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sin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8초

어육의 가열조건에 따른 몇가지 정미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Some Taste Compounds of Fish Meat by Heating Conditions)

  • 심기환;이종호;하영래;최진상;이용수;주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9-204
    • /
    • 1995
  • 가열조건을 달리 하였을 때의 고등어, 꽁치, 조기 및 가자미의 핵산관련물질 및 유기염류(TMAO, TMA 및 총 creatinine)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시료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ino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적색육어 보다는 백색육어에서 그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열을 함으로서 hypoxanthin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성분들은 감소하였다. TMAO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생시료일 때에 31.1, 26.2, 49.4 및 58.5 mg%로 가자미에 있어서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가열을 함에 따라서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TMA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3.7, 5.8, 22.9 및 16.9 mg%로 나타났으며, 조기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서 TMAO가 환원되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총 creatinine의 함량은 341.2, 469.8, 52.3 및 87.6 mg%로 백색육어 보다는 적색육어에서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꽁치에서 가장 많았다. 가열을 함에 따라서 모든 시료에서 정미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 PDF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Acer mono Max.) and Kojesu(Betula costata T.) Saps)

  • 최선영;성낙주;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6
    • /
    • 2006
  • 기능성이 보완된 고품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간장 담금용 용수 대신에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담근 후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간장의 맛과 기능성과 관련이 있는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간장 숙성 중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및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에 sucrose가 검출되었다. 간장의 숙성 중 유리당은 불규칙한 함량 변화를 보였으나, 숙성 기간 중 모든 시료군에서 galactose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유기산은 butyr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반면에 fumaric acid는 미량에 분과하였다. 무기물은 모든 시료군에서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수액 간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Ca, Mg및 F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장 숙성 중 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185.6${\pm}$1.0${\sim}$363.0${\pm}$2.7 mg/100 ml)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순이었으며, proline과 argini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 관련 물질은 대조군과 시료군 모두 숙성 기간에 관계없이 AMP의 함량(7.5${\pm}$0.2 ${\mu}$mol/100 ml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inosine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 수액 간장, 거제수 수액 간장 및 대조군의 순으로 맛이나 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건조조건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핵산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 of Nucleotides, Free Amino Acids in Kwamaegi Flesh by Different Drying for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 오승희;김덕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9-255
    • /
    • 1998
  • 경북 동해안 일대의 전통 향토식품인 꽁치 과메기의 건조방법을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로 달리하여 각각 15일 건조기간 중의 핵산 관련물질,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핵산 관련 물질은 건조기간 중 ADP, AMP 함량은 서서히 감소한 반면 IMP함량은 증가하여 IMP 축적현상을 보였으며 건조기간 중 inosine과 hypoxanthi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K value의 변화는 건조과정 중 점차 증가하여 건조 중 핵산 물질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신선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산 물질의 변화에 의한 신선도 측면에서 인공건조가 자연건조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P 등의 조합에 의한 맛의 상승작용으로 과메기 특유의 맛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98이었으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34% 이상 차지하였다. 자연 및 인공건조동안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glutamic acid, histidine은 건조 3일째 이후부터 9일째까지 급속히 감소하였고 자연건조보다 인공건조의 감소가 더 크다. 자연 및 인공건조 중 lysine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threo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high-pressure processing on taste-related ATP breakdown compounds and aroma volatiles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Jang, Aera;Pak, Jae In;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36-1344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whether high-pressure processing (HPP) affected aroma developmen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umami taste-related ATP breakdown products, specifically inosinic acid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Methods: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obtained from six grass-fed Friesian Holstein steers (32 months old) on day 4 post slaughter were vacuum-packed and subjected to pressurization at 300 and 500 MPa for 180 s at $15^{\circ}C{\pm}2^{\circ}C$. The samples were then stored for 4 weeks at $5^{\circ}C{\pm}0.5^{\circ}C$ under vacuum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0.1 MPa). Results: HPP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promoted moisture loss and lipid oxidation, induced surface paleness, stabilized pH during aging, and reduced bacterial load and growth. The shear force value of 500 MPa-treated samples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after aging,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300 MPa-treated samples.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and inosine occurred during pressuriz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hypoxanthine content. However, the degradation rate in HPP-treated samples during aging was slower; therefore, inosinic acid and inosine content remained higher than in control sampl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ypoxanthine content at the end of aging. HPP intensified the levels of hexanal, octanal,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benzaldehyde, and 2,5-dimethylpyrazine in cooked-aged beef samples. Conclusion: HPP induced aroma development and delayed the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However, it also reduced the postmortem tenderization rate.

