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n-B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Anti-Inhibin Serum 및 Bovine Follicular Fluld 처리가 한우 난소의 난포 발달과 혈중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Administration of Anti-Inhibin Serum and Bovine Follicular Fluid on Plasma Hormonal Level and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in Hanwoo)

  • 성환후;양병철;황성수;박성재;고응규;노환국;양보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5-322
    • /
    • 2006
  • 본 연구는 한우 난소의 난포 발달에 있어서 bFF 또는 anti-inhibin serum(AI)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Saline(0.95%, control), bFF 또는 AI를 경정맥 주사 처리한 9마리의 한우 암소에서 채혈하여 혈중 estradiol-17$\beta$(E2), inhibin 및 progesterone(P4)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들 처리에 의한 난포의 발달은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중 inhibin 농도는 bFF 처리구에서 배란 후 102시 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혈중 E2 농도는 saline 처리구의 경우 bFF 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배란 후부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나, AI 처리구는 배란 후 36시간 이후부터 108시간까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p<0.05)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중 P4 농도는 saline 처리구와 AI 처리구에서 배란 후 68시간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bFF 처리구에서는 배란 후 84시간부터 180시간까지 saline 또는 AI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5). 한편, AI 또는 bFF 처리가 난포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 발달을 조사한 결과, bFF 처리구에 비해 AI 처리구에서 발달 난포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인성 AI는 한우난소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분비가 억제되어 있던 FSH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난포 발달과 estrogen의 분비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한우에 있어서 배란 직후 새롭게 발달하는 난포에는 적어도 inhibin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이 조사된 미성숙 생쥐 난소 내 인히빈의 발현 변화 (Expression of Inhibin in the Whole-body γ-irradiated Mouse Ovary)

  • 김상수;이창주;윤현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35-35
    • /
    • 2006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 내 인히빈-${\alpha}$에 단백질 발현과 인히빈 ${\alpha}$, ${\beta}A$, 그리고 ${\beta}B$ 유전자의 발현에 감마선이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미성숙 생쥐에 감마선을 치사량의 25% 효과로 전신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 후, 0, 3, 6, 12, 24시간이 지나서 난소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난소를 이용하여, 인히빈 ${\alph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인히빈 ${\alpha}$, ${\beta}A$, 그리고 ${\beta}B$에 대한 RT-PCR을 수행하였다. 결 과: 인히빈 ${\alpha}$ 면역양성반응성은 12시간 방사선 조사 후까지 유지가 되었고, 이후에 감소하였다. 인히빈 ${\alpha}$ mRNA의 발현은 방사선 처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히빈 ${\beta}A$${\beta}B$의 mRNA의 발현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인히빈은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생쥐난포 폐쇄에 조절적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nti-Inhibin Serum 및 Follicular Fluid처리가 한우 난소의 난포발달과 혈중 호르몬변화에 관한 연구

  • 성환후;박성재;노환국;임기순;장유민;장원경;탁태영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3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anti-inhibin serum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Anti-inhibin serum(AI)은 항원으로서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접종 후 얻어진 항혈청을 사용하였다. 난포액(bFF; bovine follicular fluid)은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한우 난소로부터 직경 1.0cm 이하의 난포로부터 회수하여 스테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10% chacoal so lution(50 mg/$m\ell$, Norrit-A, Fisher Sci., USA)을 처리하여 45분간 배양후 원심분리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공시동물은 1산후 정상적으로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한우암소 9두를 난소감정후 황체를 확인하여 PGF2$\alpha$제제(lutylase. USA)를 주사하여 발정을 유기한 다음, 난소의 first wave가 시작되는 시기인 배란직후 12시간째부터 4일간 일일 2회 5 $m\ell$씩 총 8회 40 $m\ell$의 AI와 bFF를 각각 경정맥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으며 채혈 및 정맥주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정맥에 카테타를 설치하여 6시간간격으로 총 200시간까지 채혈하였으며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포의 발달을 검토하였다. 채혈후 혈중Inhibin, progesterone 및 Estrad iol-17$\beta$농도의 분석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중 Progesterone농도는 대조구와 AI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째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68시간부터 170시간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혈중 Estradiol-17$\beta$농도는 대조구의 경우 bFF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배란후부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나, AI 처리구는 배란후 36시간이후부터 108시간까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되었다. 한편, 혈중 Inhibin농도는 전 구간에서 배란후 84시간까지 불규칙한 농도를 보이다가 bFF처리구에서는 배란후 84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우 난소의 Follicular Fluid의 특징과 과립막 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 분비에 대한 Anti-Inhibin Serum의 첨가효과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Ovarian follicular Fluid and Ant-Inhibin Serum on Steroid Hormone Secretion by Hanwoo Granulosa Cells In Vitro)

