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eongjeon Are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1908년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of Injeong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in 1908)

  • 우동선;기세황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2호
    • /
    • pp.53-64
    • /
    • 2014
  • During the Joseon Dynasty, Injeong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was a core space in which major state affairs took place. Since founded in 1405, the Injeongjeon area's spatial composition has been changed while it was repeatedly burned down and rebuilt several times. However, despite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Chandeokgung Palace and the Injeongjeon area, the changes of the area in the 20th century have not been examined thoroughl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procedure and purposes of the remodeling of the Injeongjeon area in 1908.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 motif of this remodeling construction, worked out by the Residency-General, was to transform the area similar to Ekkensho or Audience Hall area at Meiji Palace regarding the following facts: only Japaneses' participation in the construction, renaming the area as Alhyunso (Ekkensho), and involvement of Ito Hirobumi. Comparing plans of the remodeled Injeongjeon area at the Chandeokgung Palace with the Ekkensho area at the Meiji Palace, we can confirm this presumption and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Residency-General wanted to reduce the majesty and power of the Joseon Dynasty's Palace by this remodeling.

창덕궁 인정전 앞 공간의 음향 특성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Yard of Injeongjeon Hall at Changdeokgung Palace)

  • 이신영;김수연;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96-899
    • /
    • 2005
  •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yard of Injeongjeon hall at Changdeokgung Palace, a Korean traditional building which is on record as the world curtural inheritance of UNESCO. Acoustical measurements and computer simulation were fitted in order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musical performances in the space. The front part of the stage area, where musicians will perform, is made of a stone platform. The eaves of Injeongjeon hall is located behind the platform.

  • PDF

일제강점기 덕수궁(德壽宮) 공원화에 따른 정원의 개조와 훼손 (Remodeling and Damage of the Garden According to the Park Project in Deoksugung Pa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오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234-252
    • /
    • 2023
  • 본고는 일제강점기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자행된 주요 정원의 변형 양상을 살펴보았다. 황궁으로 운용된 궁궐을 대중의 행락공간으로 개방하기 위해 1932년부터 1933년까지 공원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조경공사가 곳곳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석조전 전정(殿庭), 함녕전 일곽 후원(後園), 즉조당 일곽 후원을 위시한 주요 정원 역시 대대적으로 변형되어 당초와 상이한 모습으로 탈바꿈되었다. 1932년 시행된 제1기 공사 중 석조전 정원에는 수반(水盤)이 설치되어 최초의 수공간(水空間)이 탄생하였다. 석조전 정원에 도입된 수반은 본래 창덕궁 인정전 전정에 소재한 구조물이었다. 1909년 무렵 인정전 전정을 훼손하며 설치된 수반이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에 석조전 정원으로 이설되었다. 인정전 구역에서 이설된 수반은 석조전 정원의 중심구역을 수공간으로 변형시킨 요인이었으며, 이후 수반을 대신하여 설치된 분수대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함녕전 일곽의 후원 역시 제1기 공사 중에 새로운 모습으로 개조되었다. 본래 함유재와 함녕전 후원에는 화계(花階)로 불리는 계단식 화단이 존재했으며, 덕수궁 대화재 이후 시행된 중건공사에서 다시 정비되었다.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정관헌 전면 공간에는 함유재와 함녕전 후원의 화계를 개조한 3단 축대가 신설되었다. 당시 조성된 축대는 덕수궁 개방 후 관람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모란원(牧丹園)'으로 활용되었고, 오늘날 '정관헌 화계'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즉조당 일곽의 후원은 1933년 제2기 공사에서 훼손된 사례이다. 함녕전 일곽의 후원처럼 당초 화계가 도입되었던 즉조당 일곽의 후원은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일본식 정원으로 개조되었다. 화계가 철거된 자리는 별도의 지형 조작과 식재 공사가 병행되면서 축산(築山), 소로(小路), 경석(景石) 중심의 일본식 정원으로 치장되었다. 해방 이후 소소한 변화가 있었지만, 즉조당 일곽 후원의 현재 모습은 여전히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조성된 일본식 정원에 근간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