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an spinach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인디언 시금치 열매 착즙액 첨가 비율에 따른 젤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Jelly according to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Indian Spinach Fruit Juice Solution)

  • 문정희;박기봉;홍기운;강병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5-105
    • /
    • 2016
  • 본 연구는 인디언시금치 열매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젤리 개발을 위해 인디언 시금치 열매 착즙액 20~80%를 첨가하여 젤리를 제조한 다음,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젤리 제품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당도는 인디언시금치 착즙액 $3.4^{\circ}Brix$로 나타났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였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은 15.67 mg/mL로 나타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0 mg/g이었다.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텍스쳐에서 견고성은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 20% 첨가군에서 4.27%로 높은 값을 보였고, 점착성에서는20% 첨가군에서 2.48%로 높게 나타났으며, 80% 첨가군에서 0.91%로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향, 단맛, 씹힘성, 촉촉한 정도,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 4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인디언시금치 열매 착즙액 첨가 젤리 제조 시 인디언 시금치 열매 착즙액은 40%가 가장 적합하리라 사료되었다.

Enhancement of Antioxidant Quality of Green Leafy Vegetables upon Different Cooking Method

  • Hossain, Afzal;Khatun, Mst. Afifa;Islam, Mahfuza;Huque, Roksan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16-222
    • /
    • 2017
  • Antioxidant rich green leafy vegetables including garden spinach leaf, water spinach leaf, Indian spinach leaf, and green leaved amaranth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ater boiling and oil frying on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reducing power (RP), and antioxidant capac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PC, TFC, and RP in all the selected vegetables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oking process o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leafy vegetables. Both cooking processes enhanced significantly (P<0.05)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especially the oil fried samples showed the highest values.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vitamin C content in all the vegetables due to boiling and frying except in the Indian spinach leaf. However,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boiling and frying can be used to enhance the antioxidant ability, by increasing the bioaccessibility of health-promoting constituents from the four veget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timicrobial Efficacy of Leuconostoc spp. Isolated from Indian Meat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in Spinach Leaves

  • Thangavel, Gokila;Subramaniyam, Thiruvengad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77-685
    • /
    • 2019
  • Five Leuconostoc strains (CM17, CM19, PM30, PM32, and PM36) previously isolated from Indian meat showed promis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 pathogens in screening assay.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acy of these isolates against Escherichia coli Microbial Type Culture Collection and Gene Bank (MTCC) 443 and Listeria monocytogenes (MTCC 657) in spinach leaves. Challenge studies were conducted by inoculating E. coli and L. monocytogenes at 6 to 7 $Log_{10}CFU/g$ of the leaves respectively and treating them with cell free supernatant (CFS) of 48 h cultures of the isolates. The samples were stored at $4^{\circ}C$ and analyzed over a period of 5 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riplicat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one-way Anova. The counts of the pathogens did not increase over the 5 d period in the control samples, without any treatment. Whereas in the case of CFS treatments, significant reduction (p<0.05) was observed in both E. coli and L. monocytogenes from 1 to 5 d with all the 5 strains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unts of Listeria dropped by 0.5 to 1 log by 5 d, with PM 36 showing the highest reduction (1 log). In the case of E. coli, 1.1 to 1.5 log reduction was observed by 5 d, with again PM 36 showing the highest reduction (1.5).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isolates (specifically PM36) not only showed efficacy in in vitro studies but are also proved to be effective in food matrix making them potential clean label antimicrobial alternatives for food application.

OPTIMIZATION OF DIETS WITH EQUAL QUALTITY OF PROTEIN DERIVED FROM FOOD LEGUME AND CEREAL FOR HARD WORKING RURAL POOR USING PROGRAMMING APPOACH

  • Kulkarni, S.D.;Bhole, N.G.;Sawarkar, S.K.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637-647
    • /
    • 1993
  • Over 40 per cent Indian population needs to be attended for nutritional improvement. Traditional nutritious food resources though abundantly available but presently less used, if incorporated in the diets, can yield low-cost nutritionally balanced diets. The linear programming (LP)model was used for optimization of food resources to satisfy protein -energy requirements of hard working rural poor. Soybean-a highly nutritious food legume-available at reasonably low price was included along with chick -pea and pigeon -pea for comparison .The three cereals predominantly used in Indian diets -rice, wheat and sorghum -and three typical leafy vegetables namely, spinach , drumstick leaves and rajagira (Amaranths paniculantus) leaves were used for optimization . The contribution of food legume was restricted to supply only 50 per cent of daily protein requirement for maximum protein value. The quantities of other food stuffs namely , milk , sugar , tubers etc. were restricted to nati nal per capita availability. the nutrition satisfaction levels in per cent RDA by the model are 149-250 for protein , 51-106 for fat, 134-362 for iron an d143-1158 for Vitamin-A. Quantities of food legumes,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ranged from 289-601, 3000-3700 and 360-1200 g/day respectively for a reference family of five hard working rural poor. Daily food resources cost ranged from US$ 0.6 to 1.0 for the family. Amongst food legumes, soybean based diet combinations provide maximum nutritional benefits at minimum cost indicating its suitability for wider adoption by hard working poor.

