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compare method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39초

대용량 위성영상의 무감독 분류를 위한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의 병렬처리: 다중코어와 PC-Cluster를 이용한 Hybrid 방식 (Parallel Processing of k-Means Clustering Algorithm for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Large Satellite Images: A Hybrid Method Using Multicores and a PC-Cluster)

  • 한수희;송정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45-45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위성영상의 무감독분류를 위해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의 병렬처리 코드를 개발하여 PC-cluster에서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OpenMP (Open Multi-Processing)를 기반으로 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다중코어를 이용하는 intra-node 코드와 message pass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PC-cluster를 이용하는 inter-nodes 코드, 그리고 이 둘을 병용하는 hybrid 코드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PC-cluster는 한 대의 마스터 노드와 여덟 대의 슬래이브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각 노드에는 여덟 개의 다중코어가 장착되어 있다. PC-cluster에는 Microsoft Windows와 Canonical Ubuntu의 두 가지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병렬처리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자료는 두 가지 다중분광 위성영상으로서 중용량인 LANDSAT 8 OLI (Operational Land Imager) 영상과 대용량인 Sentinel 2A 영상이다. 병렬처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speedup과 efficiency를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speedup은 N/2 이상, efficiency는 0.5 이상으로 나타났다. Microsoft Windows와 Canonical Ubuntu를 비교한 결과 Ubuntu가 2-3배의 빠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순차처리와 병렬처리 결과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클래스의 밴드별 중심값과 분류된 화소의 수를 비교하고 결과 영상간 화소대 화소 비교도 수행하였다. Intra-node 코드를 구현할 때에는 OpenMP에 의한 false shar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PC-cluster에서 대용량 위성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파일 I/O에 의한 성능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코드 및 하드웨어를 설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C-cluster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따라서도 성능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난치성 치주염의 질환진행 예견 인자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IN REFRACTORY PERIODONTITIS)

  • 이해준;최상묵;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09-126
    • /
    • 1993
  • Refractory periodontitis manifest progressive attachment loss in a rapid and unrelenting manner regardless of the type or frequency of therapy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a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ytokines in GCF and periodontopathic microflora with disease activity of refractory periodontitis. Selection of patients with refractory periodontitis (7 males, 3 females) were made by long term clinical observation including conventional clinical history and parameters. Teeth that showed pocket depth greater than 6mm were selected as sample teeth. Subjects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fter 3 months. Prior to baseline test, individual acrylic stent was fabricated. Reference grooves were made on each sample tooth site. Pocket depth and attachment loss were measured by Florida Probe. Gingival index was measured at 4 sites each sample teeth. Disease activity was defined as attachment loss of ${\ge}$ 2.1mm, as determined by sequential probing and tolerance method. The pattern and amount of alveolar bone resorption was observed with quantitative digital subtraction image processing radiography. Morphological analysis of subgingival bacteria was taken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Predominant cultivable bacterial distribution and frequency were compared between disease-active and disease-inactive site using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and selective microbial culturing. Levels of $interleukin-l{\beta}$, 2, 4, 6 and $TNF-{\alpha}$ in GCF and blood serum sample were quantified by ELISA. In active sites, P. intermed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compare with inactive site. $IL-1{\beta}$, IL-2, IL-6 and $TNF-{\alpha}$ in GCF were increased in active sites and IL-2 in serum was increased in active patients significantly. Alveolar bone loss in active site was correlated with $IL-1{\beta}$, IL-2 in GCF. And loss of attachment in active site was correlated with IL-2 in GCF.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L-2 in serum, $IL-1{\beta}$, IL-2, IL-6 and $TNF-{\alpha}$ in GCF, P, intermedia might be used as possible predictors of disease activity in refractory periodontitis before it is clinically expressed as attachment loss and quantitative alveolar bone change.

