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culated seedling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인공접종한 소나무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비탈면의 녹화가능성 (Potentials for reforestation on forest fire-damaged slope land by transplanting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oculated artificially with Pisolithus tinctorius)

  • 정주해;이종규;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99-107
    • /
    • 2003
  • 모래밭버섯 (Pisolithus tinctorius)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와 접종하지 않은 소나무를 6개월간 육성하여 산불훼손지에 식재 3개월후에 묘목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는 3.5%만이 고사하였으나, 균근균 무접종 소나무 묘목는 29.5%만이 생존하였다.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 실생묘의 뿌리에 Y분지형의 균근이 형성되었고, 균근 형성율은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에는 약 82%,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52%로 나타났다.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을 무접종 소나무묘목에 비교하였을 때 3개월.6개월.9개월 경과시 체장은 각각 63%.35%.18%, 생중량은 각각 206%.114%.70%, 건중량은 각각 187%.109%.63% 높게 나타났고, T/R율은 산출한 결과 9개월 경과시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은 1.75,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1.90으로 모래밭버섯 균근균접종 묘목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균형있게 촉진되었다.

  • PDF

Picea mariana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는 Kalmia angustifolia 에 대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영향(影響) (Overcoming Kalmia-Induced Growth Inhibition of Picea mariana by Mycorrhizal Inoculation)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29-444
    • /
    • 1998
  • Picea mariana 생장을 억제하는 Kalmia angustifolia에 영향을 주는 외생근균을 조사 선발하였다. 11개 외생근균중에서 19계통을 선발하여 Kalmia 잎침출물이 들어있는 배지에 P. mariana 치묘와 함께 근균을 접종하여 자라는 형태와 생장양상을 조사하였다. Kalmia 잎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서는 균사의 건중량을, 한천배지에서는 코로니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9개 균주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나머지 10개 균주에서는 반대로 증가되거나 Kalmia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배지의 pH가 3-4일 때는 생장을 억제 받는 근균도 있었으나 pH와 잎침출물을 조합한 조건하에서는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다. 분리된 13개 계통은 순수배양에서 Kalmia 잎침출물 25%와 함께 배양한 P. mariana에서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Paxillus involutus(NF4), Cenococcum geophilum(GB12), Laccaria laccata(GB23), E-strain(GB45)계통에서는 Kalmia 잎추출물 50%에서 배양한 결과 다른 계통보다 많은 외생근균이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근균을 미리 접종한 P. mariana를 Kalmia 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후 온실 안에서 4개월동안 Kalmia와 갈이 재배하였다. P. involutus, L. laccata 와 E-strain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많은 근균(흡수근외 77-91%)이 형성되었으나 C. geophilum를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근균이 비교적(흡수근의 32%) 적게 형성되었다. 외생균근이 대부분의 치묘에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근균의 90% 이상이 접종근균에서 생겨났다. 근균의 지속적인 생장은 살아있는 Kalmia 식물개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involutus, L.laccata와 E-strain과 같이 처리한 치묘 근균의 80% 이상과 C. geophilum을 처리한 치묘 근균의 53%가 접종된 균주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에서는 토착균주에 의해 약 45%의 짧은 뿌리의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L. laccata와 C. geophidum는 Kalmia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치묘의 근균행성을 촉진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경우 근균형성율은 pH5보다 pH4에서 4-15% 더 낮았으며 L. laccata를 접종한 경우 심하게 억제되었다. P. involtus에 접종한 치묘는 L. laccata를 E-strain를 접종한 치묘보다 줄기와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involtus와 L. laccata를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의 치묘보다는 건중량이 많고 키가 훨씬 컸다. E-strain에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1차 측근 수가 매우 작았으며 줄기 건중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형질, 예를 들면 흡수근, 뿌리 건중량, 수고 등은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 geophilum에 접종한 치묘는 1차 측근수를 제외한 다른 생장 특징에서는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PDF

Early Disease Development and Stem and Leaf Water Content in the Seedlings of Pinus koraiensis Inoculated with Pinewood Nematodes in a Greenhouse

