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Psychology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7초

유아의 인지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Intellectual Levels)

  • 이정화;최인수;이수련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34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at examining whether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would be differen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To this end, a total of 64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Kyunggi-Do were select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tested on the short form of K-WPPSI and fell into one of two levels (high or low).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irty-five 30~40 minute sessions of cooperative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individual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achieved higher improvements in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than children engaged solely in individual learning. Second, there were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 in terms of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intelligence leve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d a number positive effects upon the level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 박지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43-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환경심리행태를 고려한 청소년문화의집 공간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 단독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Environment Improvement of Youth Cultural Center considering Environment Psychology and Behavior - Focus on the Independent Facilities of Seoul Area -)

  • 신미선;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77-86
    • /
    • 2012
  • The 5-day schoolweek system at the present has increased spare time of the youth. The society should use this opportunity to lead the youth to grow as a responsible community member as offering them programs to fulfill their desires and potential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the improvements to give the youth appropriate and comfortable space. As the scope of the study, I selected a total of 5 places as each rating (the best, good, moderate, insufficient) 4 places i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conducted by youth facilities association among the independent buildings located in Seoul and 1 place after the assessment. As the methods of the study,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behavior and Youth cultural center, I investigated them theoretically as literature survey method, organized and analyzed, put them together through facilities research analysis and th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a static individual space should be placed in well accessibility due to high affinity for the facilities. Second, a dynamic individual space needs the place and equipment for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leisure culture. Third, a dynamic group space needs to provide ensuring service hours, setting proper size of spac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thers. Fourth, a static group space needs to vary the programs to develop potential abilities by a variety of experiences to maintain the correlation the layout adjacent to leader's office.

  • PDF

Self-concept molds choice experiences among multiple alternatives: An fMRI study

  • Kim, Hye-Young;Shin, Yeonsoon;Han, Sanghoon
    • 감성과학
    • /
    • 제16권4호
    • /
    • pp.445-456
    • /
    • 2013
  • This study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measured by Self Concept Clarity (SCC) scale and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relationships (RISC) scale, and divers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behavior. We hypothesized that lower self-concept clarity and higher relational interdependence would be relate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hoice context-for example, how a choice set is constructed based on one's initial preference. We examined how variations in a choice set can produce different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making choices, and investigate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 using fMRI.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first rated their preferences for art posters, and made a series of choices from a presented set. After the choice task, they completed post-choice measures including preferences for the chosen posters, as well as measures of their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al interdependence. Our behavioral results demonstrated that when participants faced more conflicting choice context, self-concept clarity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whereas relational interdependence was correlated with a lower second-rated attractiveness of the chosen option. The neuroimaging analysis of choice-making reveale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the degree of their relational interdependence served as modulators in shaping how one perceives and experiences the same decision-making process. These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studies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on value-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among diverse choice set contexts.

개인투자자의 자기고양적 지각과 투자확신이 위험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nhancement Perception and Confidence of Investment of Individual Investors on Risky Investment Behaviors)

  • 한미영 ;김재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3호
    • /
    • pp.89-109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의 비합리적 투자의사결정 및 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 중 하나가 개인투자자의 과신이라는 많은 행동재무론적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개인투자자의 투자에 대한 확신(투자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고양적 지각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와 관련된 자기고양적 지각 요인이나 투자확신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 개인의 잘못된 위험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개인투자자의 투자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고양적 지각 요인과 투자확신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남성 투자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투자능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 요인이, 여성 투자자의 경우에는 '수익률에 대한 낙관적 기대' 요인이 투자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투자자가 여성 투자자에 비해 투자에 대해 더 확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투자자의 '자신의 투자능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 '자신의 통제가능성에 대한 확신', 그리고 '수익률에 대한 낙관적 기대'와 같은 자기고양적 지각 요인이나 투자확신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개인의 잘못된 위험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분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러나 그 영향은 크지 않아, 개인투자자의 심리적 요인과 잘못된 위험투자행동 간을 매개해 줄 수 있는 여러 다른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PDF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 and Environmental Variables Explaining Newcomers' Turnover Intentions)

  • 탁진국;이동하;박지현;김현해;정병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3호
    • /
    • pp.469-484
    • /
    • 2008
  • 본 연구는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현 직장이 첫 직장이며 근속기간 6개월 이내인 901명의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를 분석한 결과 직무부합, 임금불만, 복리후생 불만, 회사에서의 비전, 의사결정참여, 현실적 직무안내, 상사불만, 동료관계, 그리고 업무환경 등의 9개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과정에서 기업유형과 고용형태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조사대상자들을 중소기업과 대 기업으로, 또한 정규직과 비 정규직으로 구분하여 동일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유형과 고용형태에 따라 이직의도를 설명하는데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도구로서의 사진: 우정 사진을 예로 (Photography as a research tool for studying human psychology: Photos of friendship as an example)

