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itial ground stres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2초

연약지반 보강성토에서 섬유보강재 소요인장강도의 결정 (The Determination of Required Tensile Strength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s for Embankment on Soft Ground)

  • 이광열;황재홍;구태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79-385
    • /
    • 2003
  • 기존의 섬유보강성토제체의 설계에서 보강재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고 연직응력을 보강재의 인장강도로 사용함으로써, 흙구조물의 파괴응력에 대응하는 보강재의 한계응력산정과 그에 따른 보강재의 규격결정이 불가능했다. 보강재에 의해 보강된 성토제체의 파괴면에서 보강재와 흙의 거동은 초기응력단계에서는 일체로서 거동하지만 응력의 증가에 따라 변형량의 차이가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는 흙구조물의 보강재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보강효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위에 PET Mat로 보강한 성토제체의 보강재 설계 시 파괴면상의 보강재 설치위치에서 흙과 보강재의 변형량을 고려한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허용안전율을 확보하는 범위내에서 예상파괴면상의 보강재 설치위치에서의 보강재의 인장강도는 흙의 응력 이상이어야 하며, 흙의 변형링${\Delta S}$과 보강재의 변형량${\Delta G}$이 일체로 거동하는 보강재의 소요인장강도를 보강재의 설계인장강도로서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UBCSAND모델을 이용한 사면의 동적거동해석 (Numerical Modeling of Sloping Ground under Earthquake Loading Using UBCSAND Model)

  • 박성식;김영수;김희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61-7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하여 포화된 사면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는 저자가 개발한 연성 유효응력모델인 UBSSAND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이 모델은 초기전단응력이 수평면에 작용하는 경우와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 반복 직접단순전단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은 느슨한 Fraser River 모래로 성형된 사면을 가진 원심모형모델의 동적거동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과잉간극수압, 가속도 및 변위를 계측치와 서로 비교하였으며, 예측치와 계측치는 비교적 서로 잘 일치하였다. 전단응력도의 응력전환형태는 초기전단응력과 반복전단응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지진시 포화된 사면의 안정해석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단응력도의 응력전환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사면근처의 모래는 낮은 유효응력 구속압과 그에 따른 팽창성으로(부의 과잉간극수압발생)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동적하중 하의 사면의 변위를 저지하였다. 이와 같은 유효응력모델은 액상화를 고려한 지반구조물의 내진해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배수삼축압축시험을 통한 SCP 시공과정 중 정지토압계수 평가 (Estimation of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During SCP Installation by 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

  • 권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93-101
    • /
    • 2012
  • 모래다짐말뚝(SCP)는 연약지반 내에 다짐에 의해 형성된 모래말뚝을 조성하여 지반 개량효과를 극대화하는 공법이다. 점성토 지반에서는 압밀촉진 및 배수 효과, 느슨한 모래지반에서는 다짐 등을 통해 액상화 대책공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SCP의 설계에 있어 강성이 큰 SCP 본체 부분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과도하게 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되며 시공비용이 늘어나 경제적으로도 불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SCP 타설에 의한 지반 내의 응력상태의 변화나 다짐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해 어느 정도 구명되었으나, SCP와 원지반을 복합지반으로 고려한 연구는 사례가 적어 충분히 설명될 만큼 연구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CP 개량지반을 SCP와 원지반으로 구성된 복합지반으로 취급하였으며, SCP 타설에 의한 응력상태나 밀도변화를 모사한 요소시험(CID test)을 수행하여 SCP 시공에 따른 원지반의 응력상태의 변화를 $K_0$와 SCP 치환율의 관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동시에 반복삼축압축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SCP의 시공과정을 실내에서 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도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SCP 시공 초기 원지반의 응력상태의 변화가 가장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정 시점 이후에는 SCP 시공을 위한 진동이 지반의 응력특성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SCP에 의한 원지반의 거동을 실내에서 재현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진동에 해당하는 반복재하를 실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굴착단면 형상에 따른 터널 초기탄성변위의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initial elastic displacement at tunnel side-wall due to configuration of the tunnel excavation)

  • 김상환;정혁일;이민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75-184
    • /
    • 2002
  •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시 지보재의 설치시기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서는 지반반응곡선 (Ground reaction curve)을 활용하고 있다. 이 지반반응곡선은 굴착에 따른 지반의 변위 특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원형단면이고 등방상태 (K = 1.0)로 가정하여 단순화시킨 Closed Form Solution을 통해서 구해진다. 그러나, 원형단면이 아니고, 비등방 응력상태인 실질적인 현장조건을 고려해 본다면, 이 지반반응특성 예측식을 현장조건에 적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한계점을 갖는지에 대하여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굴착단면 형상에 따른 측벽에서의 초기탄성변위 및 임계지보압의 변화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터널굴착 형상은 단면의 높이 (b)와 폭 (a)의 비, 즉 굴착형상 계수 S (=b/a)값이 1.0, 0.8, 0.6, 0.4로 변화하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굴착형상마다 초기등방응력을 5~30 MPa사이에서 변화시켜가면서 수치해석을 통해 지반반응곡선을 얻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측벽에서의 지반반응곡선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특성을 제시하였다. 검토결과 지반의 자립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Closed form solution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단위셀 시험을 이용한 SCP 공법 적용지반 점성토의 개량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ment of the Clayey soil in the Composite Ground with Sand Compaction Pile(SCP) using Unit-cell test)

  • 이동현;신현영;한상재;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82-989
    • /
    • 2005
  • In this study,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based on 'Unit-cell concept'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clay ground in sand compaction pile method. Settlement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ground and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clay part could be qualified. In these procedure, the new strain-compression index($C_{\epsilon}$) of composite ground are adopted to show compressibility of composite ground according to the area replacement ratio, which is similar to the compression index($C_c$) in pure clay ground. Also, using normalization of reduction of water content in composite ground to the initial water content,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clay part are investigated.

