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ired Pers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4초

구조/구난 임무 수행을 위한 실험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개발과 동역학 기반의 모션 최적화 (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Humanoid Robot and Dynamics Based Motion Optimization for Rescue Missions)

  • 홍성일;이영우;박규현;이원석;심옥기;오준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753-757
    • /
    • 2015
  • This paper introduces an experimental rescue robot, HUBO T-100 and presents the optimal motion control method. The objective of the rescue robot is to extract patients or wounded soldiers in the battlefield and hazardous environments. Another mission is to dispose and transport an explosive ordnance to safe places. To execute these missions, the upper body of the rescue robot is humanoid in form to execute various kinds of tasks. The lower body features a hybrid tracked/legged design, which allows for a variety of mode of locomotion, depending on terrain conditions in order to increase traversability. The weight lifting mo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 for performing rescue related missions because the robot must lift an object or impaired person lying on the ground for transferring. Here, dynamics based motion optimization is employed to minimize joint torques while maintaining stability simultaneously. Physical experiments with a real humanoid robot, HUBO T-100,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회전 불변 제르니케 모멘트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철 기호 객체 검출 (Real-time Sign Object Detection in Subway station using Rotation-invariant Zernike Moment)

  • 원선희;김계영;최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201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보행보조 시스템의 안전한 보행안내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하드웨어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결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보행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행할 수 있도록 장애물 검출 및 인지와 장소인식, 기호인식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보조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기호인식을 위해 지하철 역 내부에서의 기호 객체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조명과 잡음이 존재하는 복잡한 환경으로부터 기호 객체 영역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적응적인 특징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행 시 객체의 이동, 회전 및 크기에 불변하도록 고속 제르니케 모멘트 특징을 이용하여 기호를 인식한다. 화살표, 화장실, 출구번호 3개의 기호를 대상으로 하며, 에이다부스트 분류기를 이용하여 기호를 학습 및 인식한다. 실험결과에서는 5000장의 기호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3개의 기호에 대해 평균 87.16%의 검출율과 20 frame/sec의 처리속도를 통해 안정적이며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함을 입증한다.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의거한 대학내 학생편의시설 평가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미국 텍사스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 Convenient Facilities at University Campuse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 Focused on the university campuses in Texas, U.S.A. -)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28
    • /
    • 2014
  • Student halls and their convenient facilities have been a focal point for various student activities at university campus. It has been for most of the student a place of unique memories and of attachment often associated with those good and bad school days.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se facilities are supportive and accessible for all of the students and other users including the handicapped.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UD(universal design) which was widely applied to U.S. institutions,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student hall facilities in U.S. and to provide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Korean UD application. For that purpose, four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analysis and 76 survey indices were utiliz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1) design consideration without braille sign for VIP(visually impaired person) in student buildings can be differently approached with electronic devices; (2) the best demonstration of UD in student buildings can be seen in spacious flat pathway, easy access through ramp and wide entry area, necessary for people in wheel-chairs, but used by all, implying an increase of the ratio of public space; (3) one of the good UD features is an attractive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institutional appearance, in which they ultimately will support and completely adaptable at optimal levels by everyone; (4) consist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ximize the potential of UD principles and minimize physical limitations.

장애인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공공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ccessibility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based on the Disabled User Experience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

  • 정지원;김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36-24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in barrier free laws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It is mainly focused on accessibility by the disabled people who use an electric motion wheel chair, a wheel chair and crutches as well as a visual impaired person in the public resident centers. For this purpose, four resident centers in Busan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the disabled people with various handicaps to access and use facilities in four resident centers, and interviewed them afterwards. We found ou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figured out the difference between barrier free laws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arrangement of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user's mov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o access the public toilet easily and conveniently. Third, it is essential fo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to b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regulations. Fourth, we need to make better standards that could reflect real experiences of various disabled users. Fifth, we need to keep providing the best follow-up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using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saf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for designers to understand specific us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suggest improvement ideas for bette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적응 궤환 제거가 강조된 보청기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모듈 개발 (Developments of A Hearing Aid Algorithm with Emphasis on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 and Hardware Module)

  • 정선용;지윤상;김인영;박영철;김남균;이상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82-290
    • /
    • 2006
  • We have developed a multi band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emphasizing feedback cancellation and a hardware modul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The hearing aids should be able to compensate for individual hearing loss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ed person. Thus hearing aids need the function of multi-bands amplification and the capabilities of feedback cancellation that can remove howling caused by acoustic feedback.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which has multi-bands compensation using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DCT) and can efficiently remove acoustic feedbacks. Moreover, we have developed digital hearing aid hardware module, which can evaluate hearing aid algorithms in real time operation. The developed algorithm and hardware module were verifi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clinical tests. Through operational experiments, good performances in real time operation environment and an efficient howling cancellation were also observed. The developed hardware module can operate in stable condition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 good hardware platform for developing hearing aid algorithms.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기기 기반의 휴대용 수화통역기 연구 (A Research on Smart Device-based Potable Sign Language Translator for Hearing-impaired Person)

