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jin System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임진강대의 중부 고생대층: 임진계 (Devonian Strata in Imjingang Belt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mjin System)

  • 최용미;조석주;이정현;이동찬;이정구;권이균;조림;이동진
    • 암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7-124
    • /
    • 2015
  • 1962년 북한 연구자들은 휴전선 이북에 분포된 임진강 유역의 상부고생대 평안계 지층에서 데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완족동물과 극피동물 화석을 찾아 이 화석들을 포함하는 지층을 평안계로부터 분리하여 '임진계'로 설정하였다. 이후 임진계의 여러 분포지에서 발견된 중기 데본기의 차축조(車軸藻, 윤조(輪藻)와 동의어)화석은 그 지질시대를 확정하는 결정적 요소가 되었다. 평남분지와 경기육괴 사이에 분포하는 임진계는 강원도 철원군, 황해북도 금천군, 판문군 및 토산군에 걸치는 동부와, 황해남도 강령군과 옹진군 일원의 서부지역에 대상으로 분포하며, 경기도 북부의 연천층군(변성암복합체)을 포함한다. 해성 무척추 동물화석만 산출되는 하부 고생대층과는 달리 임진계는 다양한 육상 식물화석을 포함한다. 임진계에서 흔히 산출되는 완족동물화석은 남중국대지 데본기 지층에서 알려진 것과 종의 구성에서 유사할 뿐 아니라 남중국대지의 풍토종을 포함하고 있어 두 지역 사이의 고지리적 근연관계를 지시한다. 임진계의 지질시대는 연구자에 따라 견해차는 있으나, 데본기 중-후기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일부 연구자는 데본기 중기-석탄기로 추정하기도 한다. 북한의 연구자들은 데본기에 남중국의 바다가 한반도까지 확장된 '임진해'가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임진계가 현 위치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임진계는 분포 지역에 따라 심한 층서적 편차를 보이며 국지적으로 두꺼운 층후를 보인다. 최근 북한의 임진계 분포지 도처에서 충상에 의한 지층의 역전과 반복이 보고되었으며, 남한에 분포한 임진계의 연장부인 연천층군의 퇴적기원 변성암 또한 고도의 압축변형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임진계 분포지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습곡-충상단층대가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연천층군이 임진강대의 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고변성대에서 저변성대로 바뀌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경기육괴의 북부지역 및 임진강대는 다비-술루(Dabie-Sulu) 벨트의 연장부로 남중국대지와 한중대지의 충돌대였으며, 임진계는 남중국대지의 연장선상에 있었던 경기육괴에서 발달한 퇴적층으로, 남중국대지와 한중대지가 충돌하면서 첨합(accretion)된 잔재로 해석된다. 향후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고생대 고지리의 복원과 지각진화사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임진계의 층서, 퇴적 및 조구조적 진화에 대하여 남북한 관련분야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임진강 경보제어시스템 오동작으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 사례 분석 (Analysis of Disaster with Casualty Caused by Malfunction of the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in Imjin River)

  • 송재용;남정우;김진표;김의수;박남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44
    • /
    • 2010
  • North Korea's discharge of water from a dam into the Imjin River that flows through the inter-Korean border swept away a riverside camping site early Sunday morning, killing six people. This tragic incident might have been prevented if the North had given prior notice of the release from its Hwanggang Dam to the South. Investigations are under way to determine the reasons behind the unexpected act. This incident was a man-made disaster not least death of six people. A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WLMS) of the Imjin River was installed the bridge of Pilseung that operate three public institutions. The WLMS of the A institution set up warning siren and broadcasting as the water level has been rising the bridge of Pilseung in the Imjin River. But the A institution's system was already out of side before discharged of water a dam into the Imjin River and the operators were culpable negligence. The B institution's office employee on charges of negligence that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tragedy and one of the A institution's employees ignored 26 warning messages on the WLMS. This tragic incident was a man-made disaster not least death of six people and might have been prevented if the WLMS was normally operated and the system operators must be worked a tight.

