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Delay

검색결과 5,532건 처리시간 0.032초

KT의 Ntopia가입자 망 트래픽 분석 및 모델링 (Analysis and Modeling of Traffic at Ntopia Subscriber Network of Korea Telecom)

  • 주성돈;이채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5호
    • /
    • pp.37-45
    • /
    • 2004
  •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이전에 존재하던 응용프로그램과는 다른 새로운 응용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트래픽의 특징 또한 변하고 있다. 그 결과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변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P2P(Peer to Peer) 응용프로그램이 발생시키는 트래픽은 기존의 웹(HTTP)이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응용프로그램의 트래픽과 다른 통계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P2P 트래픽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KT(Korea Telecom)의 가입자망 트래픽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트래픽을 플로우별로 분석을 하고, P2P 트래픽의 자기 유사성을 측정하고 웹 트래픽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P2P 트래픽은 기존의 웹 트래픽과 비교해 매우 버스트(burst)하였으며, P2P 응용프로그램들이 업스트림 트래픽과 다운스트림 트래픽을 대칭적으로 만들고 있었다.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패킷 손실과 지연 등 QoS 관련 파라미터를 예측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잘 알려진 자기 유사 트래픽 모델을 이용하여 P2P 트래픽을 모델링하고 트래픽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기위해 SSQ(Single Server Queue)를 이용하여 손실확률과 평균 지연시간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자기 유사 트래픽 모델은 P2P 트래픽의 성능을 잘 예측할 수 있었으며, 네트워크를 설계하거나 성능을 측정할 때 입력 트래픽으로서 이 트래픽 모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제약 조건하에서 순차 회로를 위한 수행시간을 개선한 CPLD 기술 매핑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CPLD Technology Mapping Algorithm for Sequential Circuit Improved Run-Time Under Time Constraint)

  • 윤충모;김희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4호
    • /
    • pp.80-8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시간제약 조건하에서 순차회로를 위한 새로운 CPLD 기술매핑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기술매핑 알고리즘은 주어진 순차회로의 궤환을 검출한 후 궤환이 있는 변수를 임시 입력 변수로 분리한다. 조합논리 부분을 DAG로 표현하여 그래프 분할과 collapsing, bin packing을 수행한다. 그래프 분할에서 DAG의 각 노드를 검색한 후, 출력 에지의 수가 2이상인 노드를 분할하지 않고 노드만을 복제(replication)하여 팬 아웃 프리 트리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구성 방법은 주어진 시간 조건 안에서 기존의 CPLD 기술매핑 알고리즘으로 제안된 TEMPLA보다 적은 면적으로 회로를 구현하고, TMCPLD의 단점인 전체 수행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술매핑 알고리즘을 MCNC 논리합성 벤치마크 회로들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CPLD 기술 매핑 툴인 TEMPLA에 비해 CLB의 수가 17.01% 감소되었고, TMCPLD에 비해 수행 시간이 감소되었다.

  • PDF

ITU-T G.729/G.729E와 호환성을 갖는 광대역 음성/오디오 부호화기 (A New Wideband Speech/Audio Coder Interoperable with ITU-T G.729/G.729E)

  • 김경태;이민기;윤대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2호
    • /
    • pp.81-89
    • /
    • 2008
  • 광대역 신호는 16 kHz로 표본화되어 50-7000 Hz로 밴드 제한된 신호를 말하며, 전화대역 음성 신호에 비해서 높은 자연성(naturalness)과 명료성(intelligibility)을 가진다. 이런 특징으로 광대역 부호화기는 화상회의, 디지털 AM 방송 및 고음질 음성통신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대역 특징을 갖는 광대역 음성 오디오 부호화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부호화기는 대역분한 구조를 가진다. 저주파 대역은 전화대역 음성 부호화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8 kbit/s ITU-T G.729나 보다 높은 전송률로 오디오 신호까지 처리할 수 있는 11.8 kbit/s ITU-T G.729 Annex E로 부호화한다. 고주파 대역은 청각 모델을 기반으로 한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한다. 제안된 고주파 대역 부호화는 감마톤 필터뱅크(gammatone filterbank)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임계대역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임계대역 신호를 양자화한다. 저주파 대역 부호화기와 고주파 대역 부호화기는 서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복호화기에서는 채널 조건에 따라 전화대역 합성신호와 광대역 합성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된 부호화기는 낮은 전송률과 짧은 지연 시간으로 음성과 오디오 신호 모두에 대해 ITU-T G.722.1 24 kbit/s와 동등한 음질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교한 클럭 게이팅을 이용한 저전력 재구성 가능한 DSP 설계 (Design of a Low Power Reconfigurable DSP with Fine-Grained Clock Gating)

