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Species Analysis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8초

DCCA에 의(依)한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Gyeryong and Mt. Deokyu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216-221
    • /
    • 1990
  •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과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식생(植生) 및 환경자료(環境資料)로 계룡산(鷄龍山) 128개소(個所), 덕유산(德裕山) 57개소(個所)의 data를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토양환경(土壤環境)과의 관계(關係)를 살펴보면 Quercus mongolic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토양(土壤)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Carpinus laxiflora군집(群集)과 Fraxinus rhynchophyll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중간(中間)이고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군집(群集)과 Quercus variabilis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 양료(養料) 모두 중간(中間) 부분(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Styrax japonic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중간부분(中間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적은 부분(部分)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 분포(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제일(第一)의 환경(環境) 요인(要因)은 해발고(海拔高)(온도(溫度))이다.

  • PDF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 Choung, Yeonsook;Lee, Woo Tchul;Cho, Kang-Hyun;Joo, Kwang Yeong;Min, Byeong Mee;Hyun, Jin-Oh;Lee, Kyu Song;Lee, Kyungeun;Seo, Ann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541-544
    • /
    • 2015
  • We report the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including the whole peninsula and its adjacent islands. This analysis was based on database from our previous categorized list. In all, 4,050 taxa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3,769 native and 281 naturalized. Of these, 479 taxa (12%) are considered as wetland vascular indicator species: 240 obligate wetland plants (OBW) and 239 facultative upland plants (FACW). Approximately 31% of those 479 taxa, i.e., 149 taxa, are labelled as aquatic macrophytes. Wetland plants, mostly herbaceous but some woody, inhabit aquatic bodies and wet meadows. Except for two OBW and six FACW taxa, the rest of the plants are summer-green only. The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valuable for making assessments of wetland ecosystem health, as well as for developing management plans to preserve and restore wetlands and their resident plant species while also creating artificial wetland environments.

출류(朮類)에 관한 연구( I ) : 한국(韓國)과 일본(日本)의 창출(蒼朮)과 백출(白朮) 의 생약학적(生藥學的) 연구 (Study on Atractylodes Rhizomes (I) : Pharmacognosy and Chemical Identification of Atractylodes Species)

  • 장일무;전재우;김제훈;염정록
    • 생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8-95
    • /
    • 1989
  • Traditional Chinese herbal drugs, namely, Atractylodes Rhizome and Atractylodes Rhizome White were identified by means of chemical analysis such as TLC and GC/MS. In Korea, the old-grown and the newly-grown rhizomes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Compositae) are used as the Atractylodes Rhizome and the Atractylodes Rhizome White, respectively. Both rhizomes contain the atractylon asa major spot on TLC. The content of atractylon in a newly-grown rhizome of A. japonica (Atractylodes Rhizome White called in Korea) appears to contain much larger quantity in comparison with that of an old-growon one (Atractylodes Rhizome). The TLC spot pattern analysis showed that rhizomes of A. japonica and A. macrocephala contain the atractylon as a major indicator spot, but no atractylodin (extreamly small amount). However, rhizomes of A. lancea De Candolle and A. koreana Kitamura contain the atractylodin as a major indicator spot.

  • PDF

덕유산 향적봉 및 중봉 아고산대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임분 특성 (Classific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Forest Vegetation at Hyangjeukbong and Jungbong in Mt. Deogyusan)

  • 한상학;한심희;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48-62
    • /
    • 2016
  •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 및 중봉 아고산대를 대상으로 총 48개소의 고정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유형분류와 임분 구조를 분석하였던 바, 신갈나무군락군에서 군락단위로 가문비나무군락, 까치박달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가문비나무군락은 물참대군, 백당나무군으로 세분되었다. 군단위로 물참대군은 복장나무소군과 까치밥나무소군으로 세분되었으며, 백당나무군은 각시원추리소군과 귀룽나무소군으로 세분되었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을 구성하는 주요 종으로는 신갈나무(23.9%), 구상나무(14.7%), 주목(10.2%), 가문나무(8.2%), 사스래나무(7.4%)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은 시닥나무(18.6%), 당단풍나무(18.4%), 신갈나무(8.9%)로 나타났으며, 관목층은 철쭉(20.7%), 당단풍나무(17.4%), 노린재나무(8.5%)로 나타났다. 식생단위 1의 지표종은 산수국, 들메나무, 물참대와 같은 아고산의 적습한 계곡부 또는 전석지 환경을 선호하는 종들이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식생단위 1, 4, 5는 생육환경이 이질적이고 복잡하거나 국소적인 교란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문비나무군락의 하위단위인 복장나무아군, 까치밥나무아군, 각시원추리아군, 귀룽나무아군의 식생단위 1, 2, 3, 4는 유사도 지수가 0.5 이상으로 식생단위 간 유사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식생단위 간 구성종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6년 동안의 야생조류 변화와 기온과의 관계연구 -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Wildbirds and Temperature for Six Years - A Case Study of Worldcup Park in Seoul, Korea -)

  • 김지석;한봉호;곽정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7-234
    • /
    • 2010
  • 도시의 기온 변화에 따른 야생조류 종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22회에 걸쳐 계절별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서울시 기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6년 동안 월드컵공원에서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15목 38과 102종이었다. 6년간 시간의 흐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 야생조류는 직박구리였으며 점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계절별 평균기온과 야생조류 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출현종 중 30% 이상의 출현빈도를 보인 31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31종 중 7종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까치, 쇠박새,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말똥가리 5종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이 지속된다면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서식지 이동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황조롱이와 꾀꼬리 2종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기온 상승에 따른 개체수 증가로 서식지 확대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향후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도 상승이 야생조류 종 구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기온과 상관관계가 있는 7종의 야생조류는 기온 상승에 따른 서식지 변화 가능성이 높아 기후 변화에 따른 지표종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n Greenspace for Sustainability of Site-scale Development Projects)