  • PDF

준설토를 이용한 경량기포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연구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Foam Soil Consisting of Dredged Soils)

  • 김주철;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09-317
    • /
    • 2002
  • 본 논문은 경량기포혼합토(LWFS)의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는 단위중량의 감소와 압축 강도의 증가를 위하여 연안준설토, 고화제 및 기포를 혼합하여 제작되었다. 초기함수비, 고화제 함유율, 양생조건 및 구속압 등 다양한 조건으로 경량기포혼합토를 제작하여 일축 및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의 실험결과는 동일한 단위중량일 경우 응력-변형 거동과 압축강도는 준설토의 초기함수비보다 고화제 함유율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삼축압축시험에서 응력-변형 관계는 양생조건에 관계없이 변형-연화거동을 나타내었다. 구속압에 따른 응력-변형 거동은 경량기포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와 근접한 구속압을 경계로 다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 200kPa 이상으로 지반개량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량기포혼합토의 배합비는 준설토의 초기함수비 100%~160%와 고화제 함유율 6.6%로 나타났다.

Adaptive management of excavation-induced ground movements

  • Finno, Richard J.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27-50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n adaptive management approach for predict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ground movements associated with excavations in urban areas. Successful use of monitoring data to update performance predictions of supported excavations depends equally on reasonable numerical simulations of performance, the type of monitoring data used as observations, and the optimization techniques used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ions and observed performance. This paper summarizes each of these factors and emphasizes their inter-dependence. Numerical considerations are described, including the initial stress and boundary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reasonable represent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constitutive model. Monitoring data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current numerical capabilities are discussed, including laser scanning and webcams for developing an accurate record of construction activities, and automated and remote instrumentations to measure movements. Self-updating numerical models that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compute anticipated ground movements, update predictions of field observations and to learn from field observations are summarized. Applications of these techniques from case studie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capabilities of this approach.

  • PDF

지오텍스타일 봉합 인장강도와 지반의 응력증가분 해석 (Seam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Mat and Stress Increment Analysis)

  • 채유미;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3-79
    • /
    • 2018
  • 서해안과 남해안 그리고, 하천유역에는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산업시설 공간과 농경지 확보를 위해 토목섬유매트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광대한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초기단계로 장비 진입을 위해 토목섬유매트를 포설하고 접합하여 넓은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킨다. 토목섬유매트 봉합강도는 원단 인장강도의 50% 정도만 힘을 발휘하고 있어 장비주행성에 융기와 침하 등 지지력 저하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토목섬유매트 봉합기술들을 분석하고 각 방법들의 인장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목섬유매트의 봉합강도를 증가시켰을 때, 상재하중에 의한 지반내의 응력증가분이 감소하는 경향을 수치해석으로 확인하였다. 봉합강도를 60, 70, 80%으로 향상시켰을 때 토목섬유에 의한 지반의 지지력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강도용 콘크리트의 온도상승 억제를 위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효과 (The Effect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on the Control of Temperature Rising in High Strength Concrete)

  • 문한영;최연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5-204
    • /
    • 1998
  • 콘크리트가 고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큰 단위시멘트량 및 낮은 물-시멘트비를 유지해야 하므로 콘크리트 타설후 내부온도 상승은 필연적이며, 구조물의 위치와 온도응력차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강도용 콘크리트의온도상승 억제대책의 한 방안으로 고로슬래그미분말 3종류와 혼합률 4단계로 변화시킨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온도상승량과 최고온도 도달시간 및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고로슬래그미분말을 5단계로 혼합한 페이스트의 수화발열량 및 수화속도를 측정한 값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고로슬래그미분말의 분말도 6,000$\textrm{cm}^2$/g, 혼합률 50% 정도인 고강도용 콘크리트가 온도상승 억제효과 뿐만 아니라 조기재령에서의 강도도 비교적 잘 만족하였다.

포화된 암반에 굴착된 원형공동의 수리-역학적 거동 (Hydro-mechanical Behavior of a Circular Opening Excavated in Saturated Rockmass)

  • 이연규;신희순
    • 화약ㆍ발파
    • /
    • 제23권2호
    • /
    • pp.23-35
    • /
    • 2005
  • 지하수로 포화된 암반내의 공동을 굴착하면 공동 주위에서 응력의 재분배로 인하여 초기 공극수압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극수압의 변화는 다시 암반의 역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공동 주변 암반에서 굴착으로 인해 형성된 공극수압이 소산과정에서 암반의 거동은 공극수압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해석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굴착직후 짧은 시간 동안에서 공동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재분포와 공극수압변화 양상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공극수압을 고려하지 않는 탄성해석과는 달리 굴착직후 짧은 시간동안에는 공동 벽면의 직후방에서 최대접선응력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