  • 정찬민;이영근;정기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2호
    • /
    • pp.82-92
    • /
    • 2008
  • 최근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통신이나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표준을 지원해야 하는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만큼의 표준이나 프로토콜을 위한 별개의 가속 IP들을 갖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당히 힘든 작업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표준을 지원할 수 있는 가속 IP를 개발하는 것은 위와 같은 현재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트렌드에 있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실행 환경이나 시스템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동적으로 즉, 실행시간에 재구성 가능한 DSP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IP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필수불가결적으로 추가적인 면적을 차지하거나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따른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의 파워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정교한 클럭 게이팅을 사용하였고 또한 동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 배럴 시프터(barrel shifter)를 이용한 곱셈기를 사용하여 메모리의 계수(Coefficient) 부분을 압축을 통해 메모리의 면적을 줄였다. 실행시간에 재구성 가능한 IP는 유사하지만 다른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이런 다기능 재구성 가능한 DSP IP의 전력소모를 성능에 영향 없이 줄이는 것은 상당히 난해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정교한 클럭 게이팅은 동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시스템에 아주 효율적으로 적용되었고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을 사용했을 시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최대 24%정도의 파워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일반적인 곱셈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배럴 시프터(barrel shifter)를 이용한 곱셈기를 설계해 적용하였다. 기존 곱셈기를 제안한 곱셈기로 바꾸면 설계한 재구성 가능한 DSP의 구조상 많은 면적을 줄이는 것이 가능했다. 기존 곱셈기에 비해 제안된 곱셈기는 면적은 42%가 줄었으며, 전체적인 재구성 가능한 DSP의 면적에서 14% 감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재구성 가능한 특성을 갖는 IP의 단점인 파워 소모와 추가적인 면적을 효과적으로 보완한 면에 있어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석적 모델을 이용한 분산된 리오더 버퍼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의 성능분석 (The Performance Analysis of Distributed Reorder Buffer in Superscalar Processor using Analytical Model)

