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ced current

검색결과 2,684건 처리시간 0.03초

Arabinoxylane과 PSP의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 효과 검증 (The Effects of the Arabinoxylane and the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Antiallergy, Anticancer)

  • 배만종;이성태;채수연;신성해;권상호;박미현;송미경;황성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9-474
    • /
    • 2004
  •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강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식물성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1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다당체 성분이다. 이들에 대한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등에 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장세포의 B cell과 T cell에 arabinoxylane과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활성능을 조사한 결과 PFC형 성은 10 ∼ 15%, RFC검출은 10 ∼ 30% 증가하였다 복강침출세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은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binoxylane은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효과는 PSP, arabinoxylane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군은 40, ara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경감되었으며, arabinoxylane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군과 PSP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Effects of Whole Body Irradiation on Morphine, DAMGO, DPDPE, U50,488H and $\beta$-endorphin-Induced Antinociception

  • Park, Tae-Won;Kim, Jin-Kyu;Jeong, Jae-Soo;Kim, Tae-Wan;Cho, Young-Kyung;Kim, Kyung-Nyun;Chung, Ki-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Opioid receptors have been pharmacologically classified as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 We have recently reported that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morphine (a ${\mu}$-opioid receptor agonist), but not that of ${\beta}$-endorphin (a novel ${\mu}/{\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 is attenuated by whole body irradiation (WBI). It is unclear at present whether WBI has differential effects on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s. In our current experiments, male ICR mice were exposed to WBI (5Gy) from a $^{60}Co$ gamma-source an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opioid receptor agonists were assessed two hours later using the hot water ($52^{\circ}C$) tail-immersion test. Morphine and $D-Ala^2$, $N-Me-Phe^4$, Gly-olenkephalin (DAMGO), [$D-Pen^2-D-Pen^5$] enkephalin (DPDPE), trans-3,4-Dichloro-N-methyl-N-[2-(1-pyrrolidinyl)-cyclohexyl]-benzeneacetamide (U50,488H), and ${\beta}$-endorphin were tested as agonists for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s, respectively. WBI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orphine and DAMGO, but increased those of ${\beta}$-endorphin.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DPDPE and U50,488H were not affected by WBI. In addition, to more preciously understan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WBI on ${\mu}-$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s, we assessed pretreatment effects of ${\beta}$-funaltrexamine (${\beta}$-FNA, a ${\mu}$-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beta}$-$endorphin_{1-27}$ (${\beta}$-$EP_{1-27}$, an ${\varepsilon}$-opioid receptor antagonist), and found that pretreatment with ${\beta}$-FNA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orphine and ${\beta}$-endorphin by WBI. ${\beta}$-$EP_{1-27}$ significantly reversed the attenuation of morphine by WBI and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d effects of ${\beta}$-endorphin by WBI. The results demonstrate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opioid receptors to WBI, especially for ${\mu}-$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s.

Periodontal inflamed surface area as a novel numerical variable describing periodontal conditions

  • Park, Shin-Young;Ahn, Soyeon;Lee, Jung-Tae;Yun, Pil-Young;Lee, Yun Jong;Lee, Joo Youn;Song, Yeong Wook;Chang, Yoon-Seok;Lee, Hyo-J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5호
    • /
    • pp.328-338
    • /
    • 2017
  • Purpose: Chronic periodont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induced by pathogenic bacterial accumulation. A novel index, the periodontal inflamed surface area (PISA), represents the sum of the periodontal pocket depth of bleeding on probing (BOP)-positive sites. It is advantageou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because it can be treated as a continuous variable to quantify periodontal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correlations between PISA and periodontal classifications, and examined PISA as an index integrating the discrete conventional periodontal indexe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bgroup analysis of data from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periodontiti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ankylosing spondylitis. Data from 84 patients without systemic diseases (the control group in the previous study)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PISA valu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ventional periodontal classifications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52; P<0.01) and with periodontal indexes, such as BOP and the plaque index (PI) (r=0.94; P<0.01 and r=0.60; P<0.01,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test). Porphyromonas gingivalis expression and the presence of serum P. gingivalis antibodie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ISA values in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gether with periodontal classification, PI, bleeding index, and smoking, but no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th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ISA valu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ntity of current smoking, PI, and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Conclusions: PISA integrates multiple periodontal indexes, such as probing pocket depth, BOP, and PI into a numerical variable. PISA is advantageous for quantifying periodontal inflammation and plaque accumulation.

