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Poverty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Towards alleviation of the digital divide and poverty through land information

  • Liou, Jae-Ik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9-43
    • /
    • 2002
  • Accesses to lands, houses, the Internet and other utilities are regarded as basic human needs to escape poverty and are requir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gital divide and socio-economical inequality. The digital divide might not be a single technical disparity, but stems from a complicated mixture of economic and socio-technical symptoms of inequality. There is growing awareness of scrutinizing causal mechanisms between the digital divide and poverty since combating poverty could be a primary step to mitigate the digital divide. In this paper, the Hexad model is proposed to explicate poverty interpretation by using 6 parameters as a major tool for partly assisting in poverty monitoring system in connection with land information. A solution model of the Internet is suggested to break the digital divide. It expoun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new idea for poverty management to notify spatio-temporal locations of poor actors and geography of the digital divide when efforts of poverty eradication hinge on understandings of geographic location of digital disadvantaged groups through parcel-based land information.

  • PDF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Information Service for Overcoming Information Poverty of North Korean Refugees)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5-356
    • /
    • 2006
  • 이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 급격히 유입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이 겪고 있는 정보빈곤 문제와 그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심층면담과 설문조사를 분석 한 결과, 그들은 정보 리터러시의 결핍과 열악한 정보환경 등으로 인해 남한사회 정착과 적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입수하여 활용하지 못하는 정보빈곤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빈곤을 해소하고 그들의 정보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정보지원체계를 수요자인 북한이탈주민 중심의 정보 서비스 체계로 전환하는 한편,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마인드와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 방안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북한이탈주민들도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적극적인 정보추구를 통해 남한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Convergence of Poverty Rates among States across the U.S.

  • 김영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31-142
    • /
    • 2018
  • Since income growth rate and poverty level are rel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verty rate may converge in the long run steady state as well. If the poverty rate converges, then for this study the state that begins with the high poverty rate would have a higher poverty reduction rate. To examine the convergence of poverty rate among the US states, this study uses two times series methodologies. First,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loss from ignoring the structural break when testing for a unit root in a single time series, this study employs the newly developed panel LM unit root tests with level and trend shifts. The results of unit root tests of the log of poverty rate without allowing for structural breaks show that twenty six states reject the null hypothesis of unit root test for the ADF test, twenty five states for the LM test, and thirty five states for the RALS-LM test. The result of unit root tests that allow one structural break shows that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test is rejected for twenty two states with the LM test, and thirty three states with the RALS-LM test. This supports poverty rates are converging among US states.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Povert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Based on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 민수진;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1-261
    • /
    • 2022
  • 본 연구는 Chatman(1996)의 정보빈곤이론(Theory of Information Poverty)을 바탕으로 정보 빈곤이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정보빈곤의 개념을 은폐(Secrecy), 기만(Deception), 위험감수(Risk-taking), 상황적 관련성(Situational relevance)에 따른 정보 수용이라는 네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적응을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거쳐 2021년 8월 4일부터 8월 30일까지 북한이탈주민 지원 단체 <우리온>을 통해 국내 입국 후 최소 1년이 경과한 민법상 성년인 만 19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100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보빈곤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만" 변수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정보빈곤층으로 정의하고, 그들의 한국사회적응을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질적 연구를 수행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변수의 조작화를 통해 양적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재일한인(在日韓人)의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Pover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이제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3-58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재일한인을 사례로 하여 소수민족의 정보빈곤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논의는 재일한인 밀집 지역에 대한 방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는데, 논지의 근거로서 심층면담(24명)을 통해 수집한 질적 데이터와 설문조사(532명)를 통해 수집한 양적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되고 있다. 이 논문의 주요 논의는 재일한인이 일본사회의 주변인으로서 일상에서 경험하는 정보빈곤의 실태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재일한인을 정보빈곤 상태에 처하게 만드는 내외적 요인에 대한분석으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논의의 초점을 재일한인 내부의 상대적 정보빈곤층 유형과 실태를 분석하는데 두면서, 그러한 상대적 정보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을 돕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토지정보를 이용한 빈곤관리의 모델 (New Landscape of Poverty Management in Land Information System)

