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Parameter

검색결과 971건 처리시간 0.029초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탄에 의한 축산폐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Using Titanium Dioxide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 양진섭;정원영;백승희;이근대;박성수;홍성수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48-154
    • /
    • 2007
  • 본 연구는 이산화티탄 광촉매 반응에 의한 축산폐수 처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첨가제의 몰비($(C_2H_5)_2NH_2/Ti(OC_3H_7)_4$)를 1, R 비($H_2O\;mol/Ti(OC_3H_7)_4\;mol$)를 42로 하여 수열합성법으로 이산화티탄 졸을 제조하였다. 축산폐수에 대한 이산화티탄 광촉매 반응은 이산화티탄, UV가 모두 존재할 경우가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보다 활성이 증가하였고, 축산폐수의 pH가 산성일 때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티탄 광촉매 반응은 자외선의 세기, 광촉매의 량, 공기 주입량, 과산화수소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과산화수소의 량이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활성의 감소가 일어났다.

식생피도가 인공습지의 질소 및 인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 (The Effect of Plant Coverage on the Constructed Wetlands Performance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Macrophyte Communities)

  • 함종화;김형철;구원석;신현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393-40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제어를 목적으로 조성한 인공습지의 현장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식생피도가 습지의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공습지에 수생식물을 인공식재하지 않고 자연적인 활착을 유도한 결과 3번의 생장기를 거치면서 평균 약 90% 이상의 높은 식생피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원활한 식생활착을 위해서는 물 관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N, T-P의 제거율은 연 평균 약 45 ${\sim}$ 5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T-P는 생장기와 동절기 모두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낸 반면에, T-N의 제거율은 수온의 영향으로 동절기 동안 생장기보다 낮은 약 33%를 나타내었다. 약 15%의 범위 내에서 식생피도의 차이는 T-P의 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동절기 T-N의 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쳐 식생피도가 낮은 습지가 처리효율 또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질산성질소의 탈질화에 필수적인 유기탄소가 식생피도가 낮은 습지에서 적게 공급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영양물질 제거를 위한 인공습지를 조성할 경우 습지 전체를 모두 식생으로 피복되도록 하는 것 보다는 약 10 ${\sim}$ 15% 범위 내에서 일부 구역을 개방수역 (open water)으로 처리하여 어류 및 물새들을 위한 서식공간을 제공하여도 영양물질 제거효율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규모로 인공습지를 조성할 경우에는 영양물질 제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식물체를 제거하는 관리방안은 수행하지 않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습지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룹 기여 방법을 이용한 ε-caprolactam 유도체와 이산화탄소의 상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Phase Behavior of ε-caprolactam Derivatives and Carbon Dioxide using a Group Contribution Method)

  • 권소영;배원;이경원;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17-122
    • /
    • 2005
  • N-vinyl caprolactam (NVCL)은 초임계 분산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비닐 아마이드 계열의 단량체이다. 이때 NVCL을 초임계 이산화탄소 상에서 분산 중합하기 위해서는 중합 초기 단계에 단량체가 $CO_2$에 모두 용해되어야 한다. 또한 최종 고분자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중합 용매인 $CO_2$와 단량체 NVCL의 상거동 자료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단량체의 순수 물성은 측정 시 중합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험적인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량체인 NVCL과 이와 유사한 작용기를 갖고 있는 N-methyl caprolactam (NMCL)의 순수 물성을 보다 정확하게 얻기 위하여 기존에 알려져 있는 그룹기여 방법을 수정하였다. 이때 유사한 구조를 갖는 ${\varepsilon}$-caprolactam을 바탕으로 새롭게 그룹 기여값을 얻고, 이를 NVCL, NMCL에 적용하였다. 또한 새롭게 수정된 순수 물성을 바탕으로 $CO_2$ + N-vinyl caprolactam과 N-methyl caprolactam 계에 대해 Peng-Robinson EOS와 van der Waals 1-fluid mixing rule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 PDF

Longitudinal Model Verification of Life Satisfaction of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45-253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적 배경, 성장배경, 가치관, 라이프 스타일 등이 서로 다른 X세대와 Y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 년도(2006년)부터 14차 년도(2019년) 까지 이루어진 27,301명 중에서 삶의 만족도를 실시한 최근 12차 년도부터 14차 년도까지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진 2,492명의 3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X세대와 Y세대 모두 삶의 만족도가 높은 세대일수록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느린 속도로 삶의 만족도가 천천히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X세대와 Y세대 모두 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값은 높게 나타났으나, X세대의 경우 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3년 동안 삶의 만족도 변화율은 .327이 낮아지고, Y세대의 경우에는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은 생활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경향성 사이에서 건강 상태의 부분 매개가 성립하여 생활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건강 상태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두질환에 따른 자음의 음성발현시간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Onset Time of the Korean Stops in the Benign Laryngeal Disorders)

