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work behavio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초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의 커리어 야망과 자기자비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Ambition and Self-Compassion on Innovation Work Behavior of CEOs and Executives of SMEs)

  • 최진숙;황금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9-158
    • /
    • 2018
  • 중소기업의 혁신의 주체가 최고 경영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최고 경영자 개인수준의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최고 경영자의 심리적 특성 중 동기부여 변인인 커리어 야망과 긍정심리자본을 그리고 개인의 심리적 성장과 잠재력 발휘를 나타내는 정서지능 요인인 자기자비와 자기초월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동차 부품 및 제조업 중심의 중소기업 CEO와 임원을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지 238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들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리어 야망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최고 경영자의 자기자비는 자기초월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최고 경영자의 자기초월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의 커리어 야망, 긍정심리자본, 자기자비, 자기초월,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자기초월이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Examining the Effects of Perceived Innovation Climate on Job Calling and Extra-Role Behaviors: Mediation Analyses

  • Tan, Hooi Kung;Lee, Sunhee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13-140
    • /
    • 2019
  • Experiencing work as a calling has been associated with various positive work-related attitudes and outcomes.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related to job calling; however, gaps remain in the literature on how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may lead to the formation of employees' job calling. We focused on psychological climate of innovation as the predictor of employees' job calling and further investigated its effect on extra-role behaviors, including innovative work behavior (IWB)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 total of 165 Malaysian employees from diverse industrie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We found support for the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association between a psychological climate of innovation and increased extra-role behaviors through increased job calling. Altogether, these findings provided new insights into the important role of innovative climate on employees' job call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job calling on extra-role behaviors within occupational sett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다중매개효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 윤병선;김미연;김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31-245
    • /
    • 2022
  • 인간은 살아가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직장생활을 통하여 삶을 이어간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행동, 혁신행동, 스마트워크 환경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효과, 다중집단 분석과 스마트워크 환경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7번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잡크래프팅은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행동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지식공유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혁신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스마크워크환경의 조절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종합병원 지식근로자의 지식공유 의도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n General Hospitals)

  • 이현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3-2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workers' knowledge sharing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in general hospitals. This study is based on factors of knowledge sharing such as incentives, reciprocal benefits,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CEO's support, rewards system, IT system, and trust. Data were assessed using 148 workers who work in 3 hospitals in Seoul, Kyunggi, Chunkcheong-do.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pril 1 to 31 in 2013 and analyzed SPSS 18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s well as innovation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ehavioral control and IT system. Seco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urned out to be positive effect for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identified a couple of factors affecting workers' knowledge sharing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innovation behavior. The the implications of these factors are discussed and areas for developing hospital's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are fostered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innovation behavior.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조직문화 유형 인식 및 조직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Job Satisfaction on Nurses' Innovation Behavior in a University Hospital)

  • 한윤자;이상규;권호장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77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job satisfaction on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nov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8 respondent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 City.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developmental, group, rational, hierarchical),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innovation behavior were analyzed by univariate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effects of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with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 of general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was 3.33 (p=.58) and that of managers was 3.53(p=.64). For general employe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novation behavior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or manag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novation behavior fo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duration of work.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behavior of general employees were developmental culture( =.297, ${\beta}$ p<.01), group culture (${\beta}$=.184, p<.01) and job satisfaction(${\beta}$=.148, p<.05). And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behavior of managers were developmental culture(${\beta}$=.181, p<.01), rational culture(${\beta}$=.171, p<.01) and group culture(${\beta}$=.408, p<.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 hospital nurses'innovation behavior.

  • PDF

중소기업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근무경력과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of SMEs: Focused on the Moderate Effect of Work Experience and Rank)

  • 김인권;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75-89
    • /
    • 2019
  • 중소기업의 경우 최소인원으로 핵심기능만을 조직화한 창업이 늘어나고, 핵심기능에 집중하는 책임경영 체제가 강조되면서 기업의 혁신행동과 생존전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 자본과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진하기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조직원을 대상으로 탐색적 조사 실시와 문헌연구를 통해 변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실제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서를 작성하여 총 배포된 600부 중 545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여, 통계 프로그램 SPSS 21.0과 amos18.0 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제품다각화, 전략수립, 연구개발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시장다각화는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근무경력은 제품다각화, 시장다각화, 전략수립 및 연구개발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인 직급은 제품다각화, 시장다각화, 전략수립 및 연구개발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품다각화, 시장다각화 전략수립 및 연구개발과 조직의 혁신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관리자가 주도적으로 조직원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론 및 시사점을 논의한 후,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소벤처기업 스마트워크 특성이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와 세대 간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 Work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e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 Digital Literacy and Intergenerational Moderation Effect)

  • 정호정;박현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37-5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벤처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 특성요인 중 지식공유행동, 자기효능감, 팀 협업, 직무자율성이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별/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고, 중소벤처기업의 조직혁신에 반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 지식공유행동과 팀 협업은 조직혁신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자기효능감, 직무자율성은 조직혁신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팀 협업에서 차이를 보였고, 세대별로는 지식공유행동과 자기효능감, 팀 협업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혁신성의 중요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세대별/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에 따른 스마트워크 특성과 조직혁신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차별적인 역량개발과 활용방안을 강구하여야 조직혁신이 강화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지원이 종합병원 직원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Support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 이지우;김종우;김일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68
    • /
    • 2003
  • In the model tested here, individual innovative work behavior is considered as the outcome of two antecedent factors-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riable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re analyzed form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89 employees in five general hospital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ree dimensions of empowerment-meaning, competence, and impact, and supports from organizational cultur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work behavior whereas the effects of choice dimension of empowerment and managerial supports a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and innov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dividual members' innovative work behavi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홍지웅;홍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69-180
    • /
    • 2020
  •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련의 통계분석을 통해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주요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교사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명확히 하고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의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소명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성장 균형(WGB:Work-Growth Balance)은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가?: Process Macro를 활용한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Does WGB (Work-Growth Balance) Improve Innovative Behavior?)

  • 탁경운;서상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54-780
    • /
    • 2017
  •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WLB:Work-Life Balance)의 한 영역인 일 성장 균형(WGB: Work-Growth Balance)이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 및 조직 내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이 일 성장 균형(WGB)과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 그리고 창의적 노력으로 나타났고 대인조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역시 일 성장 균형(WGB)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였다. WGB와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 성장 균형(WGB)이 대인조화, 창의적 행동 및 혁신행동 간에는 시너지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일 성장 균형(WGB)에 대한 연구와 일 성장 균형(WGB)과 혁신행동에 이르는 좀 더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일 가정 균형, 일 여가 균형에 대한 추가 연구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