  • 최지희;전수민;박해든;조재혁;김혜지;김유리;노광현;이석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9-1022
    • /
    • 2015
  • 사회적 약자인 청각장애인들의 수화통역 서비스가 대체로 만족스럽게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청각 장애인수 대비 수화통역가의 부족과 일반인과의 즉각적인 소통이 어려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청각장애인들이 많다. 이의 문제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휴대할 수 있는 수화 통역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청각장애인들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3D센서 립모션(Leap-Motion)을 통해 수화를 인식한다. 립모션 센서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연결하여 손 데이터 값을 분석했다. 분석한 손 데이터 값과 특정 지화(자음, 모음)와 간단한 인사말의 수화동작을 취할 때, 트래킹되는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수화를 인식하고 수화와 인식된 지화의 자음과 모음을 글자로 완성시켜, 텍스트와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립모션이 부착된 하드케이스 안에 스마트기기 탈착이 가능한 실용성 있는 수화통역기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Development of a Backpack-Based Wearable Proximity Detection System

  • Shin, Hyungsub;Chang, Seokhee;Yu, Namgyenong;Jeong, Chaeeun;Xi, Wen;Bae, Jihyun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47-654
    • /
    • 2022
  • Wearable devices come in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in numerous fields in numerous fields and a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They can be integrated into clothing, gloves, hats, glasses, and bags and used in healthcare, the medical field, and machine interfaces. These devices keep track individuals' biological and behavioral data to help with health communication and are often used for injury prevention. Those with hearing loss or impaired vision find it more difficult to recognize an approaching person or object; these sensing device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such individuals, as they assist them with injury prevention by alerting them to the presence of people or objects in their immediate vicinity. Despite these obvious preventive benefits to developing Internet of Things based devices for the disabled, the development of these devices has been sluggish thus far. In particular, when compared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have a much higher probability of averting danger when they are able to notice it in advance. However, research and development remain severely underfunded. In this study, we incorporated a wearable detection system, which uses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into a backpack. This system helps its users recognize when someone is approaching from behind through visual and tactile notification, even if they have difficulty hearing or seeing the objects in their surroundings. Furthermore, this backpack could help prevent accidents for all users, particularly those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s.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on Awareness of Rights, Empowerment, and Resilienc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강광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03-211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9월 2일부터 12월 9일까지 K시 소재한 정신과 병원의 재활센터와 정신사회복지시설의 정신재활센터에 등록한 회원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은 참여하지 않은 정신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에 효과적인 이유는 일방향적 교육이 아닌 프로그램에 참가한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잘못된 뉴스를 찾아보고 수정해서 다시 카드뉴스를 제작해 보는 당사자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귄리인식을 증진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인지장애인의 음악을 활용한 보조 치료기기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reference Survey for Development of Auxiliary Therapy Products Utilizing Music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해구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355-365
    • /
    • 2017
  • 미래 한국의 인구 구성은 저 출산과 의료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고령자가 2060년에는 세계 2위 수준까지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사회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가 되면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신체적인 변화이다. 기억력이 낮아지고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생기면서 그들의 활동이 제한되고 경제적인 생산능력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자급자족이 힘든 상황이 되면서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의 도움을 필요하게 되었다.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 연구되고 개발되어 져야하는 시기가 도래되었다. 고령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인지능력저하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S)단계가 있다. 경도인지장애인들은 약물적 치료방법과 비약물적 치료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약물적 치료방법 중 음악에 대한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음악치료기법을 활용한 보조기구를 개발함에 있어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융복합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도인지장애자를 대상으로 외형에 대한 선호를 알아보았다. 2번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경도인지장애자를 위한 홈케어 제품디자인은 기존의 게임기나 셋탑박스의 정형적이고 박스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상황과 특수성을 고려한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기억력,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신체적인 변화와 주변 사람이나 환경이 변화되는 정신적인 변화에 맞는 제품이 개발되도록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는 결과이다.

한국인의 만성 알코올 중독 진단을 위한 모발에서 Ethyl Glucuronide (EtG) 분석법 연구 (Analysis of ethyl glucuronide (EtG) in Hair for the diagnosis of chronic alcohol abuse of Korean)

  • 공보경;조영훈;주소영;민지숙;권미아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51-158
    • /
    • 2020
  • 일반적인 음료처럼 주변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알코올(술)은 남용 및 중독 섭취로 인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을 만큼 유해한 물질이므로 적정량의 음주량을 유지하고 올바른 음주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적정량 이상의 알코올을 장기간 섭취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행동장애 및 판단장애로 인해 일어나는 사건 또한 상당하므로, 각종 사건, 사고에서 관련자가 음주 상태였는지, 그리고 관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법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혈액이나 뇨에서 알코올 농도 혹은 알코올 대사체인 ethyl glucuronide (EtG)를 검출하는 것으로 알코올 섭취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혈액이나 뇨에서 알코올이나 EtG를 검출하는 것은 검출 가능 시간이 짧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 음주에 대한 정보만을 알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오랫동안 알코올 대사체가 존재할 수 있는 모발에서 EtG를 검출하여, 장기간의 음주 여부와 주취 정도를 분석하고 알코올 중독 여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음주를 하는 한국인의 모발 시료를 대상으로, 일관성 있으면서 효율적으로 모발에서 EtG를 추출 및 전처리 하는 방법을 정립하고 이를 LC-MS/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는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평소 음주를 하는 사회 음주자의 실제 모발과 만성 알코올 중독이 의심되는 변사자의 모발을 대상으로 EtG를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알코올 중독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금주를 모니터링 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양육권 관련 법적 절차나 운전면허 재발급 및 갱신 등을 위한 절차에 근거로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변사자들의 알코올 남용에 대한 확실한 객관적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사인을 규명하는데 법과학적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