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etric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계량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 연구: 2001-2010년 연구영역 분석 (Intellectual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of Informetrics: Domain Analysis from 2001 to 2010)

  • 이재윤;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6
    • /
    • 2011
  • 1990년대부터 계량정보학은 정보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는 분야로 발전해오면서 현재 계량서지학, 사이언토메트릭스 등 모든 계량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계량정보학의 역동적인 발전을 조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 연구출판물을 기반으로 하여 이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적용된 기법은 통계적 기법과 프로파일링 기법이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SC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Web of Knoewledge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음과 같은 5개의 질의를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informetrics', bibliometrics', scientometrics', webometrics', citation analysis.' 프로파일링 기법으로 주요 주제, 저자, 저널별로 지적구조도를 제시하였으며 계량정보학 연구를 수행한 주요 국가, 기관, 저자도 분석되었는데 미국과 영국이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M. Thelwall이 10년동안 생산성이 가장 높은 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코프모형의 계량정보학적 응용연구 (A Study on Markov Chains Applied to informetrics)

  • 문경화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2호
    • /
    • pp.31-52
    • /
    • 1999
  • 계량정보학 연구영역의 하나인 운영연구(Operation Research ; OR)중 미래예측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마코프모형(Markov Chains)의 통계기법을 활용한 두가지 실험사례를 살펴보고, 최근의 연구경향을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시스템 운영과 설계에 마코프모형을 응용할 수 있는 네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계량정보학의 한 분야로 적용되고 있는 마코프모형에 관한 국내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국내 계량정보학에서의 마코프모형 연구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 PDF

Mapping Publication Pattern in African Journal of Library, Archives and Information Science, 2009-2018: An Informetric Study

  • Amusan, Blessing Babawale;Adeyoyin, Samuel Olu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7-34
    • /
    • 2022
  • This informetric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articles and authors that published in African Journal of Library, Archives and Information Studies [AJLAIS]) from 2009 to 2018; considering the year-wise growth of research articles; authorship pattern and collaboration ratio; subject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authors; and authors' productivity level. A descriptive informetrics research design was adopted. Quota sampling technique was used to select all the articles published within the ten-year period. Data collected through a self-designed checklist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count and percentage. The findings revealed that 141 articles, contributed by 266 authors were published by AJLAIS during the period. An annual average growth of 1.20% was recorded. Overall year-wise authorship pattern revealed that majority of articles (62.41%) published in AJLAIS were multiple authored. Also, articles on Informetrics and ICT dominated the journal. Some subject areas not covered were identified such as: indexing and serial collections management. Average collaborative index across the 10-year period for the journal was 0.62. South Africa and Nigeria were the two major prolific contributors to AJLAIS, just as evidence-based research papers of survey type (65.25%) were the most common to the journal. There should be increased numbers of articles in each edition over the coming years, and awareness should be created by the publishers to familiarize the researchers with the publishing requirements of the journal. Also, LIS researchers should concentrate more on areas usually left untouched by previous studies. The study is original as no other similar study was found on publication pattern of articles in AJLAIS covering a ten year period of 2009-2018.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also serve as a feedback mechanism for the Publisher of the Journal and LIS researchers on how to improve the journal and LIS research in general.

계량정보학분야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및 문헌네트워크 분석 : 국가, 기관, 문헌단위 분석 (Collaboration Networks and Document Networks in Informetrics Research from 2001 to 2011: Finding Influential Nations, Institutions, Documents)

  • 이재윤;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9-191
    • /
    • 2013
  • 계량정보학자들이 학술논문을 통해 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시작한 이후 계량서지학, 과학계량학, 계량정보학, 웹계량학, 인용분석 등은 정보학의 주요 분야로 성장하였다. 계량정보학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 연구출판물을 기반으로 하여 이 분야 연구 발전에 기여한 국가, 기관, 논문을 파악하고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SC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법으로 Pathfinder 네트워크 분석과 PNNC기법을 사용하고, 협력관계와 연구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PageRank와 h-index 기반의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협력연구네트워크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는 미국과 영국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관으로는 유럽의 암스테르담 대학과 루벤 카톨릭대학 그리고 미국의 인디아나 대학과 해군연구개발국이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논문 수준에서는 PageRank와 single paper h-index 척도로 분석한 결과 Hirsch의 h-index 논문과 Ingwersen의 웹 영향력 지수 논문이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전략기술 R&BD지원 정보분석 체제구축

  • 문영호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13호
    • /
    • pp.85-94
    • /
    • 2004
  • 최근 정보와 지식의 폭발적인 증가,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달로 어떻게 하면 핵심적인 정보를 찾아내고 그러한 지식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semantic web, DB mining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ontology 등 지식의 구조화작업 등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또 이러한 지식을 디지털 화하고 계량화해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들인 informatics, informetrics 등의 분야도 급속히 관심을 끌고 있다.

