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Alignment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s of Reagent Rotation on Stereodynamics Information of the Reaction O(1D)+H2 (v = 0, j = 0-5) → OH+H: A Theoretical Study

  • Kuang, Da;Chen, Tianyun;Zhang, Weiping;Zhao, Ningjiu;Wang, Dongj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0호
    • /
    • pp.2841-2848
    • /
    • 2010
  • Quasiclassical trajectory (QCT) method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stereodynamics information of the reaction $O(^1D)+H_2{\rightarrow}\;OH$+H on the DK (Dobbyn and Knowles) potential energy surface (PES) at a collision energy of 23.06 kcal/mol, with the initial quantum state of reactant $H_2$ being set for v = 0 (vibration quantum number) and j = 0-5 (rotation quantum number). The PDDCSs (polarization dependent differential cross sect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P($\theta_r$), P($\phi_r$), P($\theta_r$, $\phi_r$) have been presented in this work.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ducts are both forward and backward scattered. As j increases, the backward scattering becomes weaker while the forward scattering becomes slightly stronger. The distribution of P($\theta_r$) indicates that the product rotational angular momentum j' tends to align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gent relative velocity vector k, but this kind of product alignment is found to be rather insensitive to j.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P($\phi_r$) indicates that the rotational angular momentum vector of the OH product is preferentially oriented along the positive direction of y-axis, and such product orientation becomes stronger with increasing j.

정보시스템 분석수준 별 역동적 역량에 기반한 효율적 사용에 관한 연구 리뷰 (A Research Review on Effective Use of IS drawn on Multi-level Dynamic Capability)

  • 강현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2호
    • /
    • pp.27-50
    • /
    • 2020
  • Purpose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 use of IS needs to embrace the alignment to organization learning process, which expands the limited focus on dynamic capability of IS use. In addition, it should be done in multi-level analysis with system, user, task, and organiza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inclusion of multi-level analysis of effective use of IS in the perspective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review selected the representative studies in IS discipline which have investigated the effective use of IS, dynamic capability, operational capability, exploration, exploitation, or 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search of academic archives with those keywords, seventeen papers which have been most cited were chosen and validated whether the focus constructs are directly theorized or validated the suggested keywords. In addition, the level of analysis was verified whether it includes one or more levels of system, individual, task, or organization. Based on the initial analysis of dynamic capability, the further review of research on explorational and exploitational capabilities was implemented. Findings The present review study on previous literature on effective use of IS presented that it is largely implemented in the level of individual but few of them has included organization level. Similarly, the direct investigation of explorational and exploitational use of IS has not been done so much. The needs of study on effective use of IS in depth have been inquired for a decade. However, the review presented that it still lacks profound theories and empirical validations compared to those of adoption stage of IS. Based on the review, future research on the transition between explorational and exploitational use of IS is sugges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emorotibial Mechanical Axis Angle in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Navigation versus Weight Bearing or Supine Whole Leg Radiographs

  • Kim, Seong Hwan;Park, Yong-Beom;Song, Min-Ku;Lim, Jung-Won;Lee, Han-Ju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326-333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emorotibial mechanical axis angle from radiographs in the weight bearing (WB) and supine positions compared with navigation-measured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Sixty-eight cases of navigation-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ere included. The pre- and postoperative whole leg radiographs (WLRs) in WB and supine positions were compared with the initial and final navigation values. Results: The mean mechanical axis angle from the preoperative WBWLR and navigat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079) and were correlated strongly with each other (intraclass correlation [ICC], 0.818). However, on postoperative measurements, although the WBWLR and navigation values were not different (p=0.098), they we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ICC, 0.093).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was $1.8^{\circ}{\pm}3.6^{\circ}$ for the preoperative WBWLR and $2.5^{\circ}{\pm}4.8^{\circ}$ for the postoperative WBWLR. The validity that was determined by the Bland-Altman plot was not acceptable for both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Conclusions: The preoperative WBWLR could provide accurate but not precise measurement value of the femorotibial mechanical axis angle for navigation-assisted TKA,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in navigation were not comparable with radiographic measurements. The lack of agreement was found between the radiographic and navigation measurements of the coronal alignment regardless of pre- or postoperative evaluation although the accuracy was found acceptable. Level of Evidence : Level 4.