  • 성환후;민관식;양병철;노환국;최선호;임기순;장유민;박성재;장원경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24
    • /
    • 2001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inhibin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nti-inhibin serum(AI)생산을 위해 사용된 항원은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혼합,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면역 실시 후 52일째의 토끼로부터 항혈청을 생산하였다. 과립막 세포의 체외배양을 위해 D-MEM(10% FCS와 antibiotics를 첨가)을 배양액으로 하여 1$\times$$10^{6}$ cells/$m\ell$로 조절하였으며, 호르몬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법에 의해 과립막 세포 및 황체조직의 각 세포질을 SDS-PAGE로 분리하여 nitro cellulose membrane에 transfer하여 검토한 결과, 직경 1.0 cm의 성숙 난포의 granulosa cell의 세포질에서 특이하게 Inhibin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황체조직 및 성숙 난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난포 크기별 난포액의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eta$을 농도를 분석한 결과, estradiol-17$\beta$농도는 난포 크기가 직경 2.0 cm부터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감소되었다. 이에 반해, Progesterone 농도는 직경 2.0 cm 난포에서 가장 높았으며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낮았다. 과립막 세포의 48시간 체외배양에서 bFF 5% 처리구와 bFF 5%+AI 5% 처리구에서는 progesterone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나, AI 5% 단독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stradiol-17$\beta$농도는 5% AI구와 5% AI+5% bFF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5% bFF 단독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에 있어서 성숙난포에 존재하는 Inhibin은 AI처리에 의해 내인성 Inhibin의 기능이 약하되어 FSH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난포발달 및 난포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합성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보조 생식술 결과에 있어서 기저혈중 Inhibin-B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 (Prognostic Value of Day 3 Inhibin-B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Outcome)

  • 배상욱;김진영;이경술;원종건;이용주;이지원;장경환;이병석;박기현;조동제;송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2호
    • /
    • pp.217-223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B concentrations <45pg/ml (conversion factor to SI unit, 1.00) demonstrate a poor response to ovulation induc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outcome to women with inhibin-B${\ge}45pg$/ml, independant of day 3 FSH, E2 and patient age. From Jan 1996 to Dec 1996, 16 volunteers patients who underwent 25 IVF cycles with luteal phase GnRH agonist suppression and HMG stimulation were allocated to the study group. We evaluated day 3 serum inhibin-B, FSH, E2, peak E2,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 and clinical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 according to the above two groups and independent of patient age, day 3 FSH, day 3 E2 and all of above combined.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B${\ge}45pg$/ml demonstrated higher average day 3 inhibin-B level, clinical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20.3{\pm}2.5$ pg/ml vs $80.9{\pm}5.0$ pg/ml, p<0.05; 24.8% vs 8.5%, p<0.05) and lower day 3 FSH level,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6.9{\pm}0.3$ mIU/ml vs $8.5{\pm}0.5$ mIU/ml, p<0.05; 1.5% vs 9.0%, p<0.05).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ge}45pg$/ml and age<40 year demonstrated higher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28.2% vs 7.4%, p<0.05) and lows. day 3 FSH level,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6.9{\pm}0.5$ mIU/ml vs $8.2{\pm}0.7$ mIU/ml, p<0.05; 1.0% vs 9.0%, p<0.05).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ge}45pg$/ml and day 3 FSH<15mIU/ml demonstrated higher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33.5% vs 9.5%, p<0.05) and lower day 3 FSH level,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7.7{\pm}0.2$ mIU/ml vs $8.5{\pm}0.5$ mIU/ml, p<0.05; 1.5% vs 10.0%, p<0.05).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ge}45pg$/ml and day 3 E2<50pg/ml demonstrated higher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30.0% vs 9.5%, p<0.05) and lower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1.5% vs 9.5%, p<0.05). Women with day 3 serum inhibin${\ge}45pg$/ml, age<40 year, day 3 FSH<15mIU/ml and day 3 E2<50pg/ml demonstrated higher pregnancy rate per initiated cycle (30.0% vs 10.8%, p<0.05) and lower day 3 FSH level, cancellation rate per initiated cycle ($6.8{\pm}0.6$ mIU/ml vs $8.4{\pm}0.9$ mIU/ml, p<0.05; 1.5% vs 7.8%, p<0.05). Therefore women with low day 3 serum inhibin-B concentrations demonstrate a poorer response to ovulation induction and are less likely to conceive a clinical pregnancy though ART relative to women with high day 3 inhibin-B and day 3 serum inhibin-B, in addition to a day 3 FSH, E2 and patient age, appears helpful in prediction in IVF-ET outcome.

