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microorganism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7초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계절별 미생물분포에 관한 연구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effluent water in various sewage treatment plants)

  • 김영준;정명희;정두영;이혜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08
  • 07년 1월부터 11월까지 하수처리장별로 각각의 세균에 대한 계절별 분포도를 조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미생물은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종속영양세균으로 대표되는 총 세균과 지표생물군인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및 포도상규군과 효모/곰팡이로 구성하였다. 총 세균 및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등의 지표생물군의 경우엔 대체로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균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중독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에서 오히려 11월과 1월에 균체수가 증가하는 등, 계절과 관계없이 출현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한편, 방류수의 소독처리방법과 균체생성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은규모의 마을하수의 경우 도시하수와 비교하여 균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eotgal Product in Korea

  • Cho, Gyu-Sung;Do, Hyung-K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06
  • Seventeen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LAB) were isolated using MRS agar medium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purchased at the Jukdo market of Pohang. To identify the strains isolated, they were tested by examining their cell morphologies, gram-staining, catalase activity, arginine hydrolase activity, D-L lactate form and carbohydrate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three strain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p., ten were Enterococcus spp. (or Streptococcus spp., or Pediococcus spp.) and the rest were Leuconostoc spp. (or Weissella spp.). Five strains among 17 were chosen by preliminary bacteriocin activity test. Four bacterial strains which inhibited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4),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5), Leuconostoc mesenteroides(HK 11), Streptococcus salivarius(HK 8). In order to check LAB which are showing a high survival rate in gut, we investigated three strains inhibiting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in artificial gastric acid and bile juice -all except HK8. The three strains mentioned above grew in extreme low acid conditions.

청계천 복원구간 내 분변오염도 평가와 미생물 군집 연구 (Assessment of Fecal Pollution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Restored Section of Cheonggyecheon Stream)

  • 박영빈;이희태;김세윤;고광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6-83
    • /
    • 2009
  • In 2005, the 5.84-Km length of Cheonggyecheon stream, previously covered with concrete road, was uncovered in the middle of Seoul, Korea. We investigated microbial water quality in various sites in Cheonggyecheon stream. We took water samples on three different days. The sampling sites included inflow water from upper stream (Mojeongyo), midstream (Ogansugyo), and downstream (Muhakgyo). Fecal pollution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measured by both IDEXX $Colilert^{(R)}$ and $Enterolert^{(R)}$. Microbial community from these sampling sites was also characteriz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otal coliform are 5 CFU/100 mL, 1474 CFU/100 mL, and 1776 CFU/100 mL at Mojeongyo, Ogansugyo, and Muhakgyo,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fecal coliform were 28 CFU/100 mL, 47 CFU/100 mL in Ogansugyo, and Muhakgyo,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other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including E. coli and Enterococcus sp. increased in downstream. When we characterized the microbial community, unique microbial community were discovered at different sampling sites. This study suggests that Cheonggyechoen stream is likely affected by non-point fecal sources and has unique microbial environment as the river flows downstream.

재배방법별 주요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세척단계까지 미생물상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Populations on Major Leafy Vegetables Cultiv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Production to Washing Stages)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농법별 주요 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수확된 농산물의 모의유통과 세척단계까지 동일 개체를 대상으로 미생물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단계별 미생물적 안전성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생산 및 유통중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 세균을 제외한 조사대상 미생물은 발병량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생산단계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이었던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균의 검출량은 엽채류의 종류,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생산단계보다 모의유통 중 증가하였으나, 세척단계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산과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미생물이 모의유통중 검출된 것은 수확후 처리과정 중 교차오염으로 예상되며, 생산단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던 미생물의 증가는 유통과정 중 증식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통단계에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의 확대 적용과 운반도구 등에 대한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금강 수계 내 하천퇴적물 및 지표수의 지표미생물 농도분포 (Monitoring of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of River Sediment and Surface Water in the Geum River Basin)

  • 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5-132
    • /
    • 2010
  • Characterization of sediment quality is important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surface water quality, yet sediment has not been monitored sufficiently. In this study,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of sediments in the Geum River Basin were monitored. Sampling was carried out at one paddy field, one lakeshore and five monitoring stations in the lower reach of the Geum River Basin.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were sampled four times during rainy seas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s of sediments were 12 times higher in average to those of surface waters while E. coli concentrations of sediments were six times higher.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 between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중목욕탕의 수질 중 미생물 오염도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Public Bath in Jongno-gu, Seoul)

  • 김미순;이영민;김성근;서지현;지경희;오지윤;고기동;고광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2-168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crobial sanitary condition of public baths in Seoul, Korea. A total of 28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4 different public baths and sudatoriums. The prevalence of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such a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was characterized. In addition, bacteria in water was membrane filtered by 0.45um nitrocellulose membrane, and the filter was analyzed by both cultivation and PCR amplification of partial 16S rRNA gene. The levels of chlorine were measured for each of water samples. More than 40% of 14 collected water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oliform bacteria exceeded the water quality for bath water guid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lorine residue and the presence of total coliform. Va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from cultivation and subsequent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Our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hygiene practice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for reducing health risk associated with public bathhouses.