  • PDF

Point cloud와 solid model을 기반으로 한 단일수목 입체적 정량화기법 연구 (3D Measurement Method Based on Point Cloud and Solid Model for Urban SingleTrees)

  • 박해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2호
    • /
    • pp.1139-1149
    • /
    • 2017
  • 수목을 3차원 구조로 정량화하는 것은 다양한 환경분석 모델링의 입력 자료로써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3차원 측량이 가능한 라이다는 고비용과 전문인력이 필요해 파편화된 소규모의 도시녹지를 측량하기에는 경제적 장비운용적 차원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수목은 계절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므로 시계열 모니터링으로 도시생태계를 이해하려면 높은 빈도로 쉽고 빠르게 수관구조를 측량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이에 맞는 정량화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환경분석 모델링의 입력 자료로써의 필요가 아니더라도, 도시내 수목의 크기와 나이는 관리비용, 생태계서비스, 경관, 안전 등과 직결되므로 반드시 정보화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내 수목의 3차원 환경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방법론으로써 UAV(Unmanned Aerial Vehicle)와 SfM-MVS(Structure from Motion-Multi View Stereo), solid modeling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제시된 device와 방법론의 검증을 목표로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stereo image들로부터 생성된 point cloud로 측량한 결과의 정확도를 지상 라이다 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두 번째, UAV촬영 사진개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point cloud의 밀도가 수목의 부피 및 크기 정량화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해상도의 point cloud가 정밀한 수목 측량에 꼭 필요한 요소인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수목 부피의 정량화 및 형상화를 위해 solid model이 얼마나 적합한가를 검증하고자 다른 3D type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UAV와 SfM-MVS 그리고 solid model을 이용하면 단일수목을 손쉽게 저비용 높은 시간해상도로 정량화 및 형상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단일 개체목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더 넓은 녹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비행계획의 수립,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와의 융합, 녹지규모 확대에 따른 정량화 기법의 개선 등 앞으로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위암환자의 위장조영검사 영상분석 (Image Analysis on Upper Gastrointestinal(UGI) Series of Gastric Cancer)

  • 고주영;조영기;최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1-258
    • /
    • 2010
  •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위치확인을 위한 위장조영검사의 영상을 분석하여 위암묘출의 정확도 및 한계성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대응책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10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되어 위절제술을 시행한 조기위암 환자 88명과 조기위암과 비슷한 진행성위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전 시행했던 위장조영검사와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영상분석은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2명이 분석하였다. 위암환자 102명의 위절제 후 병리학적 위암위치와 비교를 통한 위장조영검사에서 위암의 발견율은 "확실" 81 예(79.4%), "실패" 21예(20.6%)로 판정되었다. "실패"로 판정된 21예의 위암형태는 IIb+IIc형이 2예(100%), IIb형이 5예(83.3%)로 발견율이 매우 낮았다. 위암의 전구병변인 장형화생은 위장조영검사에서 92예 (90.2%)의 발견율을 보였다. 위장조영검사의 한계점은 IIb형 및 1.0cm이하 미소위암의 발견이 어려웠다. 위암과 동반된 장형화생 92예(90.2%)의 발견은 위장조영검사에서 위암의 발견에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된 다. 위장조영검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위에 맞는 정확한 촬영법 및 풍부한 방사선학적 경험을 통한 미세한 점막의 변화를 확인하는 촬영습관이 위암을 발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격자 단위 특징값을 이용한 도로 영상의 차량 영역 분할 (Vehicle Area Segmentation from Road Scenes Using Grid-Based Feature Values)

  • 김구진;백낙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69-1382
    • /
    • 2005
  • 도로 영상에서 차량 영역을 분할하는 차량 영역 분할(vehicle segmentation) 문제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 분야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기본 연산(fundamental operation)이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의 도로 상에 설치된 CCD카메라에서 촬영된 정지 영상으로부터 차량 영역을 찾아내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들을 격자 단위로 분할하여 각 격자에서의 에지 검출 결과를 대표하는 특징값(feature value)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최적해를 구한다. 전처리 과정에서는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 촬영한 배경 영상들에 대해서 각 격자에서의 특징값들을 통계 처리한다. 입력된 차량 영상에서는 각 격자의 특징값이 배경 영상의 대응되는 격자에서의 특징값과 통계적으로 얼마나 오차를 보이냐에 따라, 배경 영역인지 차량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격자 별로 차량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판정한 뒤, 이 결과에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포함하는 최적의 직사각형 영역을 찾아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계 처리와 전역 탐색 기법을 사용하므로 휴리스틱에 주로 의존하는 기존 연구들에 비해 좀더 체계적이다. 또한, 배경 영상에 대한 통계 처리는 흐리거나 맑은 등의 날씨 변화 및 바람이나 진동에 의한 카메라의 흔들림과 같은 다양한 외부 요인들이 가져올 수 있는 노이즈나 오차에 대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보여준다. 제안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1280\times960$ 크기의 차량 영상들을 장당 평균 0.150초의 수행 시간에 처리하였으며, 총 270장의 다양한 노이즈를 가지는 차량 영상들에 대해 $97.03\%$의 성공률을 보였다.