  • Woo, Kwan-Soo;Yoon, Jun-Hyue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41-246
    • /
    • 2009
  •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 five-needle pine, has recently been suffering pine wilt disease caused by non-nativ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ree-year-old Korean pine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10,000 pathogenic nematodes in a greenhouse to investigate disease development, water content and the density of nematodes in stems. Needle dehydration, xylem drying and pith browning started 20 days after inoculation (DA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edlings inoculated with nematodes and control seedlings in the relative water content of stems and leaves at 20 and 30 DAI. At 60 DAI, all remaining seedlings inoculated with nematodes had died, but control seedlings all remained alive. The average number of nematodes recovered from stems of Korean pine dramatically increased from 10 to 20 DAI, and then decreas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t 60 day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lative water content of stems and leaves in current-year branches could be used as a useful physiological indicator for early diagnosis of pine wilt disease.

Effects of Ectomycorrhizal Fungi on Growth of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 Sim, Mi-Yeong;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191-195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effects of ectomycorrhizal fungal (ECMF) species on the growth of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and the effects of ECMF diversity on plant productivity. A total of five species of ECMF were isolated from root tips of pine seedlings collected from Mt. Songni and used as inocula. Pots containing pine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either a single ECMF species or a mixture of five ECMF species. All of the seedlings formed ECM on their roots except for the control plants. The pine seedlings' growth responses varied by the different ECMF species. Also,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a mixture of five ECMF species showed the highest growth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olonization of diverse species of ECMF will increase plant productivity, and the selection of suitable ECMF specie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plant growth.

Cu를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Pisolithus tinctorius균(菌)을 접종(接種)한 곰솔유묘(幼苗)의 외생균근발달(外生菌根發達)과 생장(生長) (Ectomycorrhizal Development and Growth of Pinus thunbergii Seedlings Inoculated with Pisolithus tinctorius(KJ-1) in Copper Treated Soil)

  • 오광인;위계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9-339
    • /
    • 1996
  • 곰솔(Pinus thunbergii)유묘(幼苗)에 Pisolithus tinctorius(Pt., KJ-1)를 접종(接種)하고 $CuCl_2$용액을 0, 40, 120, 260, 430ppm 농도(濃度)로 처리수준(處理水準)을 달리하여 균근형성(菌根形成)및 발달(發達), 유묘생장(幼苗生長),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생장(生長) 시기별(時期別)(6월(月) 1일(日), 7월(月) 1일(日), 8월(月) 1일(日), 9월(月) 1일(日), 10월(月) 1일(日), 11월(月) 1일(日))로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곰솔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은 균근접종구(菌根接種區)가 비접종구(非接種區)보다 높았다. 곰솔유묘(幼苗)의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은 고농도(高濃度)로 갈수록 현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Pt. 균(菌)의 Cu 내성조사(耐性調査)를 위해 실시한 MMN Agar평판배지실험(培地實驗)에서도 고농도(高濃度)로 갈수록 생장(生長)이 감소(減少)하였다. 2. 곰솔유묘(幼苗)의 묘고생장(苗高生長)에서 접종구(接種區) 40ppm구(區)와 120ppm구(區)에서 생장효과(生長效果)가 크게 나타났으며, 비접종구(非接種區) 430ppm구(區)에서 가장 저조(低調)했다. 3. 균근(菌根)의 외부형태(外部形態)는 0, 40ppm구(區)에서는 monopodial type, fern-like type, cluster-like type이 나타났으나, 260, 430ppm에서는 monopodial type만이 나타났다. 4. 접종구(接種區)에서 근(根)길이, 유기엽(幼期葉)의 수(數), 유기엽(幼期葉)의 총(總)길이, 총건중량(總乾重量), 본엽수(本葉數), 본엽총(本葉總)길이 등(等)이 비접종구(非接種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一般的)으로 접종구(接種區) 40, 120ppm구(區)에서 생장효과(生長效果)가 크게 나타났다. 5. 곰솔유묘(幼苗) 생육배지(生育培地)인 토양분석(土壤分析) 결과(結果)는 pH, Na, CEC는 고농도(高濃度)로 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有機物), P, K, Ca, Mg는 40, 120ppm구(區)에서 감소(減少)하였다. 토양내(土壤內) Cu 분석결과(分析結果) 0ppm구(區)에서는 접종구(接種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농도(高濃度)로 갈수록 뚜렷하게 비접종구(非接種區)에서 높은 함량(含量)이 나타났다. 6. 지상부(地上部) 분석결과(分析結果) 접종구(接種區)에서 전질소(全窒素), P, K의 흡수(吸收)가 많았고, 비접종구(非接種區)에서 Cu 흡수(吸收)가 많았다. 지하부(地下部) 분석결과(分析結果) 전질소(全窒素)는 생장(生長)이 좋은 40, 120ppm구(區)에서 많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P은 비접종구(非接種區)보다 접종구(接種區)에서 아주 높은 흡수(吸收)가 있었고, Cu는 비접종구(非接種區)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지상부(地上部)보다 지하부(地下部)에서 현저(顯著)하게 높은 Cu 함량(含量)이 나타났다.

