city of Lalezar. It is demonstrated that installation of the proposed solar-hydrogen system in Lalezar can lead to yearly yield of 129 ton-H2 which covers 4.3% of total annual energy demands of the city.

경상남도 공공청사형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체계 구축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planning process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in the public building in Gyeongsangnam-do)

  • 이효정;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301-310
    • /
    • 2023
  • 환경부에서는 2013년부터 소규모 분산식 빗물 관리 방식인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설치비를 지원함에 따라 각 지자체의 GSI 조성 사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서울시를 제외하면, 각 지자체별 가이드라인, 추진체계 부존의 문제로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 및 우선 순위 설정, 시범 구역 GSI 적용 효과 검토를 수행하고 이를 통합한 추진체계 구축을 연구 결과로써 제안하고자 한다.

셀룰러 이동통신망의 적응성 가변경계에서 Overflow와 Preemption을 갖는 호 접속제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all Admission Control with Overflow and Preemption at Adaptive Moving Boundary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 노희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71-180
    • /
    • 2004
  •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고 있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핸드오프호의 절단을(CDP)과 신규 호의 차단을(CBP)을 호레델 QoS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있다. 망 서비스 사업자는 CBP보다 CDP에 관심을 두고 CDP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핸드오프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핸드오프호를 위한 채널의 크기에 따라 CDP는 감소시키지만CBP를 증가시키고 채널사용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셀의 채널용량을 신규호 채널영역과 핸드오프호 채널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토큰버킷으로 모델하여 큐잉이론을 적용함으로써 간략한 식으로 CDP 및 CBP를 구하고 이들로 구성된 서비스 등급을 정의하여 서비스 등급이 최소가 되는 핸드오프호 채널영역의 크기를 계산하여 측정기반 적응성 가변경계로 사용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인 트래픽 부하가 높을 경우 증가하는 CDP의 증가를 보완하는 호접속제어를 제안한다. 적응성 가변경계에서 CBP를 고려함으로써 발생된 CDP의 증가는 핸드오프호의 Overflow를 허용함으로써 보완하고 Overflow된 신규호 채널영역의 채널에 대해 신규호의 Preemption을 허용함으로써 CBP에 대한 Overflow의 영향을 제거하여 CDP의 증가를 억제하고 채널사용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미디어별 QoS에 따라 채널을 할당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에 미디어별 QoS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 및 민간 교통정보 공유에 따른 효율적인 국도 ITS 추진방향 (Direction To Propel Efficient National Highway ITS According to Public and Private Traffic Information Sharing)

  • 윤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26-534
    • /
    • 2022
  • 국토교통부에서는 2014년 8월 국가와 민간이 따로 추진하던 교통정보의 수집과 제공에 대한 투자효율 및 효과를 극대화 시기키 위해 민·관이 역할을 분담한 ITS 혁신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혁신방안의 주요내용은 교통정보의 민·관 공유로 소통정보는 민간이 수집하는 정보를 활용하고 국가는 공사, 사고, 기상악화 등 돌발상황과 같은 안전과 관련된 정보 수집에 집중하여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실시간 돌발 상황 제공에 한계가 있는 도로전광표지판 이외에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통해서도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공 및 민간 교통정보 공유에 따른 국도 ITS 추진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 일반국도 교통정보제공 사례 분석을 통해 민간 교통정보를 포함한 연계 교통정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교통정보제공 정확성 향상을 위한 연계 교통정보 우선순위 조정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ITS 운영구간에 대한 교통량 수준, 연계 교통정보의 가용성 등을 분석하여 ITS 수집장비의 운영 또는 철거여부를 검토하였고 아울러 해당사례를 토대로 ITS 수집장비 설치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배전지능화 시스템을 위한 배전계통 구분개폐기 교체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ization of Sectional Switchgear Replacement for Intelligent Distribution Automation in Distribution System)

  • 성인제;채희석;문종필;서인용;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51-58
    • /
    • 2015
  • Intelligent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cludes operating a switchgear of distribution system remotely when switchgear are not available to operate quickly.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interrupt time. It also aim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customers. Currently, Intelligent distribution automation improves the reliability by replacing manual switchgear, which is installed as sectional switchgear. However the prioritization of the replacement for the switchgear is required for its intellectualiza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with prioritization of switchgear replacement. Bu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and apply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That is because most of the studies just considers customer numbers for prioritizing the replacement. In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o determine the intelligent swichgear replacement priority considering customer number, load quantity and interruption cost. Further, this algorithm is verified by using system reliability index.

구역전기사업자로 분리된 배전계통의 신뢰도 평가 (Reliability of Distribution System Divided into Community Energy Systems)

  • 배인수;김진오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85-90
    • /
    • 2010
  • 본 논문은 기존 분산전원 신뢰도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여러 구역전기사업자로 인해 분산전원의 소유권과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 책임이 분리된 배전계통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도 해석기법을 제안한다. 구역전기사업자는 자신의 수용가에게 양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으므로, 계통사고시 자신의 분산전원 비상전력을 자신의 수용가에게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비상대책을 선호한다. 기존 신뢰도 해석기법에서는 하나의 운영주체가 모든 전력원과 전력망을 관리하기 때문에, 여러 구역전기사업자가 존재하는 계통운영 상황에서 분산전원의 소유권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는 해석결과는 실제 신뢰도 지수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논문의 사레연구에서는 RBTS 2번 모선에 2개의 구역전기사업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모의하였으며, 기존 기법과 제안된 기법의 신뢰도 지수 결과를 비교하여 제안된 기법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A Study of Luminous Environment for Standard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 이정은;최안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
    • /
    • 2005
  • 주거공간에서 빛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고 창조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환경요소이다. 특히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인공적으로 꾸며진 실내환경 속에서 인공적인 빛을 밝히고 생활하는데 익숙해 있다. 현재 주택에서의 빛환경은 공간마다 명시성 위주의 생활행위에만 기준을 두고 있어 평균조도가 증가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주거공간은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여러 생활행위가 행해지므로 이것에 대응시킬 수 있는 다양한 조도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에서의 빛의 본질을 파악하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간별 빛환경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의 조명평면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거조명환경에 적합한 조도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배전계통 광역 정전복구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Multi-Fault Restoration Algorithm for Distribution Network)

  • 정진수;이승재;정종욱;임용배;배석명;이건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9-77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의 정전복구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배전계통에서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정전복구가 완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친 정전구간을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을 연구하였다. 하나의 방안은 개별정전복구방안이며, 다른 하나는 종합정전복구방안이다. 이 방안은 복구지수를 이용하여 정전구간을 복구하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연계점 교환법을 이용하여 과부하구간을 해소함으로써 정전복구에 일조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