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mersed Method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6초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물성 (PROPERTIES OF CALCIUM HYDROXIDE-EUGENOL COMPOUND)

  • 박준철;권태경;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2호
    • /
    • pp.408-415
    • /
    • 1999
  • 수산화칼슘은 높은 항균성으로 인해 최근에 근관소독제로 사용이 추천되고 있는 약제이다. 본 연구자는 근관내에 수산화칼슘을 투약한 후에 산화아연유지놀계 시멘트로 근관 충전을 하는 경우 근관시멘트의 물성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산화칼슘을 근관내에 투약 후 근관충전재로 산화아연유지놀계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근관시멘트의 물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불성 중 용해도, 흡수성, 피막도 및 변연폐쇄성을 기성 산화아연유지놀계 근관 시멘트인 Tubli-seal$^{(R)}$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용해도와 흡수생의 측정을 위하여 ADAS No. 57에 따라 지름 20mm 두께 15mm인 시편을 제작하여 $37^{\circ}C$ 50ml의 증류수에 7일간 침잠후 무게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피막도 측정을 위하여 ADAS No. 57에 따라 두 유리판 사이에 실험물질을 위치시키고 15 Kg의 하중을 가한 후에 두께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연폐쇄성 측정을 위해서는 우치 상아질 면과 아크릴 봉 사이에 실험물질을 위치시킨 후 3일 동안 Pelican ink에 침잠시킨 후 색소의 침투 면적을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흡수성은 59.72${\pm}$17.75%로 측정되어 3.15${\pm}$0.76%로 측정된 Tubli-seal$^{(R)}$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cdot}$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용해도가 20.98${\pm}$2.94%로 측정되어 2.52${\pm}$0.49%로 측정된 Tubli-seal$^{(R)}$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cdot}$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피막도가 0.36${\pm}$0.03 mm로 측정되어 0.12${\pm}$0.01mm로 측정된 Tubli-seal$^{(R)}$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cdot}$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미세누출은 3일 동안의 색소 침투면적이 57.63${\pm}$25.85%로 측정되어 28.05${\pm}$23.46%로 측정 된 Tubli-seal$^{(R)}$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 PDF

연화(軟化) Gutta-percha 충전법(充塡法)에서 Sealer의 조도(稠度)가 근관폐쇄(根管閉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CONSISTENCY OF SEALER ON CANAL OBTURATION IN INJECTION-THERMOPLASTICIZED GUlTA-PERCHA METHOD)

  • 이영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4권2호
    • /
    • pp.38-48
    • /
    • 1989
  • 이 연구의 목적은 연화 gutta-percha 주입 근관충전법에서 효과적인 근관폐쇄를 얻기위해 함께 사용하는 sealer의 척절한 조도률 측정하는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ealer는 $0.5m{\ell}$의 유지놀에 산화아연 분말을 혼화하여 얻은 $0.5m{\ell}$의 혼합물이 두 유리판 사이에서 120gm의 무게에 의하여 퍼지는 정도로써 측정한 조도에 상응하는 분말액비(比) 대로 산화아연 분말과 유지놀을 혼합하여 조도 65.45mm, 46.80mm, 28.95mm 및 22.60mm의 sealer를 제조하였다. 발거된 125개의 하악 대구치에서 원심근을 절취하여 step-back 방법으로 근관형성, 제조된 sealer를 근관벽에 피복하고 $70^{\circ}C$에서 연화된 gutta-percha를 주입, 근관충전하였다. 실험치근은 2% methylene-blue 색소용액에 침적시켜 $37^{\circ}C$의 항온기에서 48시간 경과시킨후 근단공을 통한 색소침투의 정도를 측정하여 다읍의 결과를 얻었다. 연화 gutta-percha 주입 근관충전법에서 sealer를 사용하지 않은 군이 sealer를 사용한 군보다 색소침투는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일정한 조도의 범위 65.45mm~22.60mm에서 조도 65.45mm의 sealer는 조도 28.9mm 및 22.60mm보다 폐쇄효과는 더 높게 나타났고(p<0.05) 조도 46.80mm의 sealer 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 PDF

옥외 철제문화재 적용을 위한 탈염처리 방법 연구 (A Study on Desalination Methods for Application of Outdoor Iron Artefacts)

  • 이혜연;조남철;김우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9-60
    • /
    • 2009
  • 옥외 철제문화재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환경오염인자나 산성비에 의한 염($Cl^-$)의 영향으로 부식이 발생되기 때문에 탈염처리 등 보존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옥외 철제문화재의 보존처리는 강화처리에 한정되어 있어 염에 대한 손상정도나 염을 제거하는 탈염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탈염방법은 주로 매장 철제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탈염용액에 침적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옥외 철제문화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탈염용액을 재료에 흡수시켜 철제문화재에 흡착시키고 증발을 막기 위해 방수 필름으로 포장하는 탈염 방법을 실험해 보았다. 옥외 철제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탈염처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매장 철제문화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탈염흡수재료로는 전통한지, 거즈, cotton wipers, 흡습지를 선정하였고, 탈염용액은 NaOH 0.1M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침적탈염방법을 함께 실행하여 흡착탈염방법과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았다. 본 탈염실험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실체현미경과 SEM-EDS, XRD, pH측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IC)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흡습지가 기존 탈염 방법과 유사한 탈염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계면경계조건이 매입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이용한 계면경계문제 해석 (Analysis of Interface Problem using the MLS Difference Method with Interface Condition Embedment)

