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ate Immunity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1초

Immune-triggering effect of the foodborne parasite Kudoa septempunctata through the C-type lectin Mincle in HT29 cells

  • Shin, Ji-Hun;Yang, Jung-Pyo;Seo, Seung-Hwan;Kim, Sang-Gyun;Kim, Eun-Min;Ham, Do-Won;Shin, Eun-Hee
    • BMB Reports
    • /
    • 제53권9호
    • /
    • pp.478-483
    • /
    • 2020
  • Kudoa septempunctata is a myxozoan parasite that causes food poisoning in individuals consuming olive flound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ly insufficiently elucidated early molecular mechanisms of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intestine owing to parasite ingestion. After Kudoa spores were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HT29 cells were exposed to spores identified to be alive using SYTO-9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or to antigens of Kudoa spores (KsAg). IL-1β, IL-8, TNF-α and NFKB1 expression and NF-κB activation were assessed using real-time PCR, cytokine array and western blotting. The immunofluorescence of FITC-conjugated lectins, results of ligand binding assays using Mincle-Fc and IgG-Fc, CLEC4E expressions in response to KsAg stimulation, and Mincle-dependent NF-κB activation were assessed to clarify the early immune-triggering mechanism. Inflammatory cytokines (IL-1β, GM-CSF and TNF-α), chemokines (IL-8, CCL2, CCL5 and CXCL1) and NF-κB activation (pNF-κB/NF-κB) in HT29 cells increased following stimulation by KsAg. The immunofluorescence results of spores and lectins (concanavalin A and wheat germ agglutinin)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incle in molecular recognition between Kudoa spores and intestinal cells. Practically, data for Mincle-Fc and KsAg binding affinity, CLEC4E mRNA expression, Mincl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hMincle-dependent NF-κB activation demonstrated the involvement of Mincle in the early immune-triggering mechanism. The present study newly elucidated that the molecular recognition and immune-triggering mechanism of K. septempunctata are associated with Mincle o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hibitory effect of Panax ginseng and Pleurotus osteratus complex on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duced by extract of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human monocytic THP-1 and EoL-1 cells

  • Park, Kyeong Hun;Lee, Eun Suk;Jin, Yong Ik;Myung, Kyung Sun;Park, Hong Woo;Park, Chun Geon;Kong, Won Sik;Kim, Young Oc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55-161
    • /
    • 2016
  •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Pleurotus ostreatu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beta}-glucan-based$ cream for supportive complementary therapy of atopic dermatitis. KH054 is a new herbal prescription consisting of P. ostreatus and Panax ginseng. The effects of atopic dermatitis-induced materials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 human monocytes (THP-1, EoL- 1) have been examined. Some reports demonstrated that P. ginseng augments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ity against infection and tumor development.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MCP-1), interleukin (IL)-6, and IL-8 have important roles in mediating the infiltration of various cells into the skin of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KH054 on induced IL-6, IL-8, and MCP-1 secretion by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THP-1 (human acute monocytic leukemia) and EoL-1(Human eosinophilic leukemia) cell. D. pteronissinus functions in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The inhibitory effect of KH054 on the induction of IL-6, IL-8, and MCP-1 secretion by D. pteronissinus extract in THP-1 and EoL-1 cells was examined. KH054 potently suppress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IL-6 and IL-8 induced by D. pteronissinus treatment in THP-1 and EoL-1 cell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KH054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to treat atopic dermatitis.

해조류(톳, 감태) 혼합물의 사료 내 첨가가 넙치의 선천성 면역과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lga Mixtures (Hizikia fusiformis and Ecklonia cava) on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성삼;장지웅;송진우;임세진;정준범;이상민;김강웅;손맹현;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4-620
    • /
    • 2009
  • We report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its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by alga mixture (HE; Hizikia:Ecklonia) in olive flounder for the first time. Five isonitrogenous (44% crude protein) and isocaloric (17.1 MJ $kg^{-1}$) diets were formulated to have 0%, 2%, 4%, 6% and 8% of the alga mixture.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was fed triplicate groups of fish (30 fish/group) to apparent satiation in a flow through system. After a two week feeding, blood was sampled at 3, 6, 12, 24 h after the last feeding for a kinetic measurement of nitroblue tetrazolium (NBT) activity and healthy fish with similar sizes in each tank were selected and injected with 1 mL of E. tarda suspension ($1.0\times10^7$ CFU/mL) to evaluate the disease resistance of the fish. Dietary supplementation of alga mixture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compared with the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 cumulative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ish groups fed alga mixture containing diets than control group in the challenge test with E. tarda. Therefore,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Hizikia and Ecklonia mixtures enhance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a disease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Ulcerative Colitis is Associated with Novel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of MIP-3${\alpha}$/CCL20 Gene