토하(土蝦) 및 젓새우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oha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Freshwater Shrimp) and Jeotsaeu (Acetes japonicus , Seawater Shrimp))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11-1118
    • /
    • 1996
  • 본 연구는 토하(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의 식품학적인 우수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품성분 중 맛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을 상세히 분석한 후 그 성분조정을 파악하는 한편,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바다에서 어획되는 젓새우(Acetes japonicus)에 대해서도 동일한 이화학 성분들을 분석하여 그 성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토하에 대한 맛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토하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 사이에 전남 나주군에서 양식된 것을, 그리고 젓새우는 1994년 12월과 1995년 11월 전남 신안군에서 어획된 것을 시료로하여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4급 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토하는 젓새우보다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이 높은 편이었고, 젓새우는 토하보다 homarine,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이 높은 편이었으며, creatine과 creatinine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미량으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토하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lysine, glutamine, glutamic acid, pheylalanine, leucine, alanine, asparagine, glycine 등이었고, 젓새우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glutamic acid, proline, glutamine, lysine, leucine, glycine, alanine, taurine 등이었다. 그리고 methionine, glutamine, valine 등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그 함량이 같은 수준이었다. 토하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핵산관련물질은 AMP였으며, 젓새우에서는 inosine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하는 맛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함질소 엑스성분들의 함량이 젓새우보다 높았기 때문에 식품학적으로 더 우수한 가공원료라고 판단되었다.

  • PDF

천연식물추출물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품질특성, 유통기한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Shelf-life, and Bioactivities of the Low Salt Squid Jeot-gal with Natural Plant Extracts)

  • 홍원준;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21-729
    • /
    • 2013
  • 본 연구는 염농도의 저하에 따른 저염 오징어젓갈의 유통기한 감소에 대하여 유통기한의 연장과 기능성 제품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천연식물추출물 첨가에 따른 저장기간별 품질특성, 최적발효기한, 유통기한 설정 및 생리활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첨가군 모두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pH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총균수 역시 증가하였다. 유통기한 및 최적발효기한은 Arrhenius equation의 결과에 따라 $10^{\circ}C$에서 대조구 34 및 28일, 월계수첨가 35 및 29일, 녹차첨가 34 및 30일, 솔잎첨가 34 및 29일 저장한 것이었다.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은 첨가군 모두가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등의 감칠맛,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맛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되었고, 핵산관련물질은 첨가군 모두 쓴맛을 나타내는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 inosine 및 정미성분인 IMP 순이었다. 관능검사결과 월계수첨가군이 종합적으로 가장 뛰어났다. 생리활성은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기능성 제품으로서의 상업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천연식물추출물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젓갈은 웰빙 등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현대인의 식기호에 적합한 식품으로 이용 가능하며, 젓갈의 고급화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가열 및 건조방법의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Taste Component and Microstructure of Shrimp)

  • 김현구;장영상;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78-285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핵산관련물질은 ATP,ADP,AMP,IMP, inosine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AMP는 흔적량 검출되었으나,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AMP 함량은 100g당 $23.5{\sim}45.7{\mu}mole$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열처리 및 건조에 의하여 ATP 및 ADP가 AMP로 분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ycine, lysine, proline, alanine등으로 이들 주요 아미노산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70%를 차지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생새우에서 건물 100g당 1,198mg이던 것이 끓인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342mg 및 503mg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가열처리시 수용성 아미노산이 용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를 가열처리 없이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가열처리나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보다 견고성 및 부서짐성이 높았으나 응집성과 검성은 낮았다.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에 비하여 근육섬유질의 조직이 부드러웠고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조밀한 망상조직과 다공질의 망상조직을 형성하였다.

