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esthetic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3초

An innovative prostheses design for rehabilitation of severely mutilated dentition: a case report

  • Abduo, Jaafa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1호
    • /
    • pp.37-42
    • /
    • 2011
  • Partial edentulism has multiple implications in relation to function, esthetics and future rehabilitative treatment. This case report illustrates the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extreme consequences of partial edentulism. The main clinical findings were unopposed remaining teeth, overeruption of the remaining tee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significant disfigurement of the occlusal plane. Following the diagnostic procedure, a well-coordinated prosthodontic treatment involving liaison with other dental disciplines was indicated. The management involved an innovative combination of fixed and removable prostheses in conjunction with crown lengthening surgery and strategic implant placement. Series of provisional prostheses were applied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the final treatment.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destroyed dentition with rotational path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ase report

  • Kim, Moon-Hyoung;Heo, Seong-Joo;Kim, Seong-Kyun;Koak, Jai-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2권2호
    • /
    • pp.46-49
    • /
    • 2010
  • BACKGROUND. Though implant dentistry is very successful and predictable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stroyed dentition, there are some cases with limitations to implant therapy. In these cases,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should be considered. CASE DESCRIPTION. A patient with destroyed dentition was rehabilitated with a lateral rotational path removable partial denture. According to the diagnosis, we determined to raise vertical dimension for esthetic and functional restoration. The final restoration was performed after four months of provisional period. CLINICAL IMPLICATION. The edentulous patients with compromised esthetics and function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a rotational path removable partial denture through adequate treatment planning and precise laboratory procedure.

Collar design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ar design on peri-implant marginal bone tissue)

  • 김지환;정문규;문홍석;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3-64
    • /
    • 2008
  •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임플랜트의 기능적 및 심미적 성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다. Adell은 임플랜트에 지대주 연결 후 첫 1년간 평균적으로 1.5mm의 변연골 소실을 보이고, 이 후에는 매년 0.1mm이하의 변연골 흡수가 있었다고 하였다(Adell et al.,1981). 이러한 변연골 흡수를 막기위한 많은 노력들이 행해져 왔다. 특히 임플랜트 collar의 특징에 따라서 변연골의 흡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랜트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microgroove)이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4종류의 임플랜트 총 101개를 식립한 환자 53명에서 임플랜트 식립시부터 보철물 장착한 후 평균 6개월 후 정기 검사 시까지의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생물학적 폭경을 충분히 확보한 임플랜트(ITI standard)와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임플랜트 (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 Laser-$Lok^{TM}$, Silhouette IC)에서 변연골 흡수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에 대한 laser를 이용한 미세나사산의(Silhouette IC Laser-$Lok^{TM}$)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TI standard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이 ITI esthetic plus 와 Silhouette IC 보다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었고 (p<0.05), ITI standard 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사이에는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고(P>0.05), ITI esthetic plus와 Silhouette IC 사이에도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사용된 임플랜트 전체에 대한 상하악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사이에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흡수각도에 대한 비교에서도 4종류 임플랜트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에서 제한이 있긴 하지만, 임플랜트 디자인에서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경우(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에는 생물학적 폭 경 보상을 위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laser를 이용한 microgroove 가 부여된 임플랜트에서는 collar의 거칠기와 laser microtexturing 등의 특징에 의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게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심미적인 요구도가 높은 전치부에서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확보된 임플랜트를 식립할 경우 변연골의 흡수에 따른 치은퇴축에 의해 metal collar의 노출이 우려되기에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부여되지 않은 임플랜트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때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은 변연골의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이것은 조직의 단단한 부착으로 인한 안정화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더 장기간의 연구와 더 많은 수의 임플랜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조직학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Prospective Analysis of Dynamic Loss of Breast Projection in Tissue Expander-Implant Reconstruction

  • Mioton, Lauren M.;Jordan, Sumanas W.;Kim, John Y.S.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09-315
    • /
    • 2015
  • Background Breast projection is a critical element of breast reconstruction aesthetics, but little has been published regarding breast projection as the firm expander is changed to a softer implant. Quantitative data representing this loss in projection may enhance patient education and improve our management of patient expectations. Methods Female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immediate tissue-expander breast reconstruction with the senior author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Three-dimensional camera software was used for all patient photographs and data analysis. Projection was calcula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hest wall and the point of maximal projection of the breast form. Values were calculated for final tissue expander expansion and at varying intervals 3, 6, and 12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Results Fourteen breasts from 1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welve of the 14 breasts had a loss of projection at three months following the implant placement or beyond. The percentage of projection lost in these 12 breasts ranged from 6.30% to 43.4%, with an average loss of projection of 21.05%.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temporal changes in breast projection after expander-implant reconstruction. By prospectively capturing projection data with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software, we reveal a loss of projection in this population by three months post-implant exchange. These findings will not only aid in managing patient expectations, but our methodology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objective studies of the breast form.

치과 임플랜트 보철 수복시 각 상부구조의 형태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의 광탄성학적 분석 (PHOTOELASTIC ANALYSIS OF STRESSES INDUCED BY VARIOUS SUPERSTRUCTURES ON THE ENDOSTEAL IMPLANT)

  • 최영희;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79-686
    • /
    • 1993
  • The osseointegrated implant conducts the stress directly to the bone due to lack of cushoning effect of periodontal ligament. So, the design and material quality of super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olution and diffusion of stress. Recently, the various super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esthetics and resolve various complicated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induced by various system on the osseointegrated implant using UCLA abutment, EsthetiCone abutment, Anatomic abutment as well as Branemark conventional abutment. The stress distribution was evaluated by the photoelastic method which can simultaneously observe all around stress distribution. The superstructures embedded in epoxy resin specimen were loaded at various angle with a force of 15Kg to analys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x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 1. Under vertical loading, the large and broad stress was distributed below the fixture in all systems. 2. The fringe order of the stres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illting the specimen. The largest stress was shown in 25 angled degree tilting case. 3. The Branemark conventional abutment showed the lowest value, and EsthetiCone abutment, Anatomic abutment and UCLA abutment showed the stress value in accending order.