  • 문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37-344
    • /
    • 2016
  • 지난 반세기 동안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 도구들의 창출을 가져왔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 현상을 객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흐름은 인간 심리에 대한 양화된 자료의 양산을 가져왔다. 그러나 인간 경험의 주관성과 세밀함을 고려해 보건데 개인의 독특한 경험 세계와 이를 해석하는 관점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도구로 사진을 제안하고,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파고든 사진 찍기 일상은 사진이라는 예술활동을 대중 친화적으로 만들었고, 만약 이러한 사진 찍는 활동이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연구도구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인간에 대한 이해의 깊이와 넓이는 획기적인 전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사진이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과 해석을 얼마나 충실히 담아내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대학생 두 명의 우정에 대한 사진을 소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진의 연구도구 가능성을 피력하였다.

Sleep and Fatigue Among Seafarers: The Role of Environmental Stressors, Duration at Sea and Psychological Capital

  • Hystad, Sigurd W.;Eid, Jarl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4호
    • /
    • pp.363-371
    • /
    • 2016
  • Background: Seafaring is an inherently stressful environment. Because working time and leisure time is spent in the same confined environment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many stressors present in seafaring can also be conceived of as chronic. We explored the effects of duration at sea, seafaring experience, environmental stressors, and psychological capital (PsyCap) on the sleep quality and fatigue of seafarers. PsyCap is a construct that draws upon ideas from positive psycholog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s intended to capture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acities that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s. Methods: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a sample of seafarers working in the offshore re-supply industry (n = 402) and a sample of seafarers working on board combined passenger and cargo ships (n = 340). Results: PsyCap emerged as a robust predictor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to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both samples. PsyCap also interacted with duration at sea in explaining fatigue in seafarers working on board the passenger and cargo ships. Seafarers on passenger and cargo ships also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atigue than those working in the offshore re-supply industry. Conclusion: Coupled with emerging research showing that PsyCap is trainable, our results suggest that maritime organizations could have much to gain by being cognizant of and developing routines for continually developing the PsyCap of their employees.

Workflow Interruptions and Failed Action Regulation in Surgery Personnel

  • Elfering, Achim;Nutzi, Marina;Koch, Patricia;Baur, Heiner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1호
    • /
    • pp.1-6
    • /
    • 2014
  • Background: Workflow interruptions during surgery may cause a threat to patient's safety. Workflow interruptions were tested to predict failure in action regulation that in turn predicts near-accidents in surgery and related health care. Methods: One-hundred-and-thirty-three theater nurses and physicians from eight Swiss hospitals participated in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The study participation rate was 43%.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an indirect path from workflow interruptions through cognitive failure in action regulation on near-accidents (p < 0.05). The indirect path was stronger for workflow interruptions by malfunctions and task organizational blockages compared with workflow interruptions that were caused by persons. The indirect path remained meaningful when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scientiousness and compliance with safety regulations were controlled. Conclusion: Task interruptions caused by mal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nstraints are likely to trigger errors in surgery. Work redesign is recommended to reduce workflow interruptions by malfunction and regulatory constraints.

문화성향-내외 통제소재 조합 유형에 따른 전역/국소 처리에서의 차이 (Relative Effects of Cultural Orientation-LOC Types on Global/Local Processing)

  • 주미정;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49-160
    • /
    • 2012
  • 동일 문화권에서의 문화성향(개인주의 vs. 집단주의)-내외 통제소재(내통제 vs. 외통제) 조합 유형에 따라 복합 자극에 대한 전역/국소 처리에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자극 유형(복합도형과 복합문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가 조작된 실험조건에서 실험참가자들이 보인 반응시간과 오반응률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자극 속성이 일치하는 조건에서의 전역 처리가 가장 빨랐던 반면, 자극-자극 속성 불일치 조건에서의 국소 처리가 가장 느렸다. 둘째, 복합문자에 비해 복합도형에 대한 반응시간이 더 짧았다. 셋째, 복합도형과는 달리 복합문자의 경우 두 가지 문화성향 모두에서 내적 통제소재보다는 외적 통제소재 경향의 실험참가자들에게서 전역선행성이 관찰되었다. 이런 결과는 동일한 문화권인 경우, 문화성향보다는 내외 통제소재와 같은 성격요인에서의 개인차가 전역/국소 처리에서의 차이를 더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것과, 이런 개인차 변인은 지각수준보다는 좀 더 고차의 인지수준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