  • 윤완오;신광식;김경섭;이윤섭;최상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2호
    • /
    • pp.73-82
    • /
    • 2008
  •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 리오더 버퍼의 복잡도를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 중에서 리오더 버퍼의 포트를 가장 단순하게 하는 방법은 하나로 되어 있는 리오더 버퍼의 구조를 실행 유닛의 개수만큼 여러 개로 나누어 분산된 리오더 버퍼로 구현하는 것이다. 각각의 분산된 리오더 버퍼는 실행 유닛의 작업 부하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 할 수 있다. 하지만 분산된 리오더 버퍼의 크기에 따라 성능의 변화가 크다. 지금까지의 분산된 리오더 버퍼로 나누는 연구는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반 하여 직관적으로 유추하였다. 본 논문은 분산된 리오더 버퍼에 M/M/1 큐잉 이론을 이용한 수학적모델을 적용하여 최적의 크기를 결정하고 CPU2000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성능을 측정하고 평가하였으며 기존 슈퍼스칼라 프로세서 성능의 99.2%를 보여주는 분산된 리오더 버퍼의 최적 크기를 정할 수 있었다. 기존의 리오더 버퍼와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산된 리오더 버퍼를 HDL로 구현하였을 때 포트에서 82%의 하드웨어 자원과 30%이상의 지연시간을 줄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Energy-Efficient Data-Aware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성협;금동원;이강원;조유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6호
    • /
    • pp.122-130
    • /
    • 2008
  • 센서 네트워크의 많은 응용분야에서 센서 노드가 감지하는 데이터는 긴급성에 따라 크게 일반 데이터와 긴급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주기적인 상황 모니터링과 같은 일반 데이터는 손실이나 지연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는 반면에, 화재 경보와 같은 긴급 데이터는 손실 없이 실시간적으로 전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긴급 데이터의 전달 신뢰도를 높이면서 일반 데이터 전달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인지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은 크게 두 가지 아이디어로 되어 있다. 첫째, 긴급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생존율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 센서 노드는 자신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긴급 데이터만 전달하게 된다. 둘째, 긴급 데이터에 대한 전달 신뢰도를 높이고, 일반 데이터 전달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 종류에 따라 차별화된 전달 방법을 사용한다.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일반 데이터는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경로 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안을 사용하며, 긴급 데이터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방향성 플러딩 방법을 사용해 싱크로 전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방안이 긴급 데이터 전송에 있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일반 데이터 전달의 에너지 소모를 줄여 네트워크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 박영주;공인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3-61
    • /
    • 2015
  • 목적 :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하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8~9월 동안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치료', '전정-고유감각'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연구 설계와 대상자, 중재, 결과측정, 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III이 5개, 수준 IV가 1개, 그리고 수준 V가 1개이었다. Down과 Black의 기준에 따라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는 0개, '보통'은 2개, '나쁨'은 5개이었다. 발달지연을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결과측정은 운동영역에 대한 평가요소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결과는 평가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향상이나 긍정적인 감소를 보였다. 결론 : 국내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특징을 제시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으로 감각통합 중재에 대해 높은 근거 수준과 다양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Treatment of Extremely High Risk and Resistant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ia Patients in King Chulalongkorn Memorial Hospital

  • Oranratanaphan, Shina;Lertkhachonsuk, Ruangs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925-928
    • /
    • 2014
  • Background: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ia (GTN) is a spectrum of disease with abnormal trophoblastic proliferation. Treatment is based on FIGO stage and WHO risk factor scores. Patients whose score is 12 or more are considered as at extremely high risk with a high likelihood of resistance to first line treatment. Optimal therapy is therefore controversial.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mmarize the regimen used for extremely high risk or resistant GTN patients in our institution the in past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ll the charts of GTN patients classified as extremely high risk, recurrent or resistant during 1 January 2002 to 31 December 2011 were reviewed. Criteria for diagnosis of GTN were also assessed to confirm the diagnosis. FIGO stage and WHO risk prognostic score were also re-calculated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in the aspects of age, weight, height, BMI, presenting symptoms, metastatic area, lesions, FIGO stage, WHO risk factor score, serum hCG level, treatment regimen, adjuvant treatments, side effects and response to treatment, including disease free survival. Results: Eight patients meeting the criteria of extremely high risk or resistant GTN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Mean age was 33.6 years (SD=13.5, range 17-53). Of the total, 3 were stage III (37.5%) and 5 were stage IV (62.5%). Mean duration from previous pregnancies to GTN was 17.6 months (SD 9.9). Mean serum hCG level was 864,589 mIU/ml (SD 98,151). Presenting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various such as hemoptysis, abdominal pain, headache, heavy vaginal bleeding and stroke. The most commonly used first line chemotherapeutic regimen in our institution was the VAC regimen which was given to 4 of 8 patients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second line chemotherapy was EMACO. Adjuvant radiation was given to most of the patients who had brain metastasis. Most of the patients have to delay chemotherapy for 1-2 weeks due to grade 2-3 leukopenia and require G-CSF to rescue from neutropenia. Five form 8 patients were still survived. Mean of disease free survival was 20.4 months. Two patients died of the disease, while another one patient died from sepsis of pressure sore wound. None of surviving patients developed recurrence of disease after complete treatment. Conclusions: In extremely high risk GTN patients, main treatment is multi-agent chemotherapy. In our institution, we usually use VAC as a first line treatment of high risk GTN, but since resistance is quite common, this may not suitable for extremely high risk GTN patients. The most commonly used second line multi-agent chemotherapy in our institution is EMA-CO. Adjuvant brain radiation was administered to most of the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in our institution. The survival rate is comparable to previous reviews. Our treatment demonstrated differences from other institutions but the survival is comparable. The limitation of this review is the number of cases is small due to rarity of the disease. Further trials or multicenter analyses may be considered.