2,30대 정상 성인남녀의 몸통 굽힘 시 골반의 기울임과 몸통 움직임 및 몸통 폄 근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between Pelvic Tilt Angle with Trunk Motion and Trunk Extensor during Trunk Forward Flexion in Adults Aged 2,30)

  • 박영주;이상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88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pelvic tilt angle and trunk motion and trunk extensor during trunk forward flexion and to measure trunk motion, onset time of trunk motion, and onset time of trunk extensor activation.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healthy adults. The subjects had no back pain due to neurological disease and no experience of back surgery. After pelvic tilt angle was measured, each trunk forward flex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Trunk motion and onset time of trunk motion were measured using Myomotion. Four sensors were used, with one located at the upper thoracic (below $C_7$), the lower thoracic ($T_{12}-L_1$), the sacrum ($S_1$), and at the center of the anterior femur. Onset time of trunk extensors (spinalis, longissimus, gluteus medius, gluteus maximus,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activation was measured using a wireless surface EMG. The EMG amplitude was normalized by using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test. 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pelvic tilt angle and lumbar motion, onset time of pelvis motion, and onset time of gluteus medius ac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p<.05). The correlation between pelvic tilt angle with pelvis motion, onset time of lumbar motion, and onset time of longissimus activ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5). Conclusion : The study results provi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the lumbar load at the initial stage of trunk flexion.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such as orthodontic treatment for alignment of the spine and back pai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normal exercise pattern reeducation as well as pelvic correction during exercise in daily life or in industrial fields.

The Assessment of Cross Calibration/Validation Accuracy for KOMPSAT-3 Using Landsat 8 and 6S

  • Jin, Cheonggil;Choi, Chulu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3-137
    • /
    • 2021
  • In this study, we performed cross calibration of KOMPSAT-3 AEISS imaging sensor with reference to normalized pixels in the Landsat 8 OLI scenes of homogenous ROI recorded by both sensor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9 at the Libya 4 PICS. Cross calibration is using images from a stable and well-calibrated satellite sensor as references to harmonize measurements from other sensors and/or characterize other sensors. But cross calibration has two problems; RSR and temporal difference. The RSR of KOMPSAT-3 and Landsat 8 are similar at the blue and green bands. But the red and NIR bands have a large difference. So we calculate SBAF of each sensor. We compared the SBAF estimated from the TOA Radiance simulation with KOMPSAT-3 and Landsat 8, the results displayed a difference of about 2.07~2.92% and 0.96~1.21% in the VIS and NIR bands. Before SBAF, Reflectance and Radiance difference was 0.42~23.23%. Case of difference temporal, we simulated by 6S and Landsat 8 for alignment the same acquisition time. The SBAF-corrected cross calibration coefficients using KOMPSAT-3, 6S and simulated Landsat 8 compared to the initial cross calibration without correction demonstrated a percentage difference in the spectral bands of about 0.866~1.192%. KOMPSAT-3 maximum uncertainty was estimated at 3.26~3.89%; errors due to atmospheric condition minimized to less than 1% (via 6S); Maximum deviation of KOMPSAT-3 DN was less than 1%. As the result, the results affirm that SBAF and 6s simulation enhanced cross-calibration accuracy.

예측의 문제 상황에 대한 멘탈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심상 시뮬레이션의 역할과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he Roles and Strategies of Imagistic Simulation Observed in Mental Simulation about Problematic Situations of Prediction)