  • 홍기환;이화욱;김진성;이은정;소상수;최동일;양윤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8-102
    • /
    • 200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ice onset time(VOT) is defined as the time interval from oral release of a stop consonant to the onset of glottal pulsing in the following vowel. VOT is a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that reflects the complex timing of glottal articulation relative to supraglottal articulation. Stop consonants are characterized by creation of a pressure difference across a complete occlusion in the vocal tract, followed by a sudden release 'burst' due to opening that occlus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usefulness of voice onset time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d patients. Subjects : Subjects were 20 adults with normal voice and with benign laryngeal disorders. Subjects with voice disorders represented the following vocal pathologies : vocal polyp, vocal nodule, Reinke's edema and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UVFP). Control subjects were matched for age (21-40 yews old) and sex(male) with the voice disorders subjects and had normal vocal qualities with no history of voice disorders. Methods : Each voice-disordered and matched control subject read the test passages containing three types of Korean bilabial consonants. VOT measures were made for the initial $/p/p^h/\;and\;/p'/$. VOT was measured using acoustic waveform or wide band spectrogram. Results : For each voiceless stop conson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T between the voice disordered and normal subjects. The mean VOTs of the lax stops in UVF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in the UVFP. The mean VOTs of the aspirated stops in the vocal polyp and nodule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but not significant. The mean VOTs of the glottalized in voice disordered groups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and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UVFP. Conclusions : VOT may be a clinically useful acoustic parameter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especially in the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 PDF

포장방법에 따른 냉장 훈제삼겹살의 품질과 저장성 (Quality and Shelf-life of Chilled Smoked Pork Belly Depending on Packaging Methods)

  • 임지훈;정승희;이성기;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6권2_3호
    • /
    • pp.43-51
    • /
    • 2010
  • 본 연구는 훈제삼겹살의 저장에 가장 적합한 포장방법을 파악하고자 함기포장(AC), 진공포장(VP) 및 탈산소제(OS) 포장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총균수는 세 처리구에서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유산균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했다. 총균수는 AC시료의 경우 6일차에 8.1 log cfu/g, OS시료는 8일차에 8.1 log cfu/g으로 증가하였으나, VP시료에서는 12일차에도 7.5 log cfu/g으로 타 포장에서보다 낮게 나타났다. VP시료는 저장기간 중 Pseudomonas spp.와 coliforms균의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TBA값은 AC-OS-VP의 순으로 빠르게 증가하였다. VBN값은 AC에 비하여 VP와 OS 시료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VP시료는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저장기간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적색도와 낮은 변색도(hue)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상품성이 상실되기 시작한 시점은 AC, OS와 VP시료에서 각각 8일, 10일 및 12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열육에 대한 평가에서는 OS시료는 12일차에서 AC는 10일 후에 상품성을 잃은 반면, VP시료는 12일차 까지도 조직감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5점 이상을 유지했다. 결론적으로 훈제삼겹살의 품질과 저장성 차원에서 가장 적합한 포장방법은 진공포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실사기반 디지털 홀로그래픽 비디오의 실시간 생성을 위한 하드웨어의 설계 (A New Hardware Design for Generating Digital Holographic Video based on Natural Scene)

  • 이윤혁;서영호;김동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1호
    • /
    • pp.86-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속으로 홀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하드웨어는 홀로그램 평면의 행 단위로 병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한 행의 각 홀로그램 화소들이 독립적으로 연산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산 방법을 통해서 홀로그램 생성 하드웨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메모리 접근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하드웨어 처리능력의 실시간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제안한 하드웨어는 입력 인터페이스, 초기 파라미터 연산기, 홀로그램 화소 연산기, 라인 버퍼, 그리고 메모리 제어기로 구성된다. 제안한 하드웨어는 기존의 하드웨어와 동일한 처리 능력을 가지면서도 메모리 접근횟수는 약 20,000배 감소시킬 수 있었다. 구현한 하드웨어는 198MHz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었고, 168,960개의 LUT, 153,944개의 레지스터, 그리고 19,212개의 DSP 블록을 사용하였다.

