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ve pharmaceutical approach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Protein Drug Oral Delivery: The Recent Progress

  • Lee, Hye-J.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572-584
    • /
    • 2002
  • Rapid development in molecular biology and recent advancement in recombinant technology increase ident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potential protein drugs. Traditional forms of administrations for the peptide and protein drugs often rely on their parenteral injection, since the bioavailability of these therapeutic agents is poor when administered nonparenterally. Tremendous efforts by numerous investigators in the world have been put to improve protein formulations and as a result, a few successful formulation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sustained-release human growth hormone. For a promising protein delivery technology, efficacy and safety are the first requirement to meet. However, these systems still require periodic injection and increase the incidence of patient compliance. The development of an oral dosage form that improves the absorption of peptide and especially protein drugs is the most desirable formulation but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in the pharmaceutical field. The major barriers to developing oral formulations for peptides and proteins are metabolic enzymes and impermeable mucosal tissues in the intestine. Furthermore, chemical and conformational instability of protein drugs is not a small issue in protein pharmaceuticals. Conventional pharmaceutical approaches to address these barriers, which have been successful with traditional organic drug molecules, have not been effective for peptide and protein formulations. It is likely that effective oral formulations for peptides and proteins will remain highly compound specific. A number of innovative oral drug delivery approache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including the drug entrapment within small vesicles or their passage through the intestinal paracellular pathway. This review provides a summary of the novel approaches currently in progress in the protein oral delivery followed by factors affecting protein oral absorption.

Immunopreventive Effects against Murine H22 Hepatocellular Carcinoma in vivo by a DNA Vaccine Targeting a Gastrin-Releasing Peptide

  • Meko'o, Jean Louis Didier;Xing, Yun;Zhang, Huiyong;Lu, Yong;Wu, Jie;Cao, Rongyu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9039-9043
    • /
    • 2014
  •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innovative alternative therapies for liver cancer. DNA vaccines for hormone/growth factor immune deprivation represent a feasible and attractive approach for cancer treatment. We reported a preventive effect of a DNA vaccine based on six copies of the B cell epitope GRP18-27 with optimized adjuvants against H22 hepatocarcinoma. Vaccination with pCR3.1-VS-HSP65-TP-GRP6-M2 (vaccine) elicited much higher level of anti-GRP antibodies and proved efficacious in preventing growth of transplanted hepatocarcinoma cells. The tumor size and weight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vaccine subgroup than in the control pCR3.1-VS-TP-HSP65-TP-GRP6, pCR3.1-VS-TP-HSP65-TP-M2 or saline subgroups. In addition, significant reduction of tumor-induced angiogenesis associated with intradermal tumors of H22 cells was observed. These potent effects may open ways towards the development of new immunotherapeutic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PET-Based Molecular Nuclear Neuro-Imaging

  • Kim, Jong-Ho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0
    • /
    • 2004
  • 분자영상은 살아있는 개체의 몸 속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나 특정한 표적분자를 비관혈적이며 반복적으로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기본 요소가 요구되는 바 하나는 관심 생물현상에 의해 농도나 분광특성이 변하는 분자영상용 추적자이며 다른 하나는 이런 추적자를 모니터링하는 장비이다. 분자 핵의학 영상기술은 이제 신경과학분야에서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신경관련 기초연구나 뇌질환 관련 신약개발에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살아있는 개체에서 약제 투여가 뇌에 미치는 약물학적, 생리적 영향을 조사하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각종 뇌질환에서 특이적 표적을 공략하는 새로운 분자치료가 개발되어 뇌질환 치료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 예로, 파킨슨씨 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자가수선, 신경보호, 약물분비 치료, 성장인자와의 병행치료 등이 개발되고, 유전자 치료도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신경 분자 핵의학 영상은 이와 같은 새로운 뇌질환 치료기술의 개발에 있어서 뇌 안에서 일어나는 분자수준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련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자생 염생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다재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항생물막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Native Korean Halophyte Extracts and Their Anti-biofilmActivity agains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은성;박정우;문기환;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15-1024
    • /
    • 2023
  • 항생제는 인간을 비롯한 가축 및 어류의 세균성 감염 질환의 치료에 크게 기여해 왔으나, 그 오남용으로 인해 많은 다제약제 내성균의 등장을 야기하였다. 최근, 항생제 내성균의 제어를 위한 새로운 항생물질 소재 발굴 및 신약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생식물은 염분이 높은 토양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산화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염분에 대한 적응으로 독특한 대사과정을 통한 특이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항생제의 오용 및 남용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증가해 천연물질을 활용한 새로운 신약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세균의 생물막 형성은 적대적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적응 및 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인식되며, 감염성 세균의 경우 숙주 내 부착 및 집락화를 위한 주요병원성 인자로 여겨진다. 특히, 생물막을 형성한 세균은 항생제에 대해 더 큰 내성을 보이며 쉽게 죽지 않아 치료가 더욱 어려워진다. 부유성 세균은 다양한 외부 환경을 인식하여 표면 부착을 통한 생물막 형성이 유도되는데 산화적 스트레스는 이를 유도할 수 있는 주요 신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항산화제와 같은 산소 스트레스 조절 효과를 갖는 화학 물질은 세균의 생물막 형성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종의 국내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 나아가 Acinetobacter baumannii ATCC 17978균주에 대한 항생물막 효과 및 세포 독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해국, 통보리사초, 해당화, 천문동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와 항생물막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 역시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국내 자생 염생식물 유래 항산화 물질의 항생물막 활성을 함께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천연물 유래 신약 후보군을 제시하고 향후 다제약제 내성균의 제어를 위한 의약 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