  • PDF

전통 고추장의 맛성분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대관;임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156
    • /
    • 1996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조미식품인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담금 방법을 과학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전국의 각 가정에서 담은 55점의 전통 고추장을 수집하여 맛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유리당은 glucose $(8.21{\pm}5.62%)$와 maltose $(6.95{\pm}7.27%)$가 대부분이고 fructose $(1.88{\pm}1.27%)$와 sucrose $(1.05{\pm}1.21%)$가 소량 존재하였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 $(901.83{\pm}826.23\;mg%)$, citric acid $(484.16{\pm}242.89\;mg%)$, lactic acid $(381.63{\pm}367.88\;mg%)$ 함량이 많았고 acetic acid, oxalic acid, formic acid는 소량 존재하였다. 고추장 중의 총 유리 아미노산은 64.35 mg%이었으며, proline $(10.66{\pm}6.27\;mg%)$, glutamic acid $(9.27{\pm}10.97\;mg%)$, aspartic acid $(9.14{\pm}5.84\;mg%)$, lysine $(6.19{\pm}6.66\;mg%)$, serine $(5.72{\pm}3.79\;mg%)$함량이 많았다. 핵산 관련물질은 CMP가 $42.90{\pm}28.16\;m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hypoxanthine $(6.86{\pm}3.45\;mg%)$, IMP $(5.59{\pm}5.84\;mg%)$, inosine $(4.58{\pm}6.91\;mg%)$, GMP $(3.36{\pm}3.93\;mg%)$순이었으며 AMP나 UMP는 소량 존재하였다.

  • PDF

동물복지 사육환경이 두 육계 품종의 가슴육 및 다리육의 대사체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imal-Welfare Environment on the Metabolomic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 from Two Broiler Strains)

  • 이동헌;정종현;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9-253
    • /
    • 2021
  • 본 연구는 Cobb종 및 Ross 308종 육계가 동물복지 사육환경에 따라 나타내는 대사체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반농장과 동물복지농장(사육면적, 사육밀도, 암모니아 농도, 볏짚 등 제공)에 1일령의 Cobb종 및 Ross종 육계를 35일간 사육하고, 도계 후 가슴육과 다리육을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사체 분석은 one-dimensional 1H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였고, 직교부분최소자승판별분석(OPLS-DA)과 대사경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OPLS-DA 결과 육계 가슴육은 Ross종에 한하여 사육농장간 뚜렷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동물복지농장 유래 Ross종 육계 가슴육은 acetate, anserine, creatine, inosine monophosphate 함량이 일반농장 닭가슴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면 육계 다리육은 OPLS-DA 결과 Cobb종 육계에서만 사육농장에 따른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glucose와 lactate를 포함한 5종의 대사체 함량은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에 높았으나 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한 9종의 대사체 함량은 낮았다(P<0.05). 대사경로 분석 결과 Ross종 육계 가슴육에서는 4종, Cobb종 육계 다리육에서는 glycolysis/gluconeogenesis를 포함한 20종의 대사경로에서 사육농장 간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다.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Ross종 육계 가슴육과 Cobb종 육계 다리육은 일반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와는 다른 대사체학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풍미 물질에의 뚜렷한 차이를 보여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Effects of β-glucan with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pork quality, pork flavor, and economic benefit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 Tae Wook Goh;Hong Jun Kim;Kunyong Moon;Yoo Yong Kim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929-94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β-glucan with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pork quality, pork flavor, and economic benefit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Methods: A total of 140 growing pigs ([Yorkshire×Landrace]×Duroc)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considering sex and initial body weight (BW) in 4 replications with 7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included a corn-soybean meal-based basal diet with or without 0.05% or 0.1% β-glucan and 0.02% vitamin E. The pigs were fed the diets for 12 weeks (phase I, 0 to 3; phase II, 3 to 6; phase III, 6 to 9; phase IV, 9 to 12). The BW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at the end of each phas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each phase. Four pigs from each treatment were selected and slaughtered for meat quality. Economic benefit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total feed intake and feed price. Pork flavor was analyzed through inosine monophosphat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when β-glucan or vitamin E was added. Supplementing 0.05% β-gluc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ymphocyte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addition of 0.1% β-glucan and the content of vitamin E in the blood increased when 0.02% vitamin E was added. The treatment with 0.1% β-glucan and 0.02% vitamin E showed the most economic effect because it had the shortest days to market weight and the lowest total feed cost. The addition of β-glucan or vitamin E had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 flavor of pork when considering that the content of inosine monophosphate was increased. However,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were not affected by β-glucan or vitamin E. Conclusion: The addition of 0.1% β-glucan with 0.02% vitamin E in growing and finishing pig diets showed great growth performance and economic effects by supplying vitamin E efficiently and by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of pigs due to β-glu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