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retained restor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8초

콤비네이션 임프란트 크라운(Combination Implant Crown)을 이용한 단일치아의 임프란트 보철수복증례 (SINGLE TOOTH IMPLANT RESTORATION USING COMBINATION IMPLANT CROWN : A CASE REPORT)

  • 김래경;송언희;최병갑;김현철;안현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5-38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clinical and laboratory procedures for single tooth restoration using 'Combination Implant Crown'. It is cemented on implant abutment and that abutment is screw-retained over implant body. This type of implant restorations has the advantages of cement-retained restoration while being antirotational and retrievable. And, more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 can be achieved by minimizing the size of access ho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reparation of abutment below the cuff line should be avoided 2. Axial reduction of implant abutment should not be excessive because it may weaken the abutment 3. More esthetical and functional occlusal surface was achieved with a minimal access hole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hex driver to enable future total retrievability. 4. Combination Implant Crown has the advantages of both the cement-retained and screw-retained type implant restoration. 5. Cementation between implant crown and abutment reduces screw loosening through even force distribution

  • PDF

Evaluation of reliability of zirconia materials to be used in implant-retained restoration on the atrophic bone of the posterior maxilla: A finite element study

  • Degirmenci, Kubra;Kocak-Buyukdere, Ayse;Ekici, Bulen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2호
    • /
    • pp.112-119
    • /
    • 2019
  • PURPOSE. Zirconia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but the stress distribution of zirconia is not entirely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risky areas caused by the different design of zirconia restorations on the atrophic bone of the posterior maxilla. MATERIALS AND METHODS. An edentulous D4-type bone model was prepared from radiography of an atrophic posterior maxilla. Monolithic zirconia and zirconia-fused porcelain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were designed as splinted or non-splinted. 300-N occlusal forces were applied obliquely. Stress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3D FEA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stress analysis, the bone between the 1) molar implant and the 2) premolar in the non-splinted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model was stated as the riskiest area. Similarly,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 was detected on the bone of the non-splinted monolithic zirconia models. CONCLUSION. Splinting of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can be more critical for monolithic zirconia than zirconia fused to porcelain for the longevity of the bone.

A Digitally Designed All-on-4 Restoration with Screwmentable Concept

  • Park, Koungjin;Han, Jung-Suk;Lee, Jae-Hyu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84-91
    • /
    • 2022
  • An all-on-4 restoration allows edentulous patients to use a fixed prosthesis with a minimum number of implants. These implant-supported fixed complete dentures have traditionally been fabricated as screw-retained or cement-retained prosthe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assively fit the long-span full-arch prosthesis using the screw-retained type restoration, and predictable retrievability is not obtained with the cement-retained type.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rosthesis fabricat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two retention types. The screwmentable method allows the implant-supported fixed complete denture to achieve a passive fit at the connection with retrievability. In addition, a framework with an optimized size was designed by using digital dental technology.

Comparative study on stress distribution around internal tapered connection implants according to fit of cement- and screw-retained prostheses

  • Lee, Mi-Young;Heo, Seong-Joo;Park, Eun-Jin;Park, Ji-M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312-318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ssivity of implant superstructures by assessing the strain development around the internal tapered connection implants with strain gauges. MATERIALS AND METHODS. A polyurethane resin block in which two implants were embedded served as a measurement model. Two groups of implant restorations utilized cement-retained design and internal surface of the first group was adjusted until premature contact between the restoration and the abutment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second group, only nodules detectable to the naked eye were removed. The third group employed screw-retained design and specimens were generated by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system (n=10). Four strain gauges were fixed on the measurement model mesially and distally to the implants. The strains developed in each strain gauge were recorded during fixation of specimens. To compare the difference among groups, repeated measures 2-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t a level of significance of ${\alpha}$=.05. RESULTS. The absolute strain values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magnitude of strain. The mean absolute strain value ranged from 29.53 to 412.94 ${\mu}m/m$ at the different strain gauge lo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overall comparison, the cement-retained prosthesis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milled screw-retained prostheses group and cement-retained prosthesis group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ement-retained designs do not always exhibit lower levels of stress than screw-retained designs. The internal adjustment of a cement-retained implant restor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passive fit.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유지형태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 응력분석 (3-D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in screw-type, cement-type, and combined-type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 이성천;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5-375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형태 중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경우 나사 풀림력 등에 영향을 주는 임플란트 구성 성분의 응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유지형태, 즉, 시멘트 유지와 나사 유지, 그리고 이 두 가지 유지형태가 서로 연결된 혼합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응력분산의 특징들을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에서 제1소구치 부위와 제1대구치 부위에 2개의 임플란트 (SS II, Osstem Co. Ltd., Seoul, Korea)를 식립한 가상의 3본 계속가공의치를 모델화하였다. 지대주 종류와 그 위치에 따라, 4가지 모형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모형 1은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동일한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합착시킨 경우이고, 모형 2는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며, 모형 3은 제1대구치의 고정체에는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를 장착하고, 제1소구치에는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장착한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각각 시멘트 합착 및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다. 그리고 모형 4는 모형 3에서 각각 제1대구치 및 제1소구치의 지대주를 맞바꾼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 및 시멘트로 고정시킨 경우로 나누었다. 평균저작압인 하중을 대구치 565 N과 소구치 288 N의 힘으로 설정하고 수직방향으로 중심와와 협측 교두정에, 그리고 $30^{\circ}$ 경사 하중을 협측 교두정 부위에 준 다음 골, 고정체, 지대주, 그리고 지대주 나사 등에 나타나는 von-Mises stress 양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네 가지 모형 중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 사용한 모형 2가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안정적인 응력 분포를 보였다. 네 가지 모형 모두 피질골 및 고정체에 미치는 응력 크기 및 분포는 거의 유사하며, 치조골에 작용하는 응력은 하중의 종류와 상관없이 주로 피질골에 집중되었다. 지대주, 지대주 나사, 그리고 보철물 나사 등에 미치는 응력 크기나 분포는 모형에 관계없이 나사 유지형인 경우가 시멘트 유지형인 경우에 비해 낮은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의 상부 구조물의 차이에 의한 교호작용 (reciprocal action)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모든 부위에서 중앙 수 직하중, 교두정 수직하중, 그리고 교두정 경사하중의 순으로 응력값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유한 요소실험의 한계내에서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시멘트 유지형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위에 더 큰 응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적인 passive fit의 가정하에서 나사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본체와 주위에 가장 작은 응력을 나타내었다.

