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e Poverty Lin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1초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95-319
    • /
    • 2003
  •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빈곤층 가구의 식료품비 추정 (Estimation of Food Cost for Low Income Families Using Food Consumption Data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노민영;심재은;정효지;이인희;류정순;백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79-8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inimum monthly food cost for the low income population. The food consumption data of 9,311 individuals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as used. The monthly food cost was calculated using the Consumer Food Price Database for the year 2001 provided by the Public Health Nutrition Labora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low income population (n = 1,310) was characterized as older age, lower income, smaller family size, lower education level, and lower energy intake as compared with the total population (n = 8,001). The estimated food cost showed that men in the low income population needed 15% more money for purchasing food to maintain the energy intake level at the average energy intake level of men in the total population. It was also estimated that women in the low income population needed 9% more money for purchasing food to maintain the energy intake level at the average energy intake level of women in the total popul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monthly food costs depending on the sex and age, and family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minimum food cost for the low income population in Korea.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Minima sociaux)의 구조 및 급여 체계 : 유럽 공공 부조 제도의 한 연구 (French 'Minima Sociaux's Scheme, Benefit Determination Rule and its Appreciation : A Study on Social Assistance in Europe)

  • 심창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75-97
    • /
    • 2007
  • 본 연구는 유럽 공공 부조 및 최저 소득 보장 체계 연구의 하나로서 프랑스의 사회적 미니멈에 대해서 이의 구조 및 급여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측면에서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은 여덟 종류의 선별적 급여와 하나의 보편 급여를 가진 다원적 구조 체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최저 소득을 보장하려는 의지의 표출임과 동시에 각각 다른 시기, 다른 논리에 의한 제급여의 도입 및 실시 결과의 부산물이기도 하다. 둘째, 급여 결정 기준을 바탕으로 아홉 종류의 급여 체계를 살펴본 결과, 근로 능력이 없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가 근로 능력이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보다 그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빈곤 집단의 소득 보장에 대한 국가 및 사회 개입에 있어서 근로 능력의 유무에 따른 프랑스의 양분된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미니멈 급여 수준과 상대적 빈곤선과의 비교 결과, 대부분의 급여수준이 상대적 빈곤선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미니멈 수급자들에게는 연계 부조 프로그램이나 부가적 권리까지 부여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 미니멈은 빈곤 극복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 아니라 기본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최저 임금 수준과의 비교 결과, 최저편입(RMI)급여 수준은 50%이하임이 드러났다. 이는 수급자의 소득보장에 대한 국가의 제한적 역할 수행, 지위 논리 개입 등 복합적인 요인의 결과이다.

  • PDF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 빈곤율과 빈곤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verty Characteristics of Rural Elderly Households)

  • 김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31-53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제공하는 1차년도조사데이터(2006)를 사용하여 농촌노인가구에 대하여 최저생계비를 기초로 한 절대적 빈곤율, 상대적 빈곤율, 주관적 빈곤율과 빈곤감의 지표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을 농촌비노인가구, 도시노인가구, 전체가구와 비교함으로써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농촌노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빈곤율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많을수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일수록, 노인단독세대일수록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절대적 빈곤율과 상대적 빈곤율에서는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빈곤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주관적 빈곤율에서는 도시노인가구와 전체가구가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에서는 도시노인가구가 농촌노인가구에 비하여 더 높은 빈곤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빈곤수준은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현저히 높은 반면, 주관적인 빈곤감은 다소 낮은 빈곤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verty-Exi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 심진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1-50
    • /
    • 2015
  •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A Decomposition of Gender Differences on the Poverty among the Urban Working Households in Korea)

  • 이은혜;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33-35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중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분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는 남녀 가구주 간 빈곤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고, 옥사카 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격차 요인을 분해를 실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1982년부터 2008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빈곤여부는 상대빈곤율(중위 소득 50%)로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여성가구주 가구와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 격차에서 계수 효과가 전체 격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가구주 성별에 따른 빈곤 격차의 추세는 1980년대 증가하다 1990년대 감소, 다시 2000년대 들어서 빈곤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빈곤격차 요인 분해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특성 효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 중 남성가구주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특성이 점차 더 열악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계수효과가 여전히 크다는 것은 도시 근로자 가구들의 경우, 여성가구 주에 대한 차별 또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 문제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Religion and Banking : A Study of Islamic Finance in India