  • 류재익;오민수;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9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사회 경제적인 성숙을 추구함과 더불어 주택과 토지에 대한소유 및 접근은 공간적 분포의 삶의 질과 빈곤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첨단 IT 기술과 매우 향상된 지리 및 토지정보 시스템이 공간적 인간 정주문제, 토지이용과 개발, 환경악화 등을 분석하는데 이용되고 있지만, 시공간 차원에서 발생하는 가난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데 있어 초기연구 단계에 있는 듯 싶다. 이 연구는 육하원칙 인자를 이용하여 공간적 위치의 가난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격차로 인하여 생기는 가난한 환경을 토지정보의 공간적 개념과 연계하고 빈곤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지역 빈곤층의 빈곤 구성 요소의 성차 (A Study of the Gender Differences' Composition Affecting Poverty in Busan)

  • 허미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44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composition affecting poverty in Busan and possible strategies for overcoming povert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both common and differentiating points regarding gender in poverty situations. Poverty stricken women, tended to be older and less educated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the case of me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physical disabilities than women. There were more women compared to men when regarding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the death of a spouse as contributing to poverty. Women estimated that it was much easier to overcome their poverty situation as they were younger and had more income. Howev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regard to actual re-establishment. For men, education level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overcoming poverty while for women; the existence of a spouse was the important vari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ender sensitive approach is necessary to address and find solutions to the poverty issue.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findings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support for changes to the welfare policy.

  • PDF

Cameroon : The Effect of Developmental AID on Poverty Reduction and Agro-Rural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 Ntongwe, Edwin Ngome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4권1호
    • /
    • pp.1-12
    • /
    • 2012
  • Cameroon, with her numerous resources, still depends on foreign aid while the rate of poverty remains high. Thus, even though historical evidence gives impetus to the impasse over role of developmental aid, from the top down approach through to development as a springboard raising states from the doldrums of poverty,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draw a substantial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id and poverty reduction. Against this backdrop of controversy, I find it apt to put Cameroon on a balance sca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assess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aid on poverty reduction and agro-rural development in Cameroon, using the RUMPI Area Development Project 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as a case study. The study will situate and contextualize the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development within the basis of a Cameroonian perspective, using the Sachs-Easterly debate. The RUMPI Project was introduced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agriculture and empowering the rural woman; thereby fighting poverty with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Despite its criticism of the barriers to development created by corruption, political pressure and limited use of local and grass-root partnerships, the study, in assessing these failures also tries to outline vital ways in which the project can be improved upon.

  • PDF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An Empirical Reflection

  • Mago, Steph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권2호
    • /
    • pp.5-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link that exists between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The analysis is driven by literature searches on empirical works done by different researchers in different contex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adopted, following a desktop approach. An empirical literature review took a centre stage in this investigation. An analysis of empirical works shows that microfinance enhances poverty alleviation despite the challenges such as the Indian Andhra Pradesh crisis. The paper is limited to a review of empirical sources of literature. A field survey, supported by an econometric analysis would have helped to generate robust results. This paper attempts to bring together the empirical works that were done in different context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microfinance and poverty. Many research works on microfinance depend upon personal anecdotes, thus this present paper attempts to compile the scattered empirical findings on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빈곤의 동태적 분석: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Poverty Dynamics in Korea: Poverty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 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351-374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998-2003 자료를 이용하여 빈곤지속기간과 이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빈곤에 진입한 사람들의 4분의 3 정도가 2년 안에 빈곤을 탈피하는 정도로 매우 활발한 빈곤탈출양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한 시점에서의 빈곤층을 볼 경우에는 장기빈곤층이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한다. 5년 이상의 장기 빈곤층이 전체 빈곤층의 50%를 차지하며 10년 이상의 최장기 빈곤층도 25%를 넘어선다. 반복빈곤을 분석에 포함하는 경우 장기빈곤층의 비중은 더욱 증가한다. 장기빈곤층의 대표적 집단은 노인가구이다. 장기빈곤의 경향이 강한 다음 집단은 비노인 여성가구주 가구이다. 90년대 후반 경제위기 이래로 근로빈곤층의 증가가 커다란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이들의 주력을 차지하는 비노인 남성가구주 가구의 대다수는 일시적으로 빈곤을 경험하는 단기빈곤층인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