  • 양병이;이관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7-107
    • /
    • 200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evaluation on greenspace to increase the sustain ability of the planning and management for site-scale development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mprehensiv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ojects were established, which include coexistence of man and nature, reflection of ecological principles,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recycling and reuse of materials. (2) According to established principles,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s follows: retention of ample greenspace, formation of greenspace as a habitat, species diversity of vegetation, consideration of indigenous plants, construction of green network, conservation of greenspace, and reuse of plant materials.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of experts, evaluation model was worked out with which we can evaluate environmental friendliness greenspace.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space are the rate of greeneries volume, securing habitat, indigenous plants, reuse of plant materials, and species diversity of vegetation, and the indicator of greenspace conservation.

  • PDF

Computed Radiograhpy (CR)를 통한 목재 수종별 X선 투과 이미지 해석을 위한 기초연구 (1) (Preliminary Study (1) for Development of Computed Radiography (CR) Image Analysis according to X-ray Non-destructive Test by Wood Species)

  • 송정일;김한슬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0-231
    • /
    • 2021
  • 문화재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 방식은 이미지플레이트(Image Plate, IP)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시스템(Computed Radiography, CR)이 도입되면서 필름방식의 아날로그 이미지에서 점차 디지털 이미지로 교체되고 있다.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의 이미지 품질은 촬영 조건(관전압, 관전류, 노출시간), 영상 획득 매체, 촬영 거리, 유물의 두께 등이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목재 문화재에 주로 사용되는 수종(소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에 X선 선원의 투과 특성을 GE사(社)의 CR 영상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분석한 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및 대조도를 평가하고, 이중-선 상질계(Duplex-wire image quality indicator), 구형파 차트(line-pair gauges), 선형 식별계(Image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Fish Fauna and Guild Compositions in Geum River Watershed

  • Lee, Eui-Haeng;Kim, Hyun-Mac;Lee, Jae-Kwan;Byeon, Myeong-Seop;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490-498
    • /
    • 2008
  • This study was to analyze fish composition and ecological indicator characteristics from eight sampling sites of Geum River, October 2007. Total number of family and species sampled were 9 and 40.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Cyprinidae (27 species, 85%), and then followed by Cobitidae, Odomtobutidae, and Gobiidae. Constancy values of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i were 1.00 and 0.30,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Acheilognathus koreensis and Pseudogobio esocinus were greater than 5% of the total. The number of Korean endemic species sampled in this Geum River study was 7 family 19 species, which is 47.5% of total 40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of Pseudopungtungia nigra and Gobiobotia brevibarba were only 0.5% of the total and these species were only distributed within the upstream regions. Exotic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known as large-mouth bass, were observed in two sites of G3 and G7. Analytical results of fish community showed that community dominance index was 0.19, which is low, and the species evenness index (0.74), diversity index (2.03), and richness index (3.00) appeared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ucture of fish community is stable in the Geum River. According to various guilds analysis, the relative abundance of tolerant and omnivores at all sites were 40% and 47% of the total, respectively. This monitoring data may contribute change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relation to habitat modifications and chemical water quality degradations in the future.

김제시 용성리 일대 유적지에서의 규조 분석 (Diatom analysis from the archaeological sites in around Yongseong-ri, Gimje)

  • 박영숙;김선태;고금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2
    • /
    • 2017
  •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 일대 유적 발굴 지역의 트렌치 단면으로부터 총 23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규조를 분석하였다. 총 32속 61종의 규조를 감정하였으며, 종 다양성과 개체 수는 매우 적었다. 각 층준의 군집 조성과 규조 절대 개체 수 및 환경지시종의 분포에 의해서 3개의 군집대를 설정하였다. 규조분대 I에서는 해수종이 주로 산출되었으며, 인접한 지역에서는 해수종의 산출이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해수유입에 대한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규조분대 II에서는 기수종과 담수종의 산출이 풍부하여 담수의 유입으로 인한 기수 환경이었음을 알려준다. 규조분대 III에서는 담수종의 산출이 많고, 그 중 Eunotia속에 포함되는 종들이 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담수의 유입이 있는 습윤한 토양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금강수계의 토지이용 및 수질구배에 따른 돌부착 돌말류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Relation to Land-Use and Water Quality in the Geum River System, South Korea)

  • 조인환;황순진;김백호;김용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3-291
    • /
    • 2014
  • To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atom communities in relation to the gradient of water quality and land-use, water samples and epilithic diatoms were collected from 90 sites including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the Geum River System (GRS) during no rainfall, May 2011. Of 239 taxa identified, Achnanthes convergens and Cymbella minuta were dominated over all the sites. Cluster analysis on the GR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G1) is the mountainous upstream, a relatively good water quality, and mainly consisted of saproxenous species. Group 2 (G2) is the urban sites, polluted (high in electric conductivity, total phosphate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and saproxenous and common species. Group 3 (G3) is the agriculture sites, and polluted (turbidity, total nitrogen, nitrate), and saprophilous species.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abiotic and biotic variables in GRS; biologically similar between G1 and G2, but abiotically similar between G2 and G3. These differences may attribute to not onl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atom cells, but complicate relationships between microhabitat and water quality. Thus, an urgent development of generalized or standardized methods to diminish the differences between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environments is ad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