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types according to frequency of exposu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8초

노출빈도와 인지도 관계에 따른 정보의 유형과 표현기법 (Information Types and Display Method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Exposure and Degree of Cognition)

  • 한지애;류시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97-504
    • /
    • 2012
  • 본 연구는 사용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고찰로써, 정보의 노출빈도와 인지도의 관계에 따른 정보의 유형과 속성에 따른 표현 기법을 제안하였다. 인지공학과 인지심리학 분야의 문헌연구를 통해 노출빈도와 인지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용자의 인지적 요구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웍'으로써의 정보유형과 유형별 시각화 속성을 제안하였다. 세부적으로 정보 노출 빈도와 정보의 인지도에 따른 STM, STA, LTM, LTA 4가지 정보 유형과 각 유형에 관한 인지적 특성, 14가지 고품질 정보의 시각화 속성을 유형별로 재분류한 '시각화 속성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둘째, 정보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깊이에 따른 표상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1차적 정보로서 STM, STA 정보의 표현기법으로 "독특속성", "선행 조직자(Advance Organizer)", "단계적 정보공개(Progress Closure)", "행위유발단서(Affordance)"를 제안하였으며, 다차원 정보로서 LTM 정보 표현기법으로 "모듈방식(Modularity)", "일관성(Consistency)", "모방(Mimicry)", "기억술(Mnemonic Device)"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점으로 정보의 유형과 깊이에 따라 정보의 시각화 속성의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에 따라 정보 표현기법이 달라 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트마케팅의 명화차용 유형이 광고태도와 진단성(Diagnosticity)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Infusion Type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Diagnosticity in Art Marketing)

  • 김민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11-417
    • /
    • 2019
  •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아트마케팅이 대중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활용한 광고 형식을 유형화 한 후 명화의 시장 노출 빈도에 따른 소비자들의 광고 효과(광고태도/회상/진단성)를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명화 활용 방식에 따른 회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해석된 명화에 대한 진단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노출빈도가 적은 명화광고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회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 노출빈도가 높은 명화를 재해석한 광고가 가장 회상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관여 제품에 한정하였으나 향후 저관여 제품에 대한 연구도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결과는 효과적인 명화차용 광고를 제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Recognition of the Eroticism in Fashion Advertisement

  • Lim, Mi-Ae;Choi, In-Ryu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2권1호
    • /
    • pp.13-25
    • /
    • 2009
  • This research is progressed to look out for efficient expression-elements of eroticism used in advertisements. Since these expressions of eroticism appealing to sex which is one of the primitive instincts of mankind are increasing in advertisements of cosmetic products which are used more often by recent high-rate-growth and the elevation of living conditions. The most usual expression-elements of eroticism in advertisement are exposure, pose, fashion style, make up, hair style and color. To analyze those expression-elements we made four pieces of fashion advertisement photos with four different types and surveyed both fashion majored students and non-fashion majored students. We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We found that in eroticism, the pose was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feature among the expression-elements and degree of cognition are varied according to major field and sexual interest. As a result, degree of cognition which effected by expression-elements will be varied even in same advertisement. In particular, convincing that the pose was the significant factor of eroticism cognition, expression of eroticism in advertisement would be more diverse and daring.

  • PDF

미용성형부위 및 의복행동그룹에 따른 의복스타일선호에 관한 연구: 미용성형을 경험한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Study on Clothing Style Preference according to Cosmetic Surgery Parts and Clothing Behavior Group: Based on Cosmetic Surgery Experienced by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이정은;최정욱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1호
    • /
    • pp.182-198
    • /
    • 2014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cosmetic surgery parts and to research how the clothing style preference is expressed depending on each clothing behavior group. This study focuses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om have cosmetic surgery experiences. From the women being evaluated, the following groups are divided and then surveyed with equal frequency and ratio: 'facial surgery', 'face contour surgery', 'breast surgery', and 'body figure revision'.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cosmetic surgery, they prefer silhouettes which show body shapes, diversity of color tones, and more overall exposing preferences. After investigating the preferred clothing styles based on cosmetic surgery parts, it is being analyzed that body exposure is more aggressively expressed upon after taking the surgery because the self satisfaction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ir body shapes after the surgery. Lastly, after looking into the cosmetic surgery and the clothing preferences styles of each clothing behavior group, there seems to be more breast surgeries and body figure revisions for aggressive and extroverted characters: the sex-appeal and mood switching type. It is also being analyzed that facial surgeries are more common in the passive group: information collection, trend alignment, and beauty preference. Such results are also reflected in clothing preferences styles: the biggest change is shown in the aggressive and extroverted group, the sex-appeal types.