  • PDF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과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졸참나무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Ectomycorrhizae ans Nitrogen Levels on the Growth of Quercus serrata Seedlings)

  • 오광인;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60-167
    • /
    • 1989
  • 졸참나무 묘목(苗木)을 대상(對象)으로 모래밭버섯균(菌)의 접종유무(接種有無)와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에 따른 균근발달(菌根發達), 묘목생장(苗木生長) 및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평균(平均) 균근(菌根) 형성율(形成率)은 61.75%로 나타났으며 질소수준(窒素水準)에 따라서는 $300{\mu}g/ml$에서 가장좋은 반응(反應)을 보였다. 2) 뿌리발달(發達)에 있어서 균근균(菌根菌) 접종구(接種區)는 세근수(細根數), 일차측근수(一次側根數) 그리고 전체(全體)뿌리길이가 각각(各各) 평균(平均) 34.3%, 30.7%, 17.2% 증가(增加)하였다. 3) 균근균(菌根菌) 접종(接種)이 묘고(苗高), 엽면적(葉面積), 총건중(總乾重), 그리고 부피생장(生長)에 유리(有利) 하였으며 비접종구(非接種區)에 비(比)해 각각(各各) 평균(平均) 26.9%, 52.3%, 31.7%, 85.7%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대부분(大部分)의 묘목생장(苗木生長)은 질소(窒素) $300{\mu}g/ml$ 수준(水準)에서 가장 좋았다. 4) 균근균(菌根菌) 접종묘목(接種苗木)은 비접종묘목(非接種苗木)에 비해 N. P. K. Ca등(等)의 무기양분(無機養分) 흡수(吸收)가 촉진(促進) 되었으며 묘근발달(苗根發達)과 묘목생장(苗木生長)에서와 같이 균근균(菌根菌) 접종구(接種區)의 $300{\mu}g/ml$ 수준(水準)에서 가장 많은 양료흡수(養料吸收)를 촉진(促進)시켰다.

  • PDF

외생균근(外生菌根) 및 토양조건(土壤條件)이 리기다소나무 균목생장(菌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Ectomycorrhizae and Soil Condition on Growth of Pinus rigida Seedlings)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45-54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균근균(菌根菌) 접종묘(接種苗)[모래밭버섯균(菌)(Pisolithus tinctorius), 사마귀버섯균(菌)(Thelephora terrestris)]와 무처리(無處理) 묘목(苗木)을 이용(利用)하여 인산수준(燐酸水準)과 수분(水分) 조건(條件)에 따른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및 양료흡수(養料吸收)에 미치는 균근(菌根)의 효과(效果)를 측정(測定) 조사(調査)한 것으로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근원경(根元徑) 생장(生長)은 습구(濕區)에서가 건구(乾區)에서보다 2.7배 생장(生長)이 컸다. 2) 건구(乾區)에서는 모래밭버섯균(菌) 처리(處理) 묘목(苗木)의 물질생산(物質生産)은 평균 26% 증가하고, 무처리(無處理) 묘목(苗木)은 72% 증가하여 모래밭버섯균(菌) 처리(處理) 묘목(苗木)이 무처리(無處理) 묘목(苗木)보다 순물질생산량(純物質生産量)이 적었다. 3) 순물질생산량(純物質生産量)에 있어서 건구(乾區)에서보다 습구(濕區)에서 4배 증가했으나 인산(燐酸) 시비수준(施肥水準)은 순물질생산량(純物質生産量)에 영향이 없었다. 4) 모래밭버섯균(菌) 처리(處理)는 습구(濕區)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가리(加理)의 양과(養科) 흡수(吸收)의 효과(效果)가 뚜렷이 나타났는데 무처리(無處理) 묘목(苗木)에 비하여 각각 1.9배, 1.8배, 1.5배의 흡수(吸收)가 촉진(促進)되었다. 5) 모래밭버섯균(菌) 처리(處理) 묘목(苗木)은 인산(燐酸)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증가함에 따라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이 많았으나 무처리(無處理) 묘목(苗木)에서는 인산(燐酸) 시비수준(施肥水準)의 증가가 인산(燐酸) 흡수(吸收)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6) 모래밭버섯균(菌) 처리(處理) 묘목(苗木)은 인산(燐酸)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증가함에 따라 가리(加理)의 양과(養科) 흡수(吸收)를 촉진(促進)시켰다.