  • 고민석;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6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기 이동에 관한 사고실험에서 나타나는 멘탈 시뮬레이션을 분석하여 예측과 설명의 생성 및 정교화 과정을 알아봄으로써 멘탈 모델링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멘탈 시뮬레이션 과정 및 전략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과학교육 전문가 4인의 내용타당도를 확인 받았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예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발된 2개의 사고실험 과제에 대해 사고발성법을 통해 총 20개의 사례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탈 시뮬레이션 과정은 문제상황지각, 상황해석, 초기표상 진술, 심상 시뮬레이션 실행,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 정렬 확인, 구조화된 표상 재진술의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개념을 해석하여 초기 표상을 진술한 후 여러 차례의 심상 시뮬레이션의 실행을 통해 설명과 예측을 생성하고 정교화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멘탈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확대, 분할, 차원강화, 차원감소, 첨가, 제거, 대체, 최소최대화와 같은 시뮬레이션 전략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 전략의 사용은 문제 상황의 메커니즘 요소를 발견하는데 기여하였다.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전향적 임상 실험 연구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four initial orthodontic archwires)

  • Quintao, Catia C. A.;Jones, Malcoim L.;Menezes, Luciane M.;Koo, Daniel;Elias, Carlos 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1-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 다가닥철선. 초탄성 NiTi, 열활동성 NiTi재료로 이루어진 총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실험의 설계는 전향적 임상 실험(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으로서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 주립 치과대대학에 내원한 45명의 고정식 교정장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각 호선의 재료는 환자의 치열에 무작위로 배당되었는데 스테인레스스틸은 20명, 다가닥철선은 22명, 초탄성 NiTi는 22명, 열활동성 NiTi는 20명에게 할당되었고. 8주 후에 모형을 다시 제작한 후 3차원 디지털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모형의 치관에 설정된 해부학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치료전 및 치료후 치열불규칙지수(Dental Irregularity Index)의 차이로 초기 교정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을 시행하여 불규칙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호선의 재료에 따른 초기 치료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베인에 작용하는 수평응력과 토크를 이용한 모래의 마찰각 측정 (Measurement of Friction Angle of Sand from Horizontal Stress and Torque Acting on Vane)

  • 박성식;김동락;이새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63-7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베인에 작용하는 수평응력과 토크를 측정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모래의 마찰각을 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조한 낙동강모래를 원통형 셀에 느슨하거나 조밀한 상태로 성형한 다음 상부에서 공기압 실린더로 상재하중(overburden pressure)을 25, 50, 75 또는 100kPa 가하여 베인(직경 5cm, 높이 10cm) 회전 시 주변에 작용하는 수평응력과 토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베인 회전에 따른 최대 토크값은 느슨한 모래는 3.5~9.5Nm, 조밀한 모래는 7.4-17.6Nm 사이로 상재하중이 증가할수록 최대 토크값도 증가하였다. 조밀한 정도에 관계없이 $14-20^{\circ}$ 회전 시 최대 토크값에 도달하였으며, 베인날과 토압계의 초기 위치에 따른 최대값의 차이는 나지 않았다. 상재하중에 따라 베인에 작용하는 초기 수평응력비($K_0$)는 평균 0.33-0.35 사이이며, 베인 회전에 따라 수평응력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다가 모래 입자가 교란되면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수평응력과 토크를 이용하여 계산된 마찰각은 상재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느슨한 모래는 직접전단시험 결과와 유사한 마찰각을 보였다. 하지만, 조밀한 모래의 마찰각은 다소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립선암 치료 시 Tomoimage에 기초한 Setup 오차에 관한 고찰 (Daily Setup Uncertainties and Organ Motion Based on the Tomoimages in Prostatic Radiotherapy)