레이저 유도 충격파를 이용한 첨단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New Drug Delivery System Based on a Laser-Induced Shockwave)

  • 한태희;이현희;;여재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호
    • /
    • pp.67-71
    • /
    • 2010
  • 1 GW/$cm^2$ 이상의 고강도의 레이저 빔을 얇은 금속 호일의 한 점에 집중시키면, 레이저 삭마현상에 의해 발생된 충격파가 금속 호일 안으로 전파하게 된다. 이 충격파는 금속 호일의 반대 면에서 팽창파로 반사되고, 그 과정에서 금속 호일에 급격한 변형이 일어난다. 이 때, 금속 호일의 반대 면에 미세한 마이크로 단위 크기의 입자들을 코팅하면, 금속의 순간적인 변형으로 인해 입자들이 큰 운동량을 얻으며 가속되어 빠른 속도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데 이것이 바이오리스틱 약물 전달의 원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바이오리스틱 시스템의 제어성, 안정성,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컨파인 조건을 변화시키며, 인체의 연한 조직을 모사하는 3% 젤라틴 용액으로의 침투 모습을 파악하였다. 사용한 컨파인 매질은 BK7 유리, 물, 그리고 초음파젤(RHAPAPHRM Co. Ltd)이다. 실험결과, 컨파인 매질과 그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 입자들의 침투 양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MDA투여에 의한 transcription factor (Egr-1, C-Jun, JunB, FosB)의 발현 변화 양상 (NMDA (n-methyl-d-aspartate) Change Expression Level of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 mRNA in the Cerebellum Tissue of Balb/c Mouse)

  • 하종수;김재화;송재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43-1050
    • /
    • 2015
  • 신경과흥분은 신경세포의 수지돌기 말단부에 있는 흥분성 수용체에 대한 과도한 자극에 의해서 신경세포가 손상을 받는 현상으로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유도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 학습, 발작, 흥분, 신경변성, 저산소성 국소빈혈, 뇌신경손상, 신경절제, 약제내성 등의 원인이 된다. 신경과흥분은 정상농도 이상의 NMDA에 의해서도 유발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mouse의 복강으로 과량의 NMDA를 투여하여 소뇌에서 RT-PCR 방법으로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 mRNAs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NMDA를 투여한 군에서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s (Egr-1, C-Jun, JunB, FosB)가 투여량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양한 발현의 변화를 보였으며, NMDA투여 후 일정한 시간에서 투여한 양에 대한 변화는 체중 g 당 5 μg의 NMDA투여한 경우에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다. 조사한 transcription factor 중에서 JunB의 발현 변화가 다른 transcription factor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NMDA 투여량이 일정할 때 투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은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현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부분 이 48시간 경과 후 발현이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흥분이 유도된 소뇌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2D-gel 또는 microarray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단백질 혹은 유전자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NMDA 수용체의 과흥분에 의한 뇌세포의 사멸에 관련된 기전을 밝힐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 한방슬러지로 배양한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Cultivated with Oriental Herbal Plan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 김종진;이상원;박경욱;서권일;이성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28-836
    • /
    • 2012
  • 일반적인 버섯 배지(미강 10%), 폐 한방슬러지를 10% 첨가한 배지, 그리고 미강 10%와 폐 한방슬러지 10%를 혼합한 배지에서 재배한 팽이버섯의 면역기능 강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그 중 폐 한방슬러지 10%를 첨가한 배지에서 재배한 팽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비장세포의 증식을 크게 유도하였으며 또한 IL-6, TNF-${\alpha}$, IFN-${\gamma}$ 분비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B세포의 증식반응과 면역글로불린 생산도 증가하였으며, 대식세포주의 일산화질소 분비와 IL-6, TNF-${\alpha}$, GM-CSF 생산도 증가하였다. 또한 복수암 유발 종양세포를 이용한 항종양 효과를 측정 한 결과 대조군의 평균 21.1일보다 실험군은 24.5일로 16.1%의 수명 연장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폐 한방슬러지를 이용하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버섯 재배 배지 원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역세포조절 기능을 강화시키는 기능성 버섯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 강창수;이민주;박철범;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7-814
    • /
    • 2012
  • 약용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삼백초의 잎과 줄기로부터 유기 용매의 극성에 따른 순차적 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효과와 연관하여 피부의 탄력 및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삼백초 추출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_{50}$은 EtOAc 분획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27.22 ${\mu}g/ml$보다 12.84 ${\mu}g/ml$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_2O_2$에 의해 유도된 HDF 세포사멸($IC_{50}$)에 대하여 삼백초 추출 50 ${\mu}/ml$의 EtOAc 분획에서 89.39%의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n-BuOH 분획에서도 67.98%의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삼백초 추출 분획물은 피부 탄력과 관련있는 fibulin-5 mRNA의 발현율을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에 대한 CAM assay 결과,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은 향후 항산화 활성 및 해독과 관련된 혈관형성 억제의 약재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기작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Differential Effects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on Human α7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Mediated Ion Currents