  • PDF

Pt균(菌)의 인공접종(人工接種)에 의(依)한 상수리나무 분묘(盆苗)의 생장(生長)과 외생균근발달(外生菌根發達) (Growth and Ectomycorrhizal Development of Container-Grown Quercus acutissima Seedling Inoculated with Pisolithus tinctorius)

  • 오광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10-16
    • /
    • 1984
  • Pt균계(菌系)를 증식배양후(增殖培養後)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상수리나무 분묘(盆苗)는 온실내(温室內)에서 자랐으며, 외생균근(外生菌根) Pt가 상수리나무 분묘(盆苗)의 생장(生長)과 발달(發達)에 지대(至大)한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본(本) 실험(實驗)의 3가지 처리중(處理中) Pt 접종분묘(接種盆苗)는 일차측근(一次側根)의 수(數)와 길이, 수고생장(樹高生長), 근부직경(根部直經), 엽면적(葉面積)의 발달(發達)에 현저(顯著)하게 나타나는 유의적인(有意的)인 인자(因子)였다. 그러나 균근(菌根)을 접종(接種)하지 않은 상수리나무 분묘(盆苗)는 외생균근(外生菌根)의 형성(形成)을 볼 수 없었다. 또 Pt 접종분묘(接種盆苗)에 있어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접종(接種)은 71.1%였으며, 대부분 외생균근(外生菌根)은 분(盆)의 상부(上部)와 하부(下部)보다는 분(盆)의 중앙부위(中央部位)에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수분 스트레스가 루브라오리나무 묘목의 균근발달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tress on Ectomycorrhizal Development and Growth of Alnus rubra Seedlings)

  • 구창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2-309
    • /
    • 2001
  • 수분 스트레스가 루브라오리나무(Alnus rubra) 묘목의 균근(Alpova diplophloeus) 발달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일 주기의 수분 스트레스를 10주 동안 처리한 결과 A. diplophloeus 균근의 형성, 묘목의 생리활동 및 생장이 감소하였다. A. diplophloeus 균근균이 접종된 묘목과 접종되지 않은 묘목은 수분 스트레스에 관계없이 생리활동이나 생장에서 차이가 없었다. 질소고정활동은 탄소동화작용보다 수분스트레스에 덜 민감하였다. 이 결과는 수분스트레스 상태에서 A. diplophloeus 균근은 오리나무의 적응도(fitness)에 기여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 PDF

Effectiven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Perilla

  • Wee, Chi-Do;Sohn, Bo-Ky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8-416
    • /
    • 2010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MF on the growth of horticultural crops, we compared mycorrhizal and non-mycorrhizal plants, perilla (P. frutescens Britt.), that were inoculated with AMF propagules. In the early stages of growth of perilla, compared to the AMF- perilla seedlings, in AMF+ perilla seedlings at 3 weeks after sowing, leaf length and width increased 17% and 29%, leaf area increased 28%, and shoot fresh weight increased 33%, root total length increased 1%,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3%. Further at 10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 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leaf area increased 21% and 19%, shoot length increased 19% and 17%,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7% and 20%,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5.1% and 4.8%, respectively. Moreover, at 14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16% and 20%,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6% and 17% significantly. Further, leaf fresh weight increased 9% and 11%, shoot diameter increased 4.5% and 7.3%,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1.5% and 2.5%, respectively. The levels of many macronutrients and micronutrients were tend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AMF+ plants than in AMF- plants, suppor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MF and enhanced growth of plants grown from AMF+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