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ubject achieveme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Subject Achievement According to Information Classes)

  • 박성준;임현승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07-9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의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2개의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학년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성별, 학년, 정보교과목에 대한 교외학습, 개인학습 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인의 성적이 상위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 정보교과성취도 수준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진로성숙도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제도의 발전 방향을 간략히 제시한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area of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007 revised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 김경훈;이경낭;강신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3-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정보 사회와 정보 기술"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성취기준을 상세화하고, 성취 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새 교육과정을 근거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2010년도에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들의 학습 목표의 설정, 학습 범위와 내용 수준 설정, 교수-학습 방법 개선, 평가 방법 개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국가수준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of Middle School Educational Achievement)

  • 김민호;송희헌;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1호
    • /
    • pp.45-52
    • /
    • 2010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07년까지 표집 평가를 시행해 왔지만 2008년에는 해당 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 평가 체제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달리 도수 분포표를 이용하여 석차계산 시간을 단축하고, 성적 통지표 출력을 위한 점수 입력을 자동화하였다. 또한 구현한 시스템에서는 도 전체 학업성취도 현황, 총점 및 교과별 점수 도수분포, 문항난이도와 변별도, 오답지 매력도, 교과별 성취도, 성별 지역별 성취도, 교육 청별 성취도, 학교별 성취도, 개인별 성취도, 성적 우수자 현황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e Stydy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Academic Achievement)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3-71
    • /
    • 2003
  •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연구 영역을 설정하여 대표적인 관련 논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하는 메타 연구 방법론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본고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연구 영역, 연구 방법, 통계 기법,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구 탐색 등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학교도서관이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유학 분야의 석. 박사 논문 등 학술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학교도서관과 학업성취도의 과학적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 교과 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스마트 교수-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lipped Learning-Based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Subject Matter Education)

  • 이미화;박상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과 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스마트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과 성취 수준 및 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교수-학습 시스템은 비디오 파트, 데이트 파트, 러닝라인 파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플립 러닝 기반 수업을 위하여 프레젠테이션, 사전 수업 동영상, 스프레드시트 등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시스템을 수업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교과 성취 수준 신장 및 교과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 Attitude)

  • 송정범;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22
    • /
    • 2011
  • 이 연구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2개반 73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을, 통제집단은 교과서 중심의 분과형 수업을 12차시 동안 처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인지적 영역인 수학 과학 학업성취에 있어서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분과형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학업성취 하위요인인 지식, 이해, 적용 영역으로 사후 검증한 결과 지식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해와 적용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의적 영역인 교과 태도 수준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은 현행 수학 과학 교과의 정의적 영역인 흥미를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4차원 인공지능 융합 교육 모형 (4D AI Convergence Education Model)

  • 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필수화되어 각 교과에서 인공지능과 융합할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모형은 교과 내용(성취기준+주제)을 한 축으로 한다. 두 번째 축은 인공지능 도구이고, 세 번째 축은 인공지능 기술이고, 네 번째 축은 생활 속 적용 데이터이다. 인공지능을 각 교과에 적용하기 위해서 각 교과의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에 인공지능 도구, 인공지능 기술, 생활 속 데이터 적용을 하여야 한다. 이렇게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을 구성하면 각 교과와의 융합이 잘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과 주제별로 교과서를 구성할 때에 인공지능 도구, 인공지능 기술, 생활속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학습자 배경변인과 국가수준 영어 학업성취도 (Students' variabl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English)

  • 장경숙;이의갑;김미경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3호
    • /
    • pp.253-273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issues on how students' variables are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in English subjec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s conduced every year to measure educational progress and achievement, and to monitor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appropriat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also serves the purpose to collect background information affecting educational achievement. The background information is gathered by using questionnaires for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mong the student variables i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is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s composed of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learning strategy. In the NAEA in 2005 it was found that the feature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est scores in English.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 scores in English and information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for learning and teaching.

  • PDF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cademic Library Usag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도서관 이용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S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과 학생들의 평점평균(GPA) 정보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검증은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요인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학술정보 자료와 학습시설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이 더 높은 등급의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using the Formal Concept Analysis - Focusing on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

  • Cho, Dong-Heon;Choi, Kyu-Ha;Hwang, Suk-H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3-129
    • /
    • 2016
  • This study had a purpos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entrance examination score using FCA and framing a concept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nd entrance examination score and then, building concept lattice. The subject for this analysis was admission materials of freshmen in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t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area in 2010. Also 56 students in total were subjects for the score analysis of their first semester from 2010 to 2014.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e organized and extracted many-valued context, concept lattice, associated rules using FCA.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nd entrance examination score using FC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We could get meaningful analyzed results using FCA.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had lower relativeness with entrance examination score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an male students. The improvement points are summarized belo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atio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to increase the regular admission for a university. And programs for completing College-preparatory programming for male students in low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