  • 윤영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215-222
    • /
    • 2019
  • 복합재료의 열전달 문제는 일반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보존방정식과 경계조건 외에 추가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계면경계조건의 존재로 인해 새로운 수치기법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계면경계조건이 미분방정식의 해에 불연속성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이것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특수한 함수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산화를 통한 계 방정식의 구성도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계면경계의 불연속성을 모사하는 특수함수를 포함하면서 계면경계조건을 항상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계면경계식 자체를 매입한 미분근사식을 제안하고, 불연속 재료상수를 갖는 열전달 문제를 무요소 강형식으로 이산화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수치기법은 기존의 수치기법들과 달리 수치적분과 계면경계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속 방정식이 필요없으며, 빠르고 정확하게 이종재료 열전달 문제의 수치해를 구해준다. 개발된 수치기법으로 다양한 복합재료 열전달 문제를 해석하고 오차의 수렴률을 조사한 결과, 높은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계면경계가 기하학적 특이성을 나타내는 문제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보였다.

스컬용융법에 의한 패각을 이용한 큐빅지르코니아 단결정 성장 (Cubic zirconia single crystal growth using shell by skull melting method)

  • 정진화;연석주;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4-12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제로, 패각으로부터 정제한 CaO를 사용하여 Skull melting법으로 큐빅 지르코니아를 성장시켰다. 꼬막 패각을 HCl을 0.1~1 mol%로 1차 처리한 후 수화반응을 거쳐 최적의 처리시간과 농도를 검토하였다. HCl을 1 mo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가장 순도가 높았으며 수화반응시 $45^{\circ}C$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반응시킬 때 완전한 $Ca(OH)_2$ 를 얻을 수 있었다. $Ca(OH)_2$$1200^{\circ}C$에서 5시간 처리하였을 때 CaO의 순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패각으로부터 얻어진 CaO를 $ZrO_2$에 첨가하여 함량을 10~30 mol% 로 변화시켜 Skull melting법으로 단결정을 성장시켰다. Skull melting법에 사용된 고주파 발진기의 주파수는 약 3.4 MHz이며 단결정의 하강속도는 시간당 3 mm로 4 cm 길이로 성장시켰다. 실험결과 CaO의 함량이 15 mol% 일 때 결정성이 가장 우수했다.

Development of Visible-light Responsive $TiO_2$ Thin Film Photocatalysts by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Their Applications as Green Chemistry Materials

  • Matsuoka, Masaya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1-3.1
    • /
    • 2010
  • Water splitting reaction using photocatalysts is of great interest in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1]. In the present work, visible light-responsive $TiO_2$ thin films (Vis-$TiO_2$) were prepared by a radio 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RF-MS) deposition method and applied for the separate evolution of $H_2$ and $O_2$ from water as well as the photofuel cell. Special attentions will be focused on the effect of HF treatment of Vis-$TiO_2$ thin films on their photocatalytic activities. Vis-$TiO_2$ thin films were prepared by an RF-MS method using a calcined $TiO_2$ plate and Ar as the sputtering gas. The Vis-$TiO_2$ thin films were then deposited on the Ti foil substrate with the substrate temperature at 873 K (Vis-$TiO_2$/Ti). Vis-$TiO_2$/Ti thin films were immersed in a 0.045 vol% HF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The effect of HF treatments on the activity of Vis-$TiO_2$/Ti thin films for the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reaction have been investigated. Vis-$TiO_2$/Ti thin films treated with HF solution (HF-Vis-$TiO_2$/Ti) exhibited remarkable enhancement in the photocatalytic activity for $H_2$ evolution from a methanol aqueous solution as well as in the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Vis-$TiO_2$/Ti thin films. Moreover, Pt-loaded HF-Vis-$TiO_2$/Ti thin films act as efficient and stable photocatalysts for the separate evolution of $H_2$ and $O_2$ from water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chemical bias. Thus, HF treatment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Vis-$TiO_2$/Ti thin films. Furthermore, unique separate type photofuel cell was fabricated using a Vis-$TiO_2$ thin film as an electrode, which can generate electrical power under solar light irradiation by using various kinds of biomass derivatives as fuel.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an iodine ($I^-/{I_3}^-$) redox solution at the cathode side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highly efficient photofuel cell which can utilize a cost-efficient carbon electrode as an alternative to the Pt cathode.

