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rear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간이공동사육을 위한 치잠기 특수 사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pecial Rearing of Young Silkworm for a Simple Cooperative Rearing)

  • 박연규;이명환;정도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46
    • /
    • 1974
  • 실내 vinyl house내에서 간이 공동사육을 위한 치잠기 특수사육의 가능성 여부를 구명하고자 실내 vinyl house육과 보습방건지육, 보통육을 비교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 vinyl house육은 보통육 및 방건지육에 비하여 온습도를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으며 모든 작업도 편리하였다. 2. 경과일시수는 실내 vinyl house육구와 보습방건지육에는 같았고 보통육구는 실험구에 비하여 춘잠치잠기에 5시간 추잠 치잠기에 6시간 길었다. 3. 감잠비율에 있어서는 춘추 공히 실내vinyl house육구와 보습방건지육구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실내 vinyl house육구에서 감잠수가 약간 적었고 보통육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4. 각견비율은 춘추 공히 유의성은 없었지만 특수육의 경우 상견비율이 높았고 보통육의 경우 중하견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5. 대4령 기잠 1만두 수견량은 춘추잠기 공히 실내 vinyl house육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6. 견층비율은 춘추 공히 유의성은 없었지만 보통육구에 비하여 방건지육구와 실내 vinyl house 육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7. 상기의 시험결과를 종합 검사하면 실내 vinyl house육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1일 3회 급상으로도 좋은 성적을 얻었으므로 간이 공동사육을 위한 치잠기특수사육장으로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실내외 사육에 의한 천잠 우량계통 육성 (Breeding of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Wild Silkmoth, Antheraea yamamai indoor-and outdoor-reared)

  • 윤형주;강필돈;김삼은;이상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61-67
    • /
    • 2006
  • 천잠의 우량형질 선발을 위하여 실내와 야외에서 사육하면서 수정율, 부화율, 용화율, 전견중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내사육 결과, 유충체색에 있어서 강건성은 담록체색이 우수하였으나, 견질은 암록체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견중에 따라 분리된 등급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한 $F_1$ 교잡종은 수정율과 부화율은 원종보다 떨어졌으나, 용화율과 견질 등에서 잡종강세효과가 확인되었으나 $F_2$ 교잡종은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야외사육의 경우 실내사육에 비해 감잠비율은 낮으나 유실잠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견중, 전층중 및 견층비율 등 견질성적 이 실내사육보다 우수하였다.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 Burmeister)의 실내 누대사육 기술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indoor rearing technique of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Burmeister (Orthoptera: Gryllotalpidae))

  • 박영규;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6-101
    • /
    • 2014
  • 본 연구는 땅강아지의 실내 증식기술 개발을 위해 2년 동안 수행되었다. 2013년 증식수는 $430.{\pm}20.0$ ($mean{\pm}SE$) 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15.3{\pm}25.8$, 3 ~ 5령이 $28.8{\pm}24.0$, 6 ~ 8령이 $2.4{\pm}2.7$개체였다. 2014년의 증식수는 $43.5{\pm}31.0$ ($mean{\pm}SE$)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25.8{\pm}25.6$, 3 ~ 5령이 $23.6{\pm}21.3$, 6 ~ 8령이 $2.9{\pm}2.3$개체였다. 실내사육용기의 증식성공률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46.9%와 50.0%로 조사되었다. 야외사육장에 암컷 25개체를 접종하였을 때 총 147개체가 증식되었고 실내 대형사육상에 암컷 100개체와 수컷 50개체를 접종하였을 때 총 78개체가 증식되었다. 야외사육장과 실내 대량사육장에서는 상토를 넣은 25 cm 깊이의 표층에서 전체 유충의 86.4%와 89.7%가 채집되었다.

물방개류 실내 사육법 (Indoor Rearing Method of Diving Beetl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tripunctatus orientalis, Cybister brevis)

  • 김남정;홍성진;김성현;박해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32
    • /
    • 2012
  •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충기(2 3령) 사육에 적합한 먹이원은 연중 안정공급시 가능한 먹이로서 날오징어를 선발하였다. 실내 사육시 개체간 공식행동이 강한 유충 사육을 위해 개체 집단사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화매트 선발 시험을 한 결과, 흙(자연매트)을 사용할 경우 표면이 쉽게 굳어 물방개유충이 파고들어가기 힘이 들어 용화율이 12~18% 저조하였고 또한 흙 관리 강도가 높았다. 그러나 발효톱밥을 용화매트로 사용할 경우 용화율 80%로 우수하여 물방개류의 용화매트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Studies on the Artificial Rearing of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Orthoptera : Gryllotalpidae)

  • Park, Young-Kyu;Lee, Young-B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2호
    • /
    • pp.175-179
    • /
    • 2012
  •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the rearing method of Gryllotalpa orientalis. In total 429 of G. orientali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rearing cage ($25m^2$) in 2012. Its sex ratio was 1: 1.15(Female : Male). Survival rate of the mole crickets was 94.4~86.1% with the artificial diets formulated for the present study. Successful oviposition rate was 20, 20 and 80% for one, two and three pairs of adult crickets, respectively, from the indoor rearing. The mean number of hatchlings was $11.8{\pm}21.7$, $15.7{\pm}26.4$ and $25.8{\pm}38.8$, and the mean number of dead hatchlings 1.2, 1.7 and 1.2. The mortality of nymphs on horticultural soil and clay sand mixed with ocher was 18.3 and 10.0%, respectively. The mortality of nymphs in circular and rectangular cages was, respectively, 60 and 40%.