  • PDF

곡물재와 채소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그 특성 (Pottery Glaze Making and It′s Properties by Using Grain Stem Ash & Vegetables Ash)

  • 한영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34-841
    • /
    • 2004
  • 우리 주변(경기도 이천, 양평, 용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대 10가지와 2가지의 곡물껍질(콩깍지, 왕겨), 4가지의 채소(시금치, 무우잎과 줄기, 호박잎과 줄기, 고추대)의 재를 만들어 한국적 천연 재유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곡물대재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1그룹인 들깨대재, 참깨대재, 검정콩대재, 팥대재에는 다른재에 비하여 $SiO_2$ 성분이 적고 CaO와 P$_2$ $O_{5}$ 성분이 10%이상 함유되어 비교적 유백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약한 녹색기가 도는 밝은 노랑색유로 나타나 유백유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2그룹인 고추대재, 시금치재, 콩깍지재, 무우잎ㆍ줄기재, 콩대재에는 모든 성분이 비교적 고르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MgO 함량이 평균 8.53%로 가장 많고 Fe$_2$ $O_3$ 성분이 2% 정도 함유하고 있어 채도가 높은 녹색기를 많이 띤 노랑색유로 나타났으며 유흐름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이라 보 유약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3그룹인 옥수수대재, 흰콩대재, 호박잎ㆍ줄기재는 $SiO_2$, $Al_2$ $O_3$의 함량이 다른 재에 비하여 많았고 Fe$_2$ $O_3$가 3~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UV에 대한 4분류 중 색상, 채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짙은 노랑에서 짙은 고동색을 지닌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천목유 및 흑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SiO_2$ 성분이 45~82%로 함량이 제일 많아 잘 녹지 않고 다른 재에 비하여 Fe$_2$ $O_3$와 P$_2$ $O_3$ 성분의 함량이 적은 4그룹인 갈대재, 볏짚재, 수수대재, 왕겨재는 푸른색기 또는 녹색기가 도는 흰색에 가까운 미색으로 나타나 백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잎 단백질(蛋白質)(Leaf Protein Concentrates)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II. 한국산(韓國産) 각종 식물(植物)로 부터의 잎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 (Development of Leaf Protein Concentrates II. Extraction of Leaf Protein Concentrates of Some Plants Growing in Korea)

  • 최상;김건치;전명희;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25
    • /
    • 1970
  • 70종(種)의 각종 식물(植物)잎을 대상으로 하여 종류(種類)에 따른 LPC의 수율(收率), 원료(原料)잎의 총질소량(總窒素量), 1 차(次) 추출액(抽出液)의 pH 와 LPC의 수율(收率)과의 관계(關係), LPC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시금치, 열무는 LPC의 순수율(純收率)이 $10{\sim}13%$(총수율(總收率) $16{\sim}23%$), 한삼덩굴, 오이, 참외, 박, 명아주, 콩, 양호박, 감자, 개미취, 호박, 치마아욱, 갓, 망초, 양배추 등은 순수율(純收率)이 $3.6{\sim}8.5%$ (총수율(總收率) $6{\sim}14%$)로서 비교적(比較的) 좋은 LPC의 자원식물(資源植物)이 될 수 있다. 2 LPC의 수율(收率)은 원료(原料)잎의 총질소량(總窒素量)이 많을 수록 커지나 그 변이(變異)는 크고, 종류(種類)에 따라서는 질소함유량(窒素含有量)이 많은데도 단순(單純)한 기계적(機械的)인 추출(抽出)로서는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적지 않다. 3. 1차(次) 추출액(抽出液)의 pH가 5.50 이하(以下)의 종류(種類)는 대체적(大體的)으로 LPC의 수율(收率)이 낮고, pH 가 높은 종류(種類)일 수록 LPC의 수율(收率)도 커지는 경향(頃向)이 있다. 4. LPC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종류(種類)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많으나 대부분(大部分)의 것이 50% 이하(以下)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을 갖는다. 왜무, 갓, 케일, 명아주, 팥, 참외, 양호박, 까마중, 박 등의 LPC는 $71{\sim}76%$의 좋은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을 갖는다. 5. LPC의 종류별(種類別)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의 차이(差異)는 없고, 콩의 LPC에서 phenylalanin이, 참외에서 serine이 다소 많은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대체적(大體的)으로 비슷한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을 보이며, 다른 식품(食品)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및 조성비(組成比)와 비교(比較)하여 LPC는 매우 훌륭한 단백질원(蛋白質源)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