  • Choi, Suck-Chei;Lee, Eun-Kyung;Lee, Sung-Ga;Chae, Soo-Cheon;Lee, Myeung-Su;Seo, Geom-Seog;Kim, Sang-Wook;Yeom, Joo-Jin;Jun, Chang-Duk
    • IMMUNE NETWORK
    • /
    • 제5권4호
    • /
    • pp.205-214
    • /
    • 2005
  • Background: We examined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DC), and tested whether the identified genes with the altered expression might b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UC. Methods: PBMCs from 8 UC and 8 normal healthy (NH) volunteers were collected, and total RNAs were subjected to the human 8.0K cDNA chip for the micro array analysis. Real time-PCR (RT-PCR)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ults of micro array. One hundred forty UC patients and 300 NH controls were recruited f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nalysis. Results: Twenty-five immune function-related genes with over 2-fold expression were identified. Of these genes, two chemokines, namely, CXCL1 and CCL20, were selected because of their potential importance in the evocation of host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Four SNPs were identified in the promoter and coding regions of CXCL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patients with UC and controls in their polymorphisms, except minor association at g.57A>G (rs2071425, p=0.02). On the other hand, among three novel and one known SNPs identified in the promoter region of CCL20, g. -1,706 G>A (p=0.000000055), g. -1,458 G>A (p=0.0048), and g. -962C>A (p=0.0006)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of Uc. Conclusion: Altered gene expression in mononuclear cells may contribute to IBD pathogenesis. Although the findings need to be confirmed in other populations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the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of CCL20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Uc.

대하 Penaeidin 3-2 유전자의 동정 및 발현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Penaeidin 3-2 from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 박은미;조현국;홍경은;남보혜;김영옥;김우진;이상준;한현섭;이재용;김종식;장인권;정재훈;최태진;공희정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39
    • /
    • 2007
  • Penaeidins은 새우류에 존재하는 항미생물성펩티드의 한 종류로서 새우의 외부 병원체에 대한 방어기작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 혈구세포의 cDNA library로부터 분리된 EST 클론을 분리 동정하였다. 아미노산 염기서열 분석과 계통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분리한 EST 클론이 대하의 Penaeidin 3-2 유전자와 아미노산 수준에서 동일함을 밝혔다. 대하의 Penaeidin 3-2는 signal peptides로 예상되는 19개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여 전체 7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져 있고, C-말단에는 3개의 이중황화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6개의 cysteine가 존재하였다. 대하 Penaeidin 3-2 전사체는 혈구세포, 간췌장, 근육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특히 혈구세포에서 주로 많이 발현되었다. 흰반점바이러스의 인위감염 실험에서 바이러스 감염 후 대하 Penaeidin 3-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하 Penaeidin 3-2가 자체 방어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에 감염된 넙치의 cDNA microarray 분석 : 수온에 따른 면역 유전자 발현의 차이 (cDNA microarray analysis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infec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mmune gene expression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김진웅;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2014
  • 저수온기만 넙치에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을 폐사가 발생하는 $15^{\circ}C$,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20^{\circ}C$에서 인공감염시켜 넙치의 면역 유전자 발현 profile을 cDNA microarray 분석하였으며, 특히 저수온기에 폐사가 나타나는 원인을 면역 유전자 발현과 관련시켜 알아보고자 하였다. $15^{\circ}C$, $20^{\circ}C$의 감염 세포구에 공통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는 MHC class I, IL-8, myeloperoxidase 및 endonuclease G-like 유전자로 모든 세포표면에 존재하여 항원을 제시하거나 호중구 주화성을 자극하는 유전자들이었다. 항원 가공 및 제시, 항체 생성에 관여하는 MHC class II, immunoglobulin (Ig)과 retinoblastoma 등의 유전자는 $20^{\circ}C$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15^{\circ}C$에서는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20^{\circ}C$는 바이러스 감염초기의 항원 제시, MHC class I과 II에 의한 항원제시, apoptosis 및 이후의 항체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폐사가 발생하는 $15^{\circ}C$에서는 MHC class I매개의 항원 제시와 탐식 작용등의 선천 면역은 이루어지나 macrophage에 의한 MHC class II매개의 항원 제시와 apoptosis저하, 항체 생산 관련 유전자의 발현저하가 관찰되어 초기 macrophage에 의한 항원제시의 실패로 적응 면역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아 폐사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메트포르민 또는 알파-리포산의 염증반응과 NLRP3 인플라마솜 약화에 관한 연구 (Metformin or α-Lipoic Acid Attenuate Inflammatory Response and NLRP3 Inflammasome in BV-2 Microglial Cells)