Peptostreptococcus productus를 이용한 산업체 부생가스로부터 아세테이트 생산 (Production of Acetate from Waste Gas using Peptostreptococcus productus)

  • 강환구;전희진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88-19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P. productus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CO로부터 아세테이트 전환방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CO 소비속도에 대한 kinetic model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상수 값을 계산하여 Vmax와 Km은 각각 39.3 mmol/L-hr-O.D., 0.578 atm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고농도 구간에서 CO의 저해상수 KSI는 0.792 atm이었고 Smax는 0.677 atm 이었다. 질소원인 YP의 농도에 따른 아세테이트 생산 정도는 YP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성장과 생성된 아세테이트의 양이 증가하여 YP 3%의 경우 O.D. 1.14에서 약 6g/L의 아세테이트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세테이트 생성속도는 YP 농도 2%와 3%에서 최대값이 0.11 g/L.hr.O.D로 비슷하였다. P. productus를 이용해 아세테이트 생성을 최적화 하기 위한 초기 pH 실험의 결과 pH 6, 7 그리고 8의 경우는 O.D. 약 0.7에서 3 g/L 아세테이트를 생성하여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P. productus의 아세테이트 생성 최적 온도는 $37^{\circ}C$임을 확인하였다. 기상과 액상의 접촉 표면적의 한계에 의한 물질전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5L 발효기에서 고농도 아세테이트 생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균주성장의 경우 O.D. 약 1.4 까지 성장하였다. 아세테이트의 경우 접종초기 낮은 생성속도로 생성되다가 60시간 이후 활발한 생성을 보여 약 21g/L를 생산하였다. 이때의 최대 아세테이트 생성속도는 0.48 g acetate/L.hr.O.D 이었고 최대 CO 소비속도는 26.4 mmole CO/L.hr.O.D. 이었다. 이 수치는 bottle 의 경우 0.11 g acetate/L.hr.O.D에 비하여 4배이상 증가한 값이고 생성량에 있어서도 약 4배가 증가하였다. P. productus가 이산화탄소와 수소로부터 아세테이트를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는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이용한 균주성장 정도와 아세테이트 생성량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30%와 20% CO2 거기에 H2를 각각 10%, 20% 주입한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각 경우 모두 비슷하게 O.D. 0.5 정도에서 약 2g/L의 아세테이트를 생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CO를 이용한 CSTR 실험시 pH 조절과 배양중 질소원등 배지의 추가 공급, 그리고 CO 머무름 시간, 교반속도의 물질전달에 영햐을 주는 요인들을 적절히 조절할 경우 생물학적 아세테이트 생성공정은 경제적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인공신경망과 SA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정 위치 최적화 전산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ell Placement Optimization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imulated Annealing)

  • 곽태성;정지헌;한동권;권순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속의 연산이 가능한 인공신경망 시뮬레이터와 SA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지능형 생산정 위치 최적화 전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사용하는 상용시뮬레이터의 경우 현장 규모의 저류 전산 시뮬레이션을 수행시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모델에서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내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주관적인 경험에 의거하지 않고 자동으로 최적의 생산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최적화기법인 SA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기존 사용 시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예측성능이 양호함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연산속도 또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SA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어변수인 초기온도와 냉각률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에 대한 최적값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모델의 연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생산정 위치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생산성이 우수한 지역을 선정하여 최적의 생산정 위치를 도출하였다.

Fibulin-3 as a Diagnostic Biomarker in Patients with Malignant Mesothelioma

  • Kaya, Halide;Demir, Melike;Taylan, Mahsuk;Sezgi, Cengizhan;Tanrikulu, Abdullah Cetin;Yilmaz, Sureyya;Bayram, Mehmet;Kaplan, Ibrahim;Senyigit, Abdurrah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403-1407
    • /
    • 2015
  • Background: New tumour biomarkers are being intensely investigated for malignant mesothelioma (MM). Fibulin-3 is produced in MM but its role remains uncert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measuring serum fibulin-3 i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MM.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43 patients and 40 healthy control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January 2014. Data from MM patients, including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routine laboratory data, levels of serum fibulin-3, and treatment outcomes were defined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fibulin-3 was used to detect the cut-off value with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Univariate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in patients with MM. Afterwards, the possible factors identified with univariate analyses were entered into the cox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ur results revealed that patients with MM had significantly higher serum levels of fibulin-3 than contro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cut-off point was 36.6 ng/ml with an AUC (area under the curve)=0.976, sensitivity=93.0% and specificity=90.0. In our study, the initial significant poor prognostic factors were advanced stage, high white blood cell count, high platelet count, high C-reactive protein (p<0.05 for each variable). Later,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only advanced stage as significant parameter (p=0.040). Conclusions: We determined that real use for serum fibulin-3 was not for prognosis but for diagnosis in MM. Also advanced stage was associated with poor MM pro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