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Sailing Efficienc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선박 운항 빅데이터를 활용한 운항 효율 향상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iling Efficiency Using Big Data of Ship Operation)

  • 신정훈;심정연;박진우;최대한;변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년도 공동학술발표회
    • /
    • pp.244-244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변화동인 중 하나인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이 운항 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에는 1해리 당 소모연료량, 엔진출력, 대지속력, 대수속력, Main Engine RPM, FOC, SFOC, DFOC 등의 여러 지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Gathering 데이터간의 민감도를 분석 하여 각 변수들간의 영향력을 판단하여 선박 운항 관련 에너지효율에 대한 주요 변수를 분석 하고, 분석 기법 중 수학 모델을 이용한 근사 모델을 생성 하여, 실측 데이터와 예측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운항 선박의 에너지효율 관련 변수 간 민감도 확인, 근사모델을 이용한 연비 관련 지표 예측에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 PDF

A prediction method of ice breaking resistance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Cho, Seong-Rak;Lee, Sungsu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708-719
    • /
    • 2015
  • The two most important tasks of icebreakers are first to secure a sailing route by breaking the thick sea ice and second to sail efficiently herself for purposes of exploration and transportation in the polar seas. The resistance of icebreakers is a priority factor at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not only must their sailing efficiency be satisfied, but the design of the propulsion system will be directly affected.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icebreakers must be accurately calculated and evaluated through the use of model tests in an ice tank before construction starts. In this paper, a new procedure is developed, based on model tests, to estimate a ship's ice breaking resistance during continuous ice-breaking in ice. Some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rushing failures are systematically considered in order to correctly estimate her ice-breaking resista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techniques for ice resistance prediction with ice breaking ships.

동북아지역 어업인력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Schemes of the fishery manpower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 최정윤;윤광운;윤영삼;하명신
    • 수산경영론집
    • /
    • 제31권1호
    • /
    • pp.73-93
    • /
    • 2000
  • This study analyzed and mutually compared the fishery manpower problems in Northeast Asia region including Korea, China, Japan by fishery industry structure, fishery education, fishery manpower and presented fishery cooperative schemes of Northeast Asia. In case of fishery manpower problems, China is still in a better situation whereas Korea and Japan have a hard time of a labor shortage. Korean companies have employed foreign crews to find a way out of the difficulties and the foreign crew rate is growing but the problem is that the reduction of Korean crew could deteriorate the safety of vessel-sailing, efficient operations, and fishery efficiency. Therefore crew management should be placed focus on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guarantee positions to foreign crew as assistants in fishery surroundings and systems. Fishery manpower problems are complementary to each nation in Northeast Asia. In consideration of this fact, fishery manpower management needs the mutual fishery manpower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for the sake of it, the most urgent task is to build up the international fishery cooperative network through establishing fishery-related information systems of Northeast Asia.

  • PDF

소형 고속선박의 항주자세 제어에 따른 저항성능 개선 및 축척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Effect and Improvement of Resistance Performance Based on Running Attitude Control of Small High-Speed Vessel)

  • 이종현;박동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8-54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Froude 수 1.0으로 운항하는 길이 약 10m 급 소형 고속선박의 에너지 효율 설계를 위해 선미부에 트림 탭을 부착하였고, 선저 면과의 각도에 따른 항주자세와 저항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성능 해석은 CFD 해석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축척에 의한 영향을 보기 위해 모형선과 실선에 대해 각각 해석을 수행 후 두 결과로부터 예측된 실선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나선에 대한 해석 결과는 두 결과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고, 트림 탭이 부착된 경우 선저 면과의 각도가 동일할 때 자세 변화량이 달라 전 저항의 차이로 이어졌지만 자세에 따른 저항 변화 경향은 유사하였다. 이로부터 축척 효과가 있더라도 저항 저감 경향으로부터 최적 항주자세를 찾을 수 있으나, 트림 탭에 의한 자세 변화와 실선 주위 유동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실선에 대한 직접적인 해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