하수처리수 관개후 벼재배 시험구에서 지표미생물 거동 분석 (Analysis of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 in the Rice Cultural Plot after Reclaimed Water Irrigation)

  • 정광욱;전지홍;함종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112-12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써 재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위생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하천수, biofilter 유출수, 그리고 UV소독수를 관개한 벼재배 실험포트에서 지표미생물의 밀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하수처리장 유출수 수질기준을 살펴보면, USEPA에서 정하고 있는 농업용수 재이용 수질기준 항목인 $BOD_5$와 SS의 수질기준은 만족시키지만, 대장균의 경우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식재 직후인 5월과 6월의 경우 관개 후 24시간 동안의 평균밀도가 $10^2{\sim}10^4$의 범위에서 관개용수의 밀도와 상관없이 지표미생물의 밀도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기비와 추비로 인해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교란된 저질의 높은 미생물 밀도 등에 영향을 받고 논의 벼 생육생태가 덜 성숙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월과 8월은 처리구별로 밀도차이가 컸고 24시간 동안 변화폭도 컸으며, 관개용수 미생물밀도에 영향도 일부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 지표미생물의 밀도를 관개용수별로 분산 분석한 결과, UV소독 후 관개한 경우가 하천수와 biofilter 유출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실제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던 양평군의 하천관개 논과 여주군의 지하수관개 논의시료분석에서 지표미생물 밀도는 FC, E. coli밀도가 TC밀도보다 크게 낮았으며, 시기별로 밀도의 차이가 있으나, TC, FC, 그리고 E. coli의 평균밀도가 약 4,000, 400,300 MPN/100mL범위를 나타내었다. TC의 밀도는 본 실험포트 실험과 유사한 범위이었으며, FC와 E. coli는 실험포트에서 초기 경운시 사용된 biofilter 유출수의 영향으로 실제 논보다 높은 값이었다. 이앙기 때에는 특별히 논 표면수와 신체접촉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하수처리수만을 관개하여 이앙준비를 하는 것보다 하수처리수를 보조관개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재이용할 경우 하수처리수를 관개용수로 직접 이용하기보다는 UV소독으로 보건 위생학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수재이용 수질기준에도 적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벼의 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양물질과다로 인한 도복문제, 하수처리수에 존재할 수 있는 독성물질에 의한 영향 등 하수처리수를 관개강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고찰이 필요하며, 본연구의 결과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공공의 보건 ·위생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미생물 오염 용수 관개에 의한 작물의 오염 위험성 (Irrigation with Microbial-Contaminated Water and Risk of Crop Contamination)

  • 최연식;송인홍;권순국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87-97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rop contamination between two irrigation methods using microbial-contaminated water.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microbial survival of the three indicator microorganisms was also investigated. Escherichia coli ATCC 25922,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4, and coliphage PRD1 were applied to irrigation water to grow cantaloupe, lettuce, and bell pepper. Half of the sixteen plots were subsurface drip irrigated (SDI) and the other half were furrow irrigated (FI). Two relative humidity levels were controlled at 15-65 % and 55-80 % for the dry and humid condition experiments, respectively. Samples of produce, surface soil, and subsurface soil at a depth of 10 cm were collected over a two-week period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study microorganisms. Overall, greater contamination of both produce and soil occurred in the FI plots. For the SDI plots, preferential water paths and resulting water appearance on the seed bed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produce contamination. Relative humidity levels did not appear to affect microbial survival in soil. PRD 1 showed lower inactivation rates than 5. coli in both dry and humid conditions. C. perfringens did not experience significant inactivation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suggesting this microorganism can be an effective indicator of fecal contamination.

재배농법에 따른 국내산 배추의 위해미생물 및 중금속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00-506
    • /
    • 2017
  • 본 연구는 자가제조퇴비를 사용하는 유기농가와 관행농가로 구분하여 생산되는 배추와 토양의 위생지표세균(Aerobic plate count, coliform count, yeast & mold)과 식중독발병 가능성이 있는 유해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Environmental listeria, Bacillus cereus)의 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양과 식물체 모두 식품에서 위해균 허용한계치인 5.0 Log CFU/g 이하로 검출되었다. 또한 토양에서 위해균 검출량과 식물체 표면의 위해균 검출량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토양과 식물의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검출되지 않거나 허용한계치 이하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