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cs Education Content Element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유치원·초등학교정보교과내용 체계 제안 (A Proposal of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system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connection with the 2022revised curriculum)

  • 이영호;유인환;배영권;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91-505
    • /
    • 2022
  • 국내외적으로 정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보 교육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교 교수와 교육과정 개발 경험이 있는 초등 및 중등 정보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등 정보 교과와 연계성 및 위계성을 지닌 초등학교 정보 교육의영역,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영역별 내용 요소 및 학년별 지도 내용에 대한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초·중등학교의 정보 교육에서 연계성을 확보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 요소를 각 내용 영역에 포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향후 초등학교의 인정교과서 개발 및 정보 교과 독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의 중등 정보·컴퓨터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J07-CS 교육과정의 비교 (Comparison of Korean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J07-CS Curriculum)

  • 안영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46
    • /
    • 2017
  •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수준은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이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을 담보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한국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정보 컴퓨터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과목을 일본 정보학 분야 고등정보교육과정인 J07-CS의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과목과 비교하였다. 둘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기본이수과목과 비교하고 셋째, 각 대학의 기본이 수과목 개설 현황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교사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 정보관련 과목 수는 J07-CS의 과목 수와 비교하여 부족하였다. 비교기준을 기본이수과목으로 한정해도 내용요소가 부족하였고, 교사양성기관별 기본이수과목의 개설 비율도 낮았다. 2018년부터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목표를 원활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초·중등 소프트웨어(정보) 교육 내용의 연계를 위한 계열성 분야 분석 및 제언 (Sequence Analysis and Suggestion for Linking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oftware Education)

  • 전용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105-11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소프트웨어(정보) 교육의 구현 및 정착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 중, 내용 요소의 학교급별 계열성을 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컴퓨터 교사의 기본이수분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해 계열성 분석에 관한 타당도를 확보하여, 그 결과를 초·중등 교사가 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육 내용에 관한 계열성을 고려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표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계열성 분야의 교육내용에 관한 학교급별 위계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내용 요소와 연계된 성취기준의 핵심어인 학습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소프트웨어 교육의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보교사의 역량에 기반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원 직무 연수과정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Base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 옥지현;안성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18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틀을 선정하고, 현재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 연수과정 내용을 중등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무연수 교재 개발에 참여한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협의를 거쳐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내용요소와 계층적(AHP) 기법으로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국가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역량에 해당되는 내용이 전체(15시간) 중 47%(7시간)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가 21%로 가장 높게 나타난 '정보 교수학습 전략 수립 및 활용 능력'에 대한 내용구성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 연수과정 개발에 있어 부족한 부분에 대해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Setting Priorities by Computer Science Area Through Quantification of CS2013 Knowledge Area)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3
    • /
    • 2017
  •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국가들은 다양한 제도나 방법을 통해 교육의 질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도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을 구성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과정 표준에서 언급한 지식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해 보면, 내용체계 구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S2013을 토대로 내용요소에 대한 Tier1, Tier2, Elective의 시수와 세부영역의 수를 중심으로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 지식영역으로는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이었다. 해당 지식영역은 CS2013에서 기초 요소이기 때문에 초급코스로 권장한다고 기술되기도 하였다. 도출되어진 영역별 우선순위가 향후 초중등 정보교육과정이나 고등 교양 정보교육과정, 교원양성기관의 정보교육과정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22 개정 중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의 단계별 학습 요소 추출 (Extracting the hierarchical learning elements for the 'Algorithms and Programming' Area of the 2022 Revise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 김자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23-132
    • /
    • 2024
  •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위계를 고려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아이디어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내재적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25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FGI와 CVR 등을 통해 학습 요소 추출의 외현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습 요소는 중학교가 1단계 7개, 2단계 18개, 3단계 26개이며, 고등학교는 1단계 8개, 2단계 23개, 3단계 27개이다. 각 단계별 지식의 범위와 크기가 다를 수는 있으나, 1단계의 지식이 2단계와 3단계로 구체화 되는 위계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지식이 어떤 구조로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sitive Tendencies in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김자미;장윤재;이원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22-3029
    • /
    • 2011
  •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머신러닝 교육 플랫폼 활용 '분자 구조의 이해'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of Molecular Structure' using Machine Learning Educational Platform)

  • 이소율;이영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61-972
    • /
    • 2021
  • 현재까지 진행된 다양한 인공지능 교육 관련 연구 성과에서는 인공지능의 원리와 개념 교육에 관한 내용이 중심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타 학문과 탈 학문적 융합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중심 교육 내용으로는 고등학교 화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자 구조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으로 하였고, 총 8차시 분량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I-CVI(Item Content Validity Index) 값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모든 문항이 .80 이상으로 기각되는 항목이 없었으나. 추가 세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및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화학 교과와 정보(인공지능) 교과의 내용적 요소를 탈 학문적으로 융합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로 하여금 융합인재소양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별도의 시수 확보가 요구되지 않아 교사에게는 수업 부담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 for Construction Computing System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40
    • /
    • 2016
  •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내용요소 분석과 새롭게 구성되는 피지컬 컴퓨팅 영역에 대한 접근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내용의 탐구적 경향은 Romey 분석을 사용하였고, 파일럿 스터디는 로봇을 활용하여 H/W와 S/W의 조화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 중에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움에 적합한 교과서는 한 권이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영역의 경우 탐구적 수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구성에서 활동을 중시하는 형태의 집필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K-12 학생 및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고찰 (Review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K-12 Students and Teachers)

  • 김수환;김성훈;이민정;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초중등 교육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교육과정의 측면과 교사교육에 필요한 요인 측면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1차 문헌으로는 국내외 논문 9편, 2차 문헌으로는 11편의 국내외 정책 보고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문헌을 서술적 고찰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헌의 다각도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구성요소 측면과 TPACK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공지능 교육 대상을 인공지능 사용자, 활용자, 개발자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에서는 사용자와 활용자 단계가 적합하고, 사용자 교육을 위해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포함해야 한다. 활용자 교육을 위해 현재의 컴퓨팅 사고력 및 코딩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공지능의 기능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을 목표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사는 교수 지식 및 플랫폼 사용 능력 외에도 문제해결, 추론, 학습, 인식 영역 및 일부 응용수학, 인지/심리학/윤리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