Fiber post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지대주에 보철물을 결합하는 SB-locking method: A case report (SB-locking method for keeping implant restorations mechanically in place using fiber post: A case report)

  • 정민아;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56-362
    • /
    • 2020
  • 강동경희치대병원 보철과에서는 치료계획단계에서 마지막 결과를 미리 형상화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Top-Down 개념의 치료접근법을 2006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이번 증례도 그 개념에 입각하여 임플란트 수술에 앞서 미리 최종 보철치료의 방법과 결과를 형상화시켜 놓고 치료를 진행한 실례이다. 임플란트 보철의 여러 방법 중 시멘트 유지방식은 임플란트의 기울기에 구속받지 않고 간단하게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나, 접착 후 치은 연하의 잉여 시멘트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렵고, 필요할 때 탈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수복 시 SB-locking method의 유지방식을 이용하여 시멘트 유지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심미적인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가능했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개선된 설측 고정 나사 시스템(T-screw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Clinical cas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using modified lingual screw system (T-screw system))

  • 홍태영;김만용;윤준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23-430
    • /
    • 2016
  • 임플란트 보철물은 나사 유지형 보철물과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나눌 수 있다. 각 방법은 장점과 함께 임플란트를 유지 관리하는데 불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선된 설측 고정 나사 시스템(T-screw system)이 개발되었다. T-screw system은 설측 방향의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보철물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철물의 탈부착이 쉽고, 수동적 적합이 가능하며,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교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수평 나사를 이용한 보철은 기공 과정이 어려워 다수 유닛의 보철물의 경우 제작이 쉽지 않았고, 완전 도재를 이용한 보철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증례에서 T-screw system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다수 유닛의 임플란트 보철 및 완전 도재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에서 T-screw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의 신개념 유지 방식: Fiber post의 설측 수평 삽입에 의한 유지력 보완 (A new retaining method of cement-retained restoration with linguo-horizontal insertion of fiber post)

  • 윤나리;이성복;이석원;안수진;박수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1-78
    • /
    • 2017
  • 임플란트 보철물을 지대주 및 임플란트에 연결하는 방법은 크게 나사 유지방식과 시멘트 유지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나사 유지형의 장점은 탈착 가능성과 잔류 시멘트가 남지 않는다는 점이나 상대적으로 나사 풀림이나 파절의 비율이 시멘트 유지방식에 비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시멘트 유지형은 심미적이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으나 탈착의 용이성이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두 가지의 장점을 조합한 방식으로 SCRP방식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역시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보철 방식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잔여 시멘트를 남기지 않으면서 연조직 염증을 예방할 수 있는 fiber post 유지형 보철 연결방식을 새롭게 소개하고자 한다.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fixed implant prosthesis)

  • 신희현;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21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은 통상적 총의치,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등 다양한 치료 옵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가철성 수복과 비교해 최종적인 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우식과 만성 치주염으로 전악 발거를 요하는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단계에서 최종 보철물 형태를 고려하여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였으며 고정성 임시 수복물 단계에서 수정 및 재제작을 통해 기능과 심미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임시 수복물을 바탕으로 금속 도재관의 최종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나사 풀림 및 도재 파절 등의 합병증에 대처하기 위해 구치부의 경우 나사 유지형 보철물, 전치부는 나사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최종 보철물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측면에서 개선된 예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