  • PDF

계량정보학의 변천과 응용에 관한 고찰 -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A Transition of Informetrics and Its Application : With Relation to Information Service)

  • 장우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년도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4
    • /
    • 1996
  • 학문은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시대적 환경에 적응하여 발전한다. 즉, 서로의 영역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고 실제로 이를 응용하고 있는 것이다. 계량서지학, 계량과학학, 문헌과학학등으로 일컫고 있는 계량정보학은 문헌의 분석을 위해 수량학적 방법으로 적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활발히 연구되어 응용되고있는 분야는 텍스트검색시스템, OPACs, 비디오텍스시스템, 하이퍼텍스트시스템, CD-ROM, 온라인 정보서비스, 전자출판, 전자우편, 케이블 TV 등의 전자정보서비스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의 사적변천과 연구영역, 그 응용과 실제를 고찰하였다.

  • PDF

도서관 R&D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R&D Policy Agenda)

  • 이수상;노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9-2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사회/스마트 세대를 위한 스마트 도서관을 지향하기 위해 필요한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책적 과제들을 발굴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R&D 정책과제 탐색을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계량정보 분석 방법과 주제분석 방법,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 분야의 유망과제를 발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한 도서관 R&D 유망과제 예비 리스트는 연구팀의 브레인스토밍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과제화 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종 과제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AHP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를 스스로 주도할 수 있는 지적 기반의 마련을 위한 R&D 과제 개발 및 이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 Mysore 대학교 연구성과의 계량정보학적 분석: 1996-2006 (Growth and Impact of Research Output of University of Mysore, 1996-2006: A Case Study)

  • Kumbar, Mallinath;Gupta, B.M.;Dhawan, S.K.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241-257
    • /
    • 2008
  • 이 연구는 University of Mysore의 과학기술 분야 연구자들이 수행한 연구성과의 성장과 기여,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 대학 소속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저널에 발표된 연구성과의 집중 및 분산 정도를 조사한다. 평균인용도의 측면에서 이 대학이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는 연구영역, 성장률과 영향, 학과별 연구동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전반적인 수준과 주제분야별, 국가별로 연구성과의 국제적 협력에 대해 조사한다. 인용빈도가 높은 논문과 생산성이 높은 저자의 특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Synchronization-Based Approach for Multi-step Discovery of Knowledge Structures

  • Yu, So 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2권2호
    • /
    • pp.16-32
    • /
    • 2014
  • As Topic Modeling has been applied in increasingly various domains, the difficulty in naming and characterizing topics also has been recognized more.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an approach of combining text mining with network analysis in a multi-step approach. The concept of synchronization was applied to re-assign the top author keywords in more than one topic category,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topic-author keyword network, and to increase the topical cohesion in each topic. The suggested approach was applied using 16,548 articles with 2,881 unique author keywords in construction and building engineering indexed by KSCI.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ombined approach could improve both the visibility of the topic-author keyword map and topical cohesion in most of the detected topic categories. There should be more cases of applying the approach in various domains for generalization and advancement of the approach. Also,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methods should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the suggested approach.

정보학연구의 25년간 동향 분석 : JASIST 논문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JASIST 1985-2009)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9-155
    • /
    • 2010
  • 정보공학의 발전이 급속적으로 또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학분야의 연구 역시 역동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5년간 정보학분야 연구동향의 변화를 주제별로 조사하고 그 중 가장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정보학 핵심분야의 연구경향과 그 변화를 세밀하게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85년부터 2009년간 JASIST에 실린 2,304 연구논문의 주제를 조사한 후 5년을 한 단위로 보고 다섯 기간 동안의 연구 동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분야는 '정보검색'이며 25년간 계속적으로 정보학자들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진 분야였다. 다음으로 '계량정보학'은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이용과 이용자'는 계속적으로 연구되는 분야인 반면, '네트워크와 정보기술'과 '출판과 서비스'는 80년대에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들어 이에 대한 연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검색 분야는 검색이론 및 탐색전략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및 의미처리, 웹검색 관련 연구로, 계량정보학 분야는 학술적 커뮤니케이션의 종적 또는 횡적 현상을 기술하는 연구에서 학술적 커뮤니케이션의 문맥적 특징을 찾아내는 연구로 변환되고 있다. 또한 정보이용 분야에서는 정보검색과 관련된 이용자의 정보추구 행태 및 인지 모형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에 주를 이루고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