  • PDF

무독성 친환경 세정제의 합성 및 평가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Evaluation of Ecofriendly Nontoxic Cleaning Agents)

  • 김종천;류영;홍연희;김석찬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548-551
    • /
    • 2014
  • 기존 유기 세정제의 문제점인 인체 독성을 낮추기 위하여 생분해도 및 $LD_{50}$가 향상된 에테르 및 에스테르 작용기를 동시에 갖는 세정제 4종을 새롭게 합성하였다. 합성한 세정제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에서 국가산업표준 방법으로 분석하여 물리적인 성질과 생분해도 및 $LD_{50}$을 측정하고 세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물리화학적 성질이 세정제로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정력 평가를 위하여 $60{\times}40mm$ 크기의 스테인리스 강 기판에 절삭유, 방청유, 인발유, 윤활유를 각각 기판에 도포하여 합성한 세정제(1-4)에 침적하여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최대 5 min 간 침적하였을 때 절삭유는 96-100%, 방청유에서는 64-72%, 인발유는 59-88%, 윤활유는 72-84% 정도의 높은 세정력을 보였다. 또한 세정제(1-4)의 생분해도 99% 이상, $LD_{50}$ 2,000 mg/kg 이상의 값을 보임으로서 인체에 거의 해가 없는 친환경 세정제임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Cathodic Protection on Metallic Structure in Extremely Acidic Fluids

  • Chang, H.Y.;Yoo, Y.R.;Jin, T.E.;Kim, Y.S.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140-146
    • /
    • 2005
  • Fossil fired power plant produces the electric energy by using a thermal energy by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as like oil, gas and coal. The exhausted flue gas by the combustion of oil etc. contains usually many contaminated species, and especially sulfur-content has been controlled strictly and then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should be installed in every fossil fired power plant. To minimize the content of contaminations in final exhaust gas, high corrosive environment including sulfuric acid (it was formed during the process which $SO_2$ gas combined with $Mg(OH)_2$ solution) can be formed in cooling zone of FGD facility and severe corrosion damage is reported in this zone. These conditions are formed when duct materials are immersed in fluid that flows on the duct floors or when exhausted gas is condensed into thin layered medium and contacts with materials of the duct walls and roofs. These environments make troublesome corrosion and air pollution problems that are occurred from the leakage of those ducts. The frequent shut down and repairing works of the FGD systems also demand costs and low efficiencies of those facilities. In general, high corrosion resistant materials have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corrosion problems have severely occurred in a cooling zone even though high corrosion resistant materials were used. In this work, a new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rrosion problem in the cooling zone of FGD facility. This electrochemical protection system contains cathodic protection method and protection by coating film, and remote monitoring-control system.

Carbofuran이 NIH 3T3섬유모세포와 흰쥐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과 Phenobarbital sodium의 보상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arbofuran and Compensation of Phenobarbital sodium in the NIH 3T3 Fibroblast and Rat Kidney)

  • 한두석;임요섭;한성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87-9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xicity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compensatory effects of phenobarbital sodium (PB) in vivo and in vitro. Sprague Dawley male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and divided into carbofuran only administered group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group of carbofuran and PB. At 30 rain and 1, 3, 6, 12, 24, 48 and 96 hrs after each treat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Kidney were immediately removed, immersed in fixatives, and processed with routine method for light microscopic study.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PAM and PAS. $5.0\times 10^4$ cell/ml of NIH 3T3 fibroblast in each well of 24 multidish were culture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lution of six groups; control group cultured in media only, carbofuran $MTT_50$ or $NR_50$ group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MTT_50$ or $NR_50$ and four experimental group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NR_50$ plus various concentratins of PB. After the NIH 3T3 fibroblast of all groups were cultured in same condition for 48 hours, Tetrazolium MTT (MTT) and NR (neutral red) assa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ell organelle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trophic change of renal corpuscle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The increase of the mesangium was apparent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Necrotic changes of the epithelium and los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s were most severe at 2 and 3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ast, there were no evidences of the toxic effects on renal tissues at 48hrs in carbofuran-PB treated groups. Carbofuran $MTT_50$ and $NR_50$ were 78$\mu M$, 82.5$\mu M$ respectively. MTT and NR quant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and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obvious that PB has compensatory effects against carbofuran toxicity.

  • PDF

난연성 세정제의 합성 및 평가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Evaluation of New Nonflammable Cleaning Agents)

  • 김아나;유영;김석찬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184-188
    • /
    • 2013
  • 기존 탄화수소계 세정제는 낮은 인화점으로 인하여 화재, 폭발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화점을 높이기 위해 불소가 포함된 난연성 세정제 7종을 개발하였다. 새롭게 합성한 세정제를 한국석유관리원에서 국가산업표준 방법으로 분석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세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인화점이 탄화수소계 세정제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세정력 평가를 위하여 가로 60 mm, 세로 40 mm 크기의 스테인리스강 기판에 인발유, 아비에트산, 절삭유, 윤활유를 각각 도포하여 합성한 세정제(1~7)에 넣어 침적한 후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최대 5분간 침적하였을 때 인발유는 80~96%, 아비에트산은 82~97%, 윤활유는 86~93% 정도의 높은 세정력을 보였다. 그러나 절삭유에서는 60~87% 정도로 다른 오일보다 낮은 세정력을 보였다.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우수한 세정력을 보여 산업세정분야에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