  • PDF

한우 난소 과립막세포의 체외배양에서 Follicular Fluid 및 Anti-Inhibin Serum의 첨가효과

  • 성환후;최선호;장유민;박진기;장원경;정일정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3-33
    • /
    • 2001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inhibin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Anti-inhibin serum(AIS) 생산을 위해 사용된 항원은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8회 실시후 ELISA Leader로 항혈청의 역가를 확인하였다. 난포액(bFF; bovine follicular fluid)은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한우 난소로부터 직경 1.0cm 이하의 난포로부터 회수하여 스테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해 10% chacoal solution(50 mg/$m\ell$, Norrit-A, Fisher Sci., USA)을 처리하여 45분간 배양후 원심분리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과립막세포의 체외배양을 위해 D-MEM용액(10% FCS와 antibiotics를 첨가)을 배양액으로 하여 1 $\times$ $10^{6}$ cells/$m\ell$로 조절하였다. 호르몬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원-항체반응은 항원처리후 24일째부터 항체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52일째에서 높은 항원-항체반응을 보였다. 한편, 난포크기별 난포액의 progesterone 및 Estradiol-l7$\beta$을 농도를 분석한 결과, Progesterone 난포크기가 직경 1.0 cm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직경 2.0cm의 난포액에서는 높은 progesterone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난포크기별 난포액중 estradiol 17$\beta$농도는 직경 1.0cm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포직경이 1cm일 경우에 난포액내 etradiol-17$\beta$가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과립막세포의 체외배양에서 배양 24시간에서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분비는 약 40ng/1$\times$$10^{6}$ cell/well/$m\ell$ 전후로 나타났으며 bFF 5%, AI 5% 및 bFF+AI 첨가구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48시간배양구에서는 24시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분비되었으며, bFF 5%처리구와 bFF5%+AI5%처리구에서는 progesterone을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나 AI 5%단독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한편, 각 세포질을 SDS-PAGE로 분리하여 nitro cellulose membrane에 transfer하여 Western blotting법에 의해 검토한 결과, 직경 1.0 cm의 성숙난포의 granulosa cell에 특이하게 Inhibin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에 있어서 성숙난포에 존재하는 Inhibin은 난포발달 및 난포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합성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Plasma Inhibin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Sahiwal Cattle (Bos Indicus) and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 Mondal, S.;Prakash, B.S.;Palta,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6-10
    • /
    • 2003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eripheral plasma immunoreactive inhibin (ir-inhibin)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the stage of oestrous cycle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cycling Sahiwal cattle (Bos indicus) and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ce daily for thirty-two consecutive days from cattle and buffaloes (5 each) during winter months of January and February. Mean (${\pm}$S.E.M.) plasma ir-inhibin concentrations ranged from $0.40{\pm}0.01$ to $0.59{\pm}0.03ng/ml$ in cattle and from $0.29{\pm}0.03$ to $0.52{\pm}0.05ng/ml$ in buffaloes. In cattle, ir-inhibin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0.47{\pm}0.07ng/ml$ on day -4 (day 0=day of oestrus) to reach a maximum value of $0.59{\pm}0.03ng/ml$ on day -2. Thereafter, ir-inhibin concentrations showed a decline to reach a low of $0.40{\pm}0.01ng/ml$ on day 11 of the oestrous cycle. In buffaloes, ir-inhibin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0.38{\pm}0.04 ng/ml$ on day -4 to reach a maximum concentration of $0.52{\pm}0.05ng/ml$ on day -2. Ir-inhibin concentrations then declined to reach a low of $0.29{\pm}0.03ng/ml on day 9 of the cycle. In both cattle and buffaloes, ir-inhibin concentrations which were lowest ($0.43{\pm}0.02$ and $0.34{\pm}0.02ng/ml$, respectively) during the mid-luteal phase of the oestrous cycle increased (p<0.05) to $0.52{\pm}0.03$ and $0.44{\pm}0.04ng/ml$, respectively, during the late luteal phase, and then further to the highest value of $0.53{\pm}0.02$ and $0.49{\pm}0.04ng/ml$,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estrus phase, following which these declined to $0.50{\pm}0.02$ and $0.39{\pm}0.03ng/ml$, respectively, during the early luteal phase. The variations in peripheral plasma ir-inhibin profile in both the species appear to be related to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follicular populations during the oestrous cycle. Peripheral plasma ir-inhibin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cattle (r=-0.51, p<0.01) and buffaloes (r=-0.30, p<0.01) indicating that the corpus luteum is not a source of peripheral ir-inhibin in these species.