천잠의 사육기술체계에 관한 연구 - 사육환경요인과 견질을 중심으로 - (Study on Technical System of Rearing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Cuerin-Meneville)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7
    • /
    • 1994
  • 천잠의 사육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료자원, 기상환경 및 사육방법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천잠의 실내사육에 있어 사육온도는 항온보다 변온이 좋은 편이며, 치잠기 25~26$^{\circ}C$, 장잠기 22~23$^{\circ}C$ 범위가, 사육습도는 치잠기 80~90%, 장잠기 60~70%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천잠사육에 있어 광조기는 유충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아니하였다. 3. 귀잠시기는 빠른것이 늦은 것보다 유충시기에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질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사료수종은 상수리나무가 밤나무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수보다 재배수가 사육성육이 더 좋았다. 5. 천잠을 옥외사육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빠를수럭 작황이 불안정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Sex Reversal and Masculinization according to Growth in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 Oh, Seong-Rip;Kang, Hyeong-Cheol;Lee, Chi-Hoon;Hur, Sang-Woo;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2호
    • /
    • pp.79-85
    • /
    • 2013
  • To understand the sex reversal characteristics in the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this study examined the sex reversal and artificial masculinization of wild caught E. bruneus reared in indoor rearing tank after a 17${\alpha}$-methyltestosterone injection. To domesticate a broodstock, 64 wild caught E. bruneus, between 47.0 to 110.0 cm in total length and from 1.5 to 21.4 kg in body weight, were reared in indoor rearing tank (4.0 to 5.0 m wide, and 2.5 to 3.0 m depth) for four years. Seven specimens showed sex reversal from female to male during indoor rearing condition, whose total length and body weights were from 63.0 to 99.0 cm and from 4.4 to 13.2 kg, respectively. After inducing artificial masculinization in 14 female E. bruneus with a 17${\alpha}$-methyltestosterone (2.0 mg/kg BW) implants for 3 years, spermiation occurred in 9 specimens (total length: 54.0 to 68.0 cm, body weight: 2.3 to 4.3 kg). Among the female to male sex reversals, two specimens returned back to being female, whose body weights were 2.8 kg (initially 2.6 kg) and 2.7 kg (initially 2.3 k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E. bruneus (> 3.0 kg) was more effective in masculinizing by 17${\alpha}$-methyltestosterone implants.

Survival Rates with Time Course of Frozen-thawed Pacific Oyster Larvae in Indoor Rearing System

  • Kim, Ki Tae;Lim, Han Kyu;Chang, Young J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337-343
    • /
    • 2013
  • Post-thawed larval rearing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with time course in three kinds of larvae cryopreserved. The highest survival rate and larval activity index (LAI) of post-thawed larvae were obtained from the permeation in 0.2 M sucrose and 2.0 M ethylene glycol (EG) at $-1^{\circ}C/min$ in freezing speed showing the survival rates just after thawing of 63.8% in trochophore, 84.1% in D-shaped veliger and 56.3% in early umbo veliger. In post-thawed larval rearing with food supply, the larvae lasted their lives until 24 hours in trochophore, 75 hours in D-shaped veliger and 57 hours in early umbo velig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each larval stage post-thawed revealed no more further development to subsequent respective stage.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의 생태환경 및 실내사육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the Common Grass Yellow Butterfly, Eurema hecabe)

  • 이상현;김세권;남경필;손재덕;이진구;박영규;최영철;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3-139
    • /
    • 2012
  •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자락인 B지역의 남방노랑나비의 개체수가 개활지인 A지역보다 성충의 경우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 애벌레, 번데기도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B지역의 경우 먹이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먹이식물의 선호도는 비수리에서 170개체가 관찰되어 자연에서는 비수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식물임이 확인되었다. 실내 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실내 사육을 실험하였다.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위해 암 수 100개체를 산란장에 넣고 짝짓기를 유도한 후 비수리와 결명자를 넣고 10분간 산란한 알의 수를 세어 산란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비수리에 산란한 알의 수가 $104.9{\pm}19.6$개로 결명자의 $12.7{\pm}4.5$개 보다 많아 비수리의 산란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란된 알을 고온 장일 조건($25^{\circ}C$, 16L : 8D)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한 결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53.7%이었으며, 산란에서 부화까지 평균 소요일수는 $5.1{\pm}0.9$일이었다. 유충기간은 $12.1{\pm}0.9$일이었으며, 각 령별 두폭측정 결과 1령 $0.36{\pm}0.02$, 1령 $0.61{\pm}0.02$, 3령 $0.93{\pm}0.05$, 4령 $1.46{\pm}0.08$, 5령 $2.25{\pm}0.11$로 나타났다. 사육된 애벌레의 용화율은 81.0%으로 나타났으며, 번데기기간은 평균 $6.9{\pm}0.7$일로 조사되었다. 나비의 우화율은 79.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남방노랑나비의 자연상태에서의 서식환경과 실내 인공사육을 위한 사육조건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