생태계 복원사업의 생태.경제 통합체계 동태분석(II) -임진강 참게 복원사업의 확장모형- (An Integrated Ecological-Economic System Dynamics Model Analysis on the Ecosystem Restoration Policy (II): Extensions and Relaxations of the Model of King Crabs in the Imjin River, Korea)

  • 정회성;전대욱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2호
    • /
    • pp.97-120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tension of and discussion on the System Dynamics model (Jeong & Jeon, 2005) of river crabs in Korea. The previous model has been elaborated to empirically search for the optimal restoration and harvest rates of crabs in the Imjin River, on the basis of theoretical models of population dynamics in the field of bio-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conomics. In this paper, the authors tries to couple a series of new feedback loops related to density restrictions and cannibalistic behaviors with a stage-structured model of the crab ecosystem, and also to endogenize the parameter of baby crabs' survival that is caused by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income increase. Through these extensions and relaxations, the authors are able to argue about the strategic decision of the optimal rates additional considerations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the integrated system that was not covered in the previous paper.

  • PDF

조선조 치마 재고 (A Research of Chima in the Chosun Dynasty)

  • 박성실
    • 복식
    • /
    • 제30권
    • /
    • pp.295-306
    • /
    • 1996
  • A large quantity of exhumed clothing found for recent 20 years has becom-e the material for making a concrete clar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clothing in the Chosun dynasty. Exhumed clothing means the clothing found in the coffin when the grave of the ancestor buried several hundred several hundred years ago is removed to another pla-ce and it is almost comprised of ordinary clothes of the grave-owner not mourning clothes as well as clothing and ornaments in the period between the 15th cen-tury and th 19th century.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nquire into the kind of chimas in the 16th century before the Imjin Japancese Invasion of Korea during 1592-1598. The after effect of the Imjin Japanese In-vasion was generally reflected in clothing them and the structure of clothing in the Chosun dynasty began to overshadew its di-chotomy with the Imjin Japanese I vasion of Korea as the point.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the chima system of the early Chosun dynasty which shows that there is a common point of the identical form though clothing was exhumed in different grave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grasp women's clothing that was fashionable at that time The object for research is the women in the upper class of the 16th century whos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re depicted as follows: 1. Women in the upper class wore the splendid clothing similar to the ordinary clothing of court ladies. 2. The division of ordinary chima and ceremonial chima appeared in the concrete. 3. Ceremonial chima had its extra width and length and exhibited its exaggerated silhouette. in particular it had a various forms of over-pleats made at its center front which play a role in supplementing discomfort in walking. This associate bustle and crinolin styles through which the modern design of clothing can be glimpsed. 4. The opposite phenomenon was shown that has been perceived up to now such as folding at the right plain seam the treatment of the edge-and the like. 5. The elaboration of manual needlework shows the culmination of women's workmanship.

  • PDF

한강-임진강 합류부 환경·생태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이동성 생물종 보전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on Ecological Conservation along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Focusing on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 최현아;한동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5-160
    • /
    • 2022
  • 남북 공유하천 논의는 기존 수자원 분야 협력에서 생태보전협력 방향으로 논의 확대가 필요하다.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수계의 경우 기후 위기 대응 측면에서 하구 생태계의 온전성이 보전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위한 의제로서 남북 서식지를 공유하는 이동성 생물종의 보호를 중심으로 남북 생태보전 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한강-임진강 합류부는 법정보호종인 재두루미, 큰기러기, 개리, 저어새, 수달, 삵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서식지 보전 측면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생태보전을 위한 북한과의 협력을 위해 환경·생태협력 여건을 분석 후 향후 진행 가능한 협력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때, 현시점을 준비 단계로 보고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향후 남북 간 직접 교류가 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생태보전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북한과의 협력은 공유하천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는 과학교류, 대중인식 증진 활동의 결과를 교류하는 작업이 수반될 때 실제 협력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 것으로 판단된다.

「경복궁도」 제작 시기와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and Background of Gyeongbokgungdo)