  • 조정희;이상규;김세준;나수경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07
  • 목 적: 방사선치료 중 환자의 자세나 해부학적 구조상 장기의 움직임과 치료 시 환자를 조준하면서 치료부위의 변화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인은 종양부위나 정상조직에 대한 선량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치료계획용전산 화장비에 의해 계산된 선량이 실제임상 치료 시 서로 다른 선량이 조사될 수 있다. 인체의 생리학적인 움직임과 장기 내의 움직임 등은 고정기구나 정확한 환자의 치료준비에 의해서 치료조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모영상을 통해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과 장기의 치료 간에 발생하는 차이점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환자로서 직장풍선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전립선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3달 동안 영상 자료를 수집 하였다. 각 환자마다 치료횟수 26회에 대한 토모영상을 획득하였고, 총 76회의 토모영상을 수집하였다. 각각의 토모영상은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Computed tomography simulation, CT-simulation) 시의 중심점을 이용하였고, 매 치료 시 직장풍선에 60 cc의 공기주입 후 항문 가장자리에서 6 cm 깊이에 고정하여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시킨 후 치료 전에 토모영상을 획득하였다. 토모영상은 5 mm 두께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CT-simulation와 MVCT (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 MVCT)의 융합을 위하여 납 볼을 이용하여, 토모치료의 3가지 영상융합방법으로 Bone technique, bone/tissue technique, full image technique을 이용하여 치료준비(setup)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영상융합은 눈에 보이는 납 볼 기준으로 융합하고, CT-simulation 시 획득한 영상에 MVCT에서 얻어진 영상을 융합하여, 뼈와 직장풍선, GTV을 매 치료 시 각각 비교하였다. 최초 CT-simulation 시 기준점을 중심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는 X, Y, Z, Roll에 대하여 각각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분석결과 각각의 방법에 위해서 직장풍선의 변화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정량적으로 뼈를 이용한 영상융합 결과 X방향으로 최대 8 mm, Y방향으로 4 mm의 움직임을 보였다. 직장풍선 기준으로 영상융합 한 결과 X, Y 방향으로 6 mm, 16 mm로 분석 되었다. 한 환자의 경우 16 mm 이상의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는 직장내의 공기나 분비물에 의한 움직임으로 분석 되었다. GTV 기준분석 결과 X 방향으로 2.7$\sim$6.6 mm, 4.3$\sim$7.8 mm가 Y방향으로 움직임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Roll에 대한 분석결과 영상융합과 분석상에서 확연한 차이점은 없었다. 분석결과 뼈 기준의 분석결과 0.37$\pm0.36^{\circ}$, GTV 기준분석 결과 0.34$\pm0.38^{\circ}$의 회전을 보였다.

  • PDF

옥타[8-{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옥틸 그리고 옥타[8-{4-(4'-시아노페닐아조) 펜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의 열방성 액정과 광화학적 상전이 거동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and Photochemical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Octa[8-{4-(4'-cyanophenylazo)phenoxy}]octyl and Octa[8-{4-(4'-cyanophenylazo) phenoxycarbonyl}]heptanoated Disaccharides)

  • 김효갑;정승용;정희성;마영대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76-788
    • /
    • 2012
  •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그리고 락토오스를 1-{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옥틸브롬 혹은 1-{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카보닐}헵타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옥타[8-{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옥틸 그리고 옥타[8-{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액정과 광화학적 상전이 거동을 검토하였다. 모든 {(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옥틸 이당류 에테르들(CADETs)은 단방성 네마틱(N) 상들을 형성하는 반면 모든 {(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 에스터들(CADESs)은 양방성 N 상들을 형성하였다. CADETs에 비해, CADESs는 높은 액체(I) 상에서 N 상으로의 전이 온도들을 나타냈다. 유리 셀 혹은 러빙된 폴리이미드(PI) 배향막을 지닌 셀 중에서 N 상을 형성하고 있는 이당류 유도체에 광을 조사시킬 경우, 아조벤젠기의 trans-cis 이성화에 의해 N 상은 I 상으로 변하였다. 한편, 광 조사시켜 얻은 시료를 광을 차단한 상태로 방치할 경우 열에 의한 cis-trans 이성화와 trans 아조벤젠기들의 재배열로 인하여 I 상은 최초의 N 상으로 변하였다. 유리 셀의 경우에 비해 러빙된 PI 배향막을 지닌 셀의 경우가 이당류 유도체들의 광화학적 N-I 그리고 열적 I-N 상전이 속도들은 빠르며 시아노아조벤젠기를 지닌 monomesogenic 화합물들 그리고 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옥틸 글루코오스 그리고 셀룰로오스 에테르들에 대해 관찰되는 결과들에 비해 현저히 달랐다. 이러한 결과를 주사슬의 유연성, 반복단위당에 도입된 메소겐기들의 수 그리고 아조벤젠기들간의 거리에 기인한 아조벤젠기들의 협동효과의 차이의 견지에서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