  • Baber, Hasnan;Zaruova, Chinar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6호
    • /
    • pp.7-13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limelight question 'why India should open arms for Islamic bank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aper is theoretical and conceptual in nature and provides results based on significant literature review. Results - This paper will start with the discussion why Islamic name does not make it only for Muslims?, then its features and how it can improve India's current economic situation. Also this study will analyze the ability of Islamic finance to act as Micro-finance tool by including people who does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also concludes that why religious issue should be sidelined in order to accept Islamic finance for empowerment of Muslim and non-Muslim minorities which live in abject poor conditions. Conclusions - Islamic finance has lot of merits which cannot be ignored by only looking at the name and believing that it is only for Muslims. Indian economic system needs a financial system which will work for welfare and not for profit to help poor communities in coming out of poverty. Interest free loans and micro-finance tools are the only way to help below poverty line population to raise their income level.

한국인의 경제수준에 따른 성별.지역별 식사패턴 비교 -1998,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 Status)

  • 최지현;문현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46-3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fferences in dietary patterns through menu analysis by economic statu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1998 and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The main variables were economic status, sex, and area by urbanization. The economic status was classified into low, middle, high, and top classes using a poverty line based on the 1998 and 2001 minimum standard cost of living. The areas were divided into metropolis, small city, and rural areas. The dishes of 3 meals were classified into 29 categories by cooking method. The most frequent pattern was "rice + soup + kimchi". The frequency of this Korean basic dietary pattern was the lowest in the top income class and metropolis areas, while the highest in the low income class and rural areas. The frequency of Korean recommended dietary pattern, that is, "rice + soup or stew + kimchi + side dish" was the highest in the top income class. The metropolis group preferred side dishes using meat and a cooking method that saved time, but the rural group preferred side dishes using vegetables and cooking methods that take a longer time. In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 between male and female by economic status, the higher economic status, the male's dietary patterns showed more side dishes than those of female. But the main side dish was kimchi in male low class. Consequently, the major dietary pattern in Korea is rice-style, though the western pattern is increasing in the top income class, especially in metropolis areas. Therefore, to make a better dietary pattern, we should develop and spread low-priced recipes of various side dishes and teach financial skills such as ability to make a food budget for lower income classes. Also, we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balance between meat and vegetables and traditional diet and western diet for the top income class, especially in the metropolis areas.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coping strategies in a poor rural community in Malaysia

  • Shariff, Zalilah Mohd.;Khor, Geok L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1호
    • /
    • pp.26-34
    • /
    • 2008
  • This cross-sectional study assessed household food insecurity among low-income rural communities and examined its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well as coping strategies to minimize food insecurity. Demographic, socioeconomic, expenditure and coping strategy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women of poor households in a rural community in Malaysia. Households were categorized as either food secure (n=84) or food insecure (n=116) using the Radimer/Cornell Hunger and Food Insecurity instrument. T-test,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tilized for comparison of factors between food secure and food insecure households and determin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household food insecurity, respectively. More of the food insecure households were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had a larger household size, more children and school-going children and mothers as housewives. As food insecure households had more school-going children, reducing expenditures on the children's education is an important strategy to reduce household expenditures. Borrowing money to buy foods, receiving foods from family members, relatives and neighbors and reducing the number of meals seemed to cushion the food insecure households from experiencing food insufficiency. Most of the food insecure households adopted the strategy on cooking whatever is available at home for their meal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dicates that food insecure households were likely to have more children (OR=1.71; p<0.05) and non-working mothers (OR=6.15; p<0.05), did not own any land (OR=3.18; p<0.05) and adopted the strategy of food preparation based on whatever is available at their homes (OR=4.33; p<0.05). However, mothers who reported to borrow money to purchase food (OR=O.84; p<0.05) and households with higher incomes of fathers (OR=O.99; p<0.05) were more likely to be food secure.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household food insecurity is imperative so that effective strategies c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Daegu City)

  • 김아연;전병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6-86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커버리지 방법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서비스권을 설정하고,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여 서비스권 내 외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 외곽에 위치한 동구, 수성구, 달서구, 북구는 다른 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중구, 서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전체에서 남성 및 여성비율과 미성년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적 불형평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저소득계층이 접근성이 좋은 대로변 주거지역의 비싼 임대료나 지가를 지불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노후화된 불량주거지역에 거주하고 이들 중에는 고령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의 설치 관련 법률이나 규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대중교통서비스 시설의 분포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설치하고 버스 및 지하철의 노선을 선정하는 것과 같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