  • PDF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a bilateral condylar fractured patient using orthognathic surgery and dental implant

  • Park, Jee-Youn;Ahn, Kang-Min;Lee, Joo-Hee;Cha, Hyun-Su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1호
    • /
    • pp.51-55
    • /
    • 2011
  • BACKGROUND. Mandibular displacement is a common complication of condylar fracture. In the mandibular displacement due to condylar fracture, it is difficult to restore both esthetics and function without using orthognathic surgery. CASE DESCRIPTION. This clinical report described a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the patient with bilateral condylar fractures and displaced mandible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and simultaneous dental implant surgery. Mandibular position was determined by model surgery through the diagnostic wax up and restoration of fractured teeth. The precise amount of the mandibular shift can be obtained from the ideal intercuspation of remaining teeth. CLINICAL IMPLICATION. Mandibular displacement by both condylar fracture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by orthognathic surgery. Determination of occlusal plane and visualization from diagnostic wax up are mandatory for mandibular repositioning of model surgery. Stable occlusion and regular recall check up are needed for long-term outcome.

Platform switching(또는 Platform shifting) 개념 및 임상적용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platform switching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 양병은;송상훈;김성곤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5권9호통권460호
    • /
    • pp.562-570
    • /
    • 2007
  • Many dentists and patients expect that implant function and esthetics will not change over time. However, even the most successful implant restorations with ideal position, vertical height, and occlusion can be aesthetically pleasing, but may hide a common problem. Many dentists noticed that there can be some circumferential bone loss around the neck of the implants. To circumvent this bone loss, a "platform switching" concept was introduced recently. The basic concept of platform switching is by moving the fixture-abutment interface further away from the crestal bone to minimize crestal bone loss. Since crestal bone loss is a multifactor proble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icrogap formation and micromotion between the implant and abutment because platform switching does not solve the problem on its own. In this article, we reviewed studies concerning platform switching and discussed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ith its use.

  • PDF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와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의 삼차원적 유한요소응력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Comparison between Titanium Implant Abutment and Zirconia Implant Abutment)

  • 윤미정;김창섭;정창모;서승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1호
    • /
    • pp.51-61
    • /
    • 2011
  • 최근 심미 보철을 위해 높은 강도와 정밀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자연치와 유사한 상아질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세라믹 계열의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가 보철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적 유한요소응력분석을 이용하여 기존의 티타늄 소재의 임플란트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소재의 임플란트 지대주의 응력분포비교를 통해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의 기계적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악골에 식립된 internal conical joint type과 external butt joint type의 임플란트 매식체에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 또는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를 지대주 나사로 연결하고 상부에 금합금관을 장착하는 유한요소모형을 설계하였다. 교합면 중심으로부터 3mm 편측에 수직 방향으로 250N의 하중을 인가하여 교합력에 의해 임플란트 지대주에서 발생하는 등가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유한요소분석결과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와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의 응력 분포는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최대등가응력은 임플란트 연결 방식에 상관없이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에 비해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가 약 15%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티타늄에 비해 지르코니아의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고려해 볼 때 임상에서도 기존의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와 마찬가지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도 임상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불량한 유지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임플란트 피개의치로의 상부 보철물 전환 증례 (Rehabilitation of a patient by converting poorly maintained fixed implant prosthesis into implant overdenture: a case report)

  • 김영규;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27-134
    • /
    • 2022
  • 임플란트 실패의 경우에서 과도한 하중 및 염증이 실패율을 높이는 대표적인 원인이 된다. 특히, 임플란트 주변의 불량한 구강위생은 임플란트 실패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실패가 발생할 경우, 임상의는 남은 고정체를 사용하여 재진단하고 평가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하여 새로운 보철물을 만들거나 남은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의치 및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무치악부를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로 수복한 후 구강위생관리가 불가하여 임플란트 보철물 실패한 환자에서 잔존 임플란트의 지대주 및 부가적인 유지 장치를 장착한 milled bar를 이용하여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전환하여 치료하였고 심미성과 저작기능, 지속적인 유지관리 면에서 장기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확장된 상악전치부 결손부위에 골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 심미수복 증례 (Implant esthetic restoration with bone graft in the extended maxillary anterior area: A case report)

  • 정지원;박상용;김윤영;박원희;이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8-305
    • /
    • 2016
  • 상악 전치부는 심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아이다. 그러므로 발치 후 심미적인 보철 수복을 위하여 경조직 및 연조직의 보존이 중요하다. 상악 전치부 상실을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수복하는 경우 몇 가지 난관에 부딪히게 된다. 즉 수복물과 인접치와의 색상 및 형태, 인공치 표면의 조화 및 치은연과의 조화로운 연속성 등이다. 본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관-치근 파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예후가 불량한 파절 치아를 모두 발치 하였으며 상악 전치부 결손부위에 골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보다 나은 심미적 결과를 위하여 캔틸레버 임플란트 보철물을 계획하였고 인공치아 연하의 치조점막을 지속적으로 조정하였고 그것을 정확하게 인기해내는 맞춤형 인상코핑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심미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최종치료 후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