  • Lee, Byung-Hwan;Choi, Sun-Hye;Kim, Hyeon-Joong;Jung, Seok-Won;Hwang, Sung-Hee;Pyo, Mi-Kyung;Rhim, Hyewhon;Kim, Hyoung-Chun;Kim, Ho-Kyoung;Lee, Sang-Mok;Nah, Seung-Yeo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4호
    • /
    • pp.410-417
    • /
    • 2016
  • Quercetin is a flavonoid usually found in fruits and vegetables. Aside from its antioxidative effects, quercetin, like other flavonoids, has a various neuropharmacological actions. Quercetin-3-O-rhamnoside (Rham1), quercetin-3-O-rutinoside (Rutin), and quercetin-3-(2(G)-rhamnosylrutinoside (Rham2) are mono-, di-, and tri-glycosylated forms of quercetin, respectively. In a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quercetin can enhance ${\alpha}7$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lpha}7$ nAChR)-mediated ion currents. However, the role of the carbohydrates attached to quercetin in the regulation of ${\alpha}7$ nAChR channel activity has not been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quercetin glycosides on the acetylcholine induced peak inward current ($I_{ACh}$) in Xenopus oocytes expressing the ${\alpha}7$ nAChR. $I_{ACh}$ was measured with a two-electrode voltage clamp technique. In oocytes injected with ${\alpha}7$ nAChR copy RNA, quercetin enhanced $I_{ACh}$, whereas quercetin glycosides inhibited $I_{ACh}$. Quercetin glycosides mediated an inhibition of $I_{ACh}$, which increased when they were pre-applied and the inhibitory effects were concentration dependent. The order of $I_{ACh}$ inhibition by quercetin glycosides was Rutin${\geq}$Rham1>Rham2. Quercetin glycosides-mediated $I_{ACh}$ enhancement was not affected by ACh concentration and appeared voltage-independent. Furthermore, quercetin-mediated $I_{ACh}$ inhibition can be attenuated when quercetin is co-applied with Rham1 and Rutin, indicating that quercetin glycosides could interfere with quercetin-mediated ${\alpha}7$ nAChR regulation and that the number of carbohydrates in the quercetin glycoside plays a key role in the interruption of quercetin 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regulate the ${\alpha}7$ nAChR in a differential manner.

가새좌굴을 고려한 X형 내진 가새골조의 기둥축력 산정법 (Prediction of Column Axial Force in X-braced Seismic Steel Frames Considering Brace Buckling)

  • 윤원순;이철호;김정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523-535
    • /
    • 2014
  • 현 내진기준의 근간인 역량설계법(capacity design)에 의할 때, 중심가새골조의 내진설계는 기둥 및 보부재는 탄성부재로, 가새부재는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소산하는 비탄성 부재로 설계되어야 한다. 가새부재는 에너지를 소산하는 과정에서 기둥부재에 추가적인 축력을 유입시키므로, 이 추가 축력을 고려하여 기둥부재를 탄성설계해야 한다. 현행 기준은 중심가새골조의 기둥부재 설계시 전층의 가새가 동시에 인장항복 및 좌굴하는 가장 보수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기둥의 축력을 산정하거나 특별지진하중에 대해 기둥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층의 가새가 동시에 좌굴할 가능성은 희박하며, 특별지진하중에는 시스템 초과강도라는 경험적이고 우회적인 요소가 도입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몇몇 선행 관련 연구들 역시 가새의 좌굴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못하였을 뿐더러 역학적 근거도 희박하다. 최근에 행해진 연구 중에서 역 V형 중심 가새골조를 대상으로, 기존의 기둥축력 산정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둥축력 산정법이 제안된 바가 있다. 하지만 역 V형 중심 가새골조와 X형 중심 가새골조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은 상이하기 때문에 이 축력산정법을 X형 가새골조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형 중심가새골조만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네 가지의 기둥축력 산정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모달질량을 가중치로 고려하여 고차모드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대한 지진데이터를 입력으로 한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제시된 방안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의 막 오염 저감을 위한 표면 개질 방법 최신 연구 동향 (Current Research Trends on Surface Modification of Pressure-driven Membranes for Fouling Mitigation)

  • 전병문;이형개;김우정;박지훈;김종혁;권영남
    • 멤브레인
    • /
    • 제28권1호
    • /
    • pp.1-20
    • /
    • 2018
  • 고분자 재질의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을 이용하여 담수를 얻기 위한 공정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분리막 운전 중에 투과성능을 떨어트리는 막 오염 문제가 발생 하기에, 막 오염을 제어하는 것은 분리막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막 오염은 일반적으로 분리막 표면과 막 오염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며, 분리막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은 막 오염을 방지하여 높은 투과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인 미세여과, 한외여과, 나노여과 및 역삼투용 분리막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개질 방법으로는 개질 물질의 흡착 및 코팅 방법인 물리적 방법과 가교제 이용, 자유 라디칼 중합(FRP),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 플라즈마 및 자외선 조사 기반 중합인 화학적 방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논문상에 보고되고 있는 물리화학적 표면 개질 방법을 소개하고, 막 오염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막 제조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