  • 홍현도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4호
    • /
    • pp.51-62
    • /
    • 2023
  • Gyeongbokgungdo depicts the composition and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well as a monument related to pro-jamrye held at the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in Yeongjo. Based on literature such as Dongguk Yeoji Seungram, such as Gyeongbokgungdo painted major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nd buildings in the backyard.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the foot of the mountain, waterway, and Pond,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site identifi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are reflected, and some of the Gyeongbokgungdo contain reconstruction records. As such, Gyeongbokgungdo depicts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facilities built after the Imjin War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time of reconstruction as it reflects the mountain and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layout of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do was partially reflected in the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and used as a material to understand the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임진강 유역 오염물질 총량관리를 위한 유량-수질 자료의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Data in the Imjin River Basin for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 조용철;최현미;이영준;류인구;이명구;구동회;최경완;유순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4호
    • /
    • pp.353-36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진강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위한 단위유역의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유량과 수질자료를 통계분석기법에 이용하여 수질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유량과 수질은 평균 8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11개 항목을 상관분석,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에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공간변화에 따라 자연형 하천, 도시형 하천, 점오염원 영향이 큰 지점 등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오염원의 종류와 수질 유사성이 군집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원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군집간의 평균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에서 $COD_{Mn}$와 TOC의 상관계수가 0.951(p<0.01)로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3개의 주성분으로 전체 수질특성의 72%를 설명할 수 있으며 요인분석에서 주요 요인은 EC, $BOD_5$, $COD_{Mn}$, TN, TP, TOC 항목으로 나타나 유기물과 영양염류 간접지표가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요인점수를 다중 선형회귀분석에 적용하여 회귀 방정식을 제시하고 임진강 유역 수질관리에 유기물 및 영양염류 간접지표 항목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철기시대 철자형(凸字形).여자형(呂字形) 및 한성백제기 육각형(六角形) 주거지(住居址)의 평면과 구조 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and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凸'-shaped, the '呂'-shaped and the hexagonal-shaped pit houses)

  • 이승연;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37-56
    • /
    • 2007
  • The '凸'-shaped, the '呂'-shaped and the hexagonal-shaped pit houses were excavated at the Youngdong area, some location along the upper the Imjin River and Han River between the Iron age and the kingdom of Hanseong Baekj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structural system and developement of the pit house with rectangular plan. It is considered a matter in all its aspects which are plan, scale, aspect, pillar holes, carbonized wood and several traces. These pit houses removes the pillar on the inside or it reduces to secure a wider space, it pursued the chamfered corner, the change of the front, the entrance fixed. Also these adopted diverse structural systems(the chuandou structure, the structural system of columns and beams and a bearing wall). But in the course of time, the Korean wooden architecture is developed gradually the structural system of columns and beams. It is presumed the result that overcome the limit with the close space and pursue the flowing space and compose a group of organizable buildings.

  • PDF

횡월류형 강변저류지를 포함하는 하천수계에 대한 수리학적 계산모형 (Computational Model for Flow in River Systems Including Storage Pockets with Side Weirs)

  • 전경수;김진수;김원;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2호
    • /
    • pp.139-151
    • /
    • 2010
  • 횡월류식 강변저류지를 포함하는 하천수계의 흐름 모의를 위한 준2차원 부정류 계산모형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형은 횡월류 흐름에 대해서는 수량보존에 관한 연속방정식 및 월류형 수위-유량 관계식을, 하도에 대해서는 1차원 St. Venant 방정식을 각각 지배방정식으로 하여 흐름을 모의하는 폐합형 계산모형이다. 수립된 모형을 현재 계획 중인 군남 홍수조절지부터 한강 합류 지점까지의 임진강 구간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횡월류 위어의 유량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최대유량 및 수위의 저감효과는 유량계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 하류 측에 위치한 강변저류지일수록 배수영향이 커지므로 첨두 홍수위의 감소효과는 줄어드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저감 효과는 조도계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횡월류 위어의 정부표고가 높을수록 조도계수에 따른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변저류지의 설계를 위해서는 조도계수의 적절한 추정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추정된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횡월류 위어의 정부표고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형 인자를 이용한 하천분류 체계의 적용성 검토 (Examination into the Applicability of the River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Geomorphological Criteria)

  • 이찬주;이두한;김규호;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04
  • 본 연구는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하천 정비 기법에 응용될 수 있는 기존의 외국 하천 분류 체계를 소개, 검토하고 하천의 형태를 표현하는 지형 인자를 이용하여 하천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분류 체계는 지류의 유입이 없는 하도 구간을 분류 단위로 하였으며 1) 하도의 제약도를 반영하는 곡저폭지수, 2) 평면형을 반영하는 사행도와 3) 하상 재료를 기본적인 지형 인자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류 체계는 전체 24개 유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천 유형별로 하곡 지형, 주요 하상 지형, 유수의 지형형성작용 및 교란 요소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하천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청미천과 임진강의 하도 구간별 특성을 설명하고 Rosgen 분류 체계와 비교함으로써 본 분류 체계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