Self-management levels of diet and metabolic risk factors according to disease dura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Cho, Sukyung;Kim, Minkyeong;Park, Ky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69-77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Metabolic risk factors should be managed effectivel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to prevent or delay diabetic complication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elf-management levels of diet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T2DM,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o examine the trends in self-management levels during the recent decades. SUBJECTS/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1998-2014). In our analysis, 4,148 patients with T2DM, aged ${\geq}30yea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ir illness (< 5 years, 5-9 years, and ${\geq}10years$). Demographic and lifestyle information was assess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biomarker levels (e.g., fasting glucose level, blood pressure, or lipid level) were obtained from a health examination. Dietary intake was assessed by a 24-recall, and adherence level to dietary guidelines (meal patterns and intake levels of calories, carbohydrates, vegetable/seaweed, sodium, and alcohol) were assessed. Multivariable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and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compare the prevalence rates of hyperglycemia,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atients' illness, accounting for the complex survey design of the KNHANES. RESULTS: In the multivariable adjusted models, patients with a longer duration (${\geq}10years$) of T2DM had a higher prevalence of hyperglycemia than those with a shorter duration of T2DM (< 5 years) (odds ratio 2.20, 95% confidence interval 1.61-3.01, P for trend < 0.001). We did not observe any associations of disease duration with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In addition, the adherence levels to dietary recommendatio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disease duration, except adherence to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ing trends in the prevalence of hyperglycemia in patients with a duration of illness ${\geq}10years$ (P for trend = 0.004). CONCLUSION: Although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dequate control of glucose levels has improved in recent decades, poorer self-management has been found in those with a longer disease du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well-planned and individualized pati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elf-management levels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or delaying diabetic complications.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균등화 및 공평성 지원 방법 (Load-Balancing and Fairness Support Mechanisms in Mobile Ad Hoc Networks)

  • 안상현;유영환;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7호
    • /
    • pp.889-894
    • /
    • 2004
  • AODV(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나 DSR(Dynamic Source Routing)과 같은 대부분의 에드혹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하지 않는 한 새로운 경로 설정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드의 이동성이 적은 경우, 트래픽은 몇몇 노드에게 집중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해당 노드들의 혼잡으로 인한 긴 종단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특정 노드들만 오랫동안 계속해서 사용됨에 따라 그들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될 것이다. 노드의 배터리 방전은 노드 사이의 연결 단절뿐만 아니라 동시에 새로운 경로 설정을 위하여 많은 route re-quest 패킷(RREQ)을 생성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가 자신의 트래픽 부하 상태를 기반으로 RREQ 패킷을 무시하거나 패킷 포워딩을 포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래픽 집중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SLA(Simple Load-balancing Approach)를 제안한다. 그러나 어떤 이기적인 노드들은 자신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고의적으로 패킷 포워딩을 거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드들을 패킷 포워딩에 참여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PIFA(Protocol-Independent Fairness Algorithm) 보상 방식을 제안하였다. SLA 성능의 우수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SLA를 채택한 AODV 방식과 SLA를 채택하지 않은 AODV 방식을 비교 실험하였고, 이를 통하여 SLA를 채택한 방식이 트래픽 부하 분산에 효율적이며 이로 인하여 전체 에드혹 네트워크 성능 또한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