K-Beauty 구전효과가 온라인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중국 SINA Weibo와 Meipai 중심으로 (Word-of-Mouth Effect for Online Sales of K-Beauty Products: Centered on China SINA Weibo and Meipai)

  • 류미나;임규건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1호
    • /
    • pp.197-218
    • /
    • 2019
  • 중국 화장품 전체 교역중 약 67% 정도가 전자상거래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한국 화장품인 K-Beauty 제품의 인기가 높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화장품 같은 소비재의 경우 소비자의 80%는 제품 구매 전 제품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며 구전정보에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의 중국 소비자들은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주요 SNS에 다른 소비자들이 올린 댓글을 통해 획득하며 최근에는 뷰티 관련 동영상 채널 정보를 이용하기도 한다. 기존의 온라인 구전 관련 연구는 대부분 Facebook, Twitter, 블로그 등의 매체 자체가 중심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정보의 전달 형태와 정보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보유형을 동영상과 사진 및 텍스트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중국의 SNS대표 플랫폼인 SINA Weibo와 동영상 플랫폼 Meipai의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고 온라인 구전정보를 양과 방향성으로 나누어 K-Beauty브랜드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Meipai에서는 총 약 33만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INA Weibo에서는 총 약 11만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화장품의 기본 속성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매출은 K-Beauty화장품에 대해서도 구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입증함과 동시에 특히 정보 유형에 대한 구분을 시도 했다는 것이다. 두가지 매체 모두 기존 연구와 같이 양이 매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매체풍부성으로 인해 텍스트보다 동영상이 정보를 더 주고 영향이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정보 방향성 측면에서는 색조화장품의 경우 부정 댓글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실무적으로는 화장품 판매 전략 및 광고 전략에 기초 및 색조 화장품을 구분하여 중국 K-Beauty화장품 매출증대를 위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흡연습관에 따른 폐암발생 감수성에 대한 성별의 차이 (Gender Differences of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According to Smoking Habits)

  • 최충경;신경철;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5호
    • /
    • pp.576-584
    • /
    • 2000
  • 연구배경 : 흡연이 폐암발생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흡연 양이나 흡연기간 뿐만 아니라 흡연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의 역할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남녀별 흡연력 및 흡연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폐암의 발생위험도를 구하여 담배 속 발암물질에 대한 남녀별 감수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법 :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를 방문하여 폐 기능 검사를 받았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흡연력 및 흡연량, 흡연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확인된 경우를 대상환자로 하였고,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차비를 구하고, 이를 폐암발생의 상대적인 발생위험도로 인정하였다. 결과 : 흡연력이 있었던 여자는 흡연력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교차비는 1.9이었으며, 특히 Kreyberg I의 경우 교차비는 3.8로 증가하였다. 또한 여자 중 현재흡연자의 교차비는 4.0으로 남자의 2.3보다 훨씬 높았다. Kreyberg I 여자 환자로 20갑 년 이상 흡연하였을 때 교차비는 5.4(남자 : 1.6), 하루 1갑 이상 흡연 하였을 경우 교차비는 6.9(남자 : 5.0)로 남자보다 훨씬 높았다. 흡입정도에 따른 교차비는 중등도 이상 흡입한 경우 여자 6.7, 남자 2.4로 여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한 개피 당 동일한 길이의 담배를 피웠을 때도 폐암의 발생 위험도는 여자가 높았다(여자 3.7:남자 2.0). 또한 필터 유 무에 따른 폐암 발생위험도의 차이는 남녀 모두에게 있었으나 여자에서 더 뚜렷하였다. 결론 : 흡연에 따른 폐암발생의 감수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성별간 감수성의 차이는 흡연 양이나 흡연습관, 또는 환경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의 활성이나 제거 등과 같은 대사의 차이에도 그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