  • 최혜림;하지선;김인식;양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53-260
    • /
    • 2020
  • 알츠하이머 병은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치매 발생으로 설명할 수 있는 만성 및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알츠하이머 병의 특징은 세포 외 및 세포 내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형성이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알츠하이머 병의 특징이며 미세아교세포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존재하에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게다가, S100A9는 염증의 중요한 선천성 전 염증 기여자이며 알츠하이머 병에 잠재적인 기여자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아밀로이드 베타 및 S100A9이 처리된 BV-2 세포에서 염증반응 및 NLRP3 인플라마솜 활성화에 대한 메트포르민 및 알파리포산의 효과를 조사했다. 메트포르민과 알파-리포산은 종양 괴사 인자-알파 및 일터루킨-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약화시킨다. 또한 메트포르민과 알파-리포산은 JNK, ERK, p38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NF-kB 경로 및 NLRP3 인플라마솜의 활성화를 억제했다. 또한 메트포르민과 알파-리포산은 M1 표현형인 ICAM1의 수준을 감소시킨 반면 M2 표현형인 ARG1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은 메트포르민과 알파-리포산이 아밀로이드베타 및 S100A9에 의한 신경 염증 반응에 대한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 방제의 새지평 I: 미생물 (A New Frontier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Plant Pathogenic Nematodes and Insect Pests I: By Microbes)

  • 이혜란;정지혜;류명주;류충민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4-14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주요 작물에서 식물 병원성 해충 및 선충으로 인한 작물 생산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 재배지의 연작으로 인해 해충과 선충의 발생이 증가하여 작물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식물병원성 해충 및 선충의 방제법은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화학적 방제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화학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약제 저항성이 발생하고, 화학 약품으로 인한 인체 유해성 및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친환경적인 방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에 대하여 살충/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식물병원성 해충과 선충에 대한 살충/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에 의한 살충 및 살선충 사례와 기전들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미생물의 활성은 외피 분해효소와 독소물질생산을 통한 직접적인 작용기전과 기주 식물의 저항성 유도를 통한 간접적인 작용기전에 의해서 일어난다. 본 리뷰를 통하여 선충과 해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법과 그 분자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최신 살충 및 살선충 연구들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농민들과 연구자들의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적 해충 및 선충의 방제법에 대한 저변확대를 기대한다.

Isoliquiritigenin의 toll-like receptor agonists에 의해서 유도된 NF-${\kappa}$B 활성화와 cyclooxygenase-2 발현 억제 (NF-${\kappa}$ B Activation and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duced by Toll-Like Receptor Agonists can be Suppressed by Isoliquiritigenin)

  • 박세정;양승주;윤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0-224
    • /
    • 2009
  • 선천성 면역 반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TLRs가 외부 병원성 물질에 자극을 받게 되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로 염증을 유도하는 COX와 같은 유전자를 발현한다. 이번 연구에서, 옛날부터 지금까지 전통적인 약재로써 질병 치료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감초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 중의 하나인 ILG가 NF-${\kappa}$B활성과 COX 발현을 어떻게 조절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ILG는 TLR agonists인 MALP-2, Poly[I:C], 그리고 LPS에 의해 유도된 NF-${\kappa}$B 활성화와 COX-2 발현을 억제시켰다. 또한 ILG는 리간드(ligand)에 독립적인 TLRs signaling downstream molecules인 MyD88, IKK ${\beta}$, 그리고 p65에 의해서 유도된 NF-${\kappa}$B 활성을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한약재로서 많이 이용되는 감초가 단지 한약의 쓴맛을 줄이기 위함이 아니라 TLRs 신호전달 체계를 조절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발아 전후 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의 영양성분 및 면역 활성 변화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Immune-enhancing Effect of Glycoprotein Extract from Pre- and Post-germinated Barley Seeds)

  • 유아름;박호영;홍희도;민진영;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1-516
    • /
    • 2015
  • 발아 전후 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에 대한 영양성분 변화와 RAW 264.7 세포에 처리 후 생성하는 산화질소 II와 사이토카인(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 양을 측정하여 면역 증진 효능을 예측하였다. 보리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당단백질 추출물의 단백질과 지방질 함량은 감소하고 총당 함량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주요 중성당은 아라비노스, 포도당, 자일로스이며 발아함에 따라 6탄당인 포도당은 감소한 반면, 5탄당인 아라비노스와 자일로스는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GEB에 비해 24-GEGB와 48-GEGB에서 각각 1.03, 1.24배 증가하였다. 면역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 24-GEGB와 48-GEGB를 처리한 결과 GEB에 비해 더 높은 산화질소 II와 사이토카인(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을 생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리 종자가 발아하면 종자 내 단백질, 지방질 및 당질 등의 영양성분 조성이 변하고, 그 결과 발아보리 당단백질 추출물은 외부 침입에 대해 1차적으로 방어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면역매개물질 생성하여 면역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