Insulin as a Potent Stimulator of Akt, ERK and Inhibin-βE Signaling in Osteoblast-Like UMR-106 Cells

  • Ramalingam, Mahesh;Kwon, Yong-Dae;Kim, Sung-J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589-594
    • /
    • 2016
  • Insulin is a peptide hormone of the endocrine pancreas and exerts a wide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ons in insulin sensitive tissues, such as regulation of glucose homeostasis, cell growth, differentiation, learning and memory. However, the role of insulin in osteoblast cells remains to be fully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insulin (100 nM) has the ability to stimulate the phosphorylation of protein kinase B (Akt/PKB)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the levels of inhibin-${\beta}E$ in the osteoblast-like UMR-106 cells. This insulin-stimulated activities were abolished by the PI3K and MEK1 inhibitors LY294002 and PD98059, respectively. This is the first report proving that insulin is a potential candidate that enables the actions of inhibin-${\beta}E$ subunit of the TGF-${\beta}$ family. The current investigation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realization of insulin as a potential stimulator in survival signaling pathways in osteoblast-like UMR-106 cells.

Effects of Maternal Exposure to Xenoestrogens on the Steroidogenesis in Mouse Testis of Male Offspring

  • An, Su-Yeon;Lee, Hoon-Taek;Kim, Suel-Kee;Yoon, Yong-Dal;Lee, Ho-Joon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1-31
    • /
    • 2003
  •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abnormalities in the male has been reported to have increased during the past 50 years. These changes may be attributable to the presence of chemical with oestrogenic activity in our environment.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ernal exposure to xenoestrogens on the testicular development and on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the steroidogenic enzyme and subunits of inhibin/activin in testis of male offspring. Pregnant female mice were administrated with 4-tert-octylphenol (OP; 2, 20, 200mg/kg), Bisphenol A (BPA; 2, 20, 200$\mu\textrm{g}$/kg), $\beta$-estradiol 17-valerate (EV; 2$\mu\textrm{g}$/kg) or vehicle (CV; corn oil) during gestational days 11 to 17. Offsprings were sacrificed on gestational day 18 (fetal 18) and neonatal day 7. Body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all doses of OP and BPA. Maximum seminiferous tubules diameter on gestational day 18 were not changed in any treatment group, however,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neonatal day 7 in the group treated with low-dose of OP (2 mg/kg) and BPA (2 $\mu\textrm{g}$/kg). Increased expression of the P450$_{17a}$-hydroxylase dehydrogenase (P450$_{17a}$), 3$\beta$-hydroxylase dehydrogenase (3$\beta$-HSD), and 17$\beta$-hydroxylase dehydrogenase (17$\beta$-HSD) on gestational day 18 were observ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2 or 20 mg/kg of OP. However, expression of the steroidogenic enzymes were not chang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all the doses of BPA. In contrast with the results from fetal testis, no expressional changes of these enzymes was found in all the OP-treated group and increased expression of inhibin/activin $\beta$B subunit mRNA were obseued in the 200 $\mu\textrm{g}$/kg BPA-treated group in the neonatal day 7.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stational exposure to low level of xenoestrogen causes a stimulatory effects on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s of steroidogenic enzymes and subunits of inhibin/activin and on the seminiferous tubule development by their estrogen-like actions.ons.

  • PDF

유리화 동결법에 의한 난자의 동결 중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tabilizer, Taxol의 처리 후 배발달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형민;박성은;임정묵;고정재;정미경;차광렬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4-74
    • /
    • 2001
  • 난자 동결방법의 선별은 보다 효과적인 난자은행의 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결융해후의 난자는 방추사와 염색체의 이상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융해후의 배발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화동결법동안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ystem을 안정화시키는 cytoskeleton stabilizer인 taxol을 첨가시킨후 동결시켰을때 생존율과 발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axol을 첨가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첨가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시킨후 5.5 M EG와 1 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정자와 체외수정을 시킨 후 수정된 난자는 modified P1 배약액에 124 h까지 발달율을 관찰하였고, 배양 후 발달된 배반포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4마리의 발정동기화된 recipient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배발달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4세포기 (48 vs. 84.4%), 8세포기 (34% vs. 70.6%), 상실배 (26% vs. 58.6%) 그리고 배반포 발달율은 (24% vs. 58.6%)로 높게 관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ing a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