  • PDF

주조연결된 니켈-크롬-베릴리움 주조체의 굽힘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FLEXURE STRENGTH OF CAST-JOINED CONNECTOR WITH Ni-Cr-Be ALLOY)

  • 정창모;전영찬;임장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58-866
    • /
    • 1998
  • Soldering is the usual method used to correct an unstable fixed partial denture framework at patient's try-in; However, presoldering base metal alloys is technique-sensitve and results are unst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uniform heat distribution and to prevent oxidation of an alloy. A cast-join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by Weiss and Munyon for repair, correction and addition to base metal framework. This joining technique eliminates the problem with presoldering of non-precious framework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1) compare the relative flexure strength and the joining effectiveness of Ni-Cr-Be cast in two pieces and 'pre-soldered' versus in two pieces and 'cast-joined'. 2) determin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retentive grooves on the face of the cast and 3) determine the effect of the relative matched position of groove patterns on flexure strength. The joining effectiveness can be expressed by the ratio of the mean flexure stress of soldered or cast-joined specimens to that of one-piece cast. Resin rods 3mm in diameter were used as pattern of specimens for one-piece casted, presoldered, and cast-joined groups. Cast-joined specimens had two different patterns of retentive grooves on the joined faces. Type A had cross-shaped grooves 1mm in depth. 0.6mm in width. Type B was the same except for the addition of one more retentive groove. In the experiment connecting cast-joined specimens, half of specimens with type A pattern had their patterns on the faces of paired casts matched with each other as mirror image. With the rest pairs, it was proceeded that one of paired casts turned 45 degrees so that the patterns crossed. Half of specimens with type B pattern also had the patterns matched as mirror image; However, here, one of paired casts turned 90 degrees with the other pairs. Retentive groove in this study lacked the intentional undercuts, in contrast with the suggestion of Weiss and Munyon.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four-point flexural loading in an Instron testing machine. The midspan flexural stress was calculated at the point of initial plastic strain as determined from a strip-chart recorder or at the point of failure if this occured at a lower stress level.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soldered group showed flexural strength at least 2 times higher than the cast-joined groups. Its joining effectiveness was 82%. 2. In cast-joined groups, the flexural strength of joints with type B patterns exhibited 1.5 times that of joints with type A patterns. Joining effectivenesses were 38% for type B patterns, 25-26% for type A patterns. 3. The relative matched position of groove pattern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flexural strength of the cast-joined specimens with either type A patterns or type B patterns(p>.05).

  • PDF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arge Coherent Structures to the Skin Friction by POD Analysis)

  • 신성윤;정광효;강용덕;서성부;김진;안남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5호
    • /
    • pp.406-414
    • /
    • 2017
  • An experimental study in a recirculating water channe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rge coherent structures to the skin friction on a flat plat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was used to quantify characteristic features of coherent structures growing to the boundary layer. In the PIV measurement,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friction velocity near the wall region due to laser deflection and uncertainty so that Clauser fitting method at the logarithmic region was adopted to compute the friction velocity and compared with the one directly measured by the dynamometer. With changing the free-stream velocity from 0.5 m/s to 1.0 m/s, the activity of coherent structures in the logarithmic region was increased over three times in terms of Reynolds stress. The flow field was separated by Variable Interval Time Averaging (VITA) technique into the weak and the strong structure case depending on the existence large coherent structures in order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stream-wise velocity fluctuation was scanned through at the boundary thickness whether it had a large deviation from background flow. With coherent structures connected from near-wall to the boundary layer, mean wall shear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weak structure cas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analysis was also applied to compare the energy budget between them at each free-stream velocity.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한 선량비교 (Dose Comparison Using Deformed Image Registration Method on Breast Cancer Radiotherapy)

  • 원영진;김종원;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57-62
    • /
    • 2017
  • 본 연구는 거대유방암 환자대상으로 환자의 움직임과 모양의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를 콘빔단층촬영영상(CBCT)과 변형영상정합기법(DIR)을 적용하여 적응형방사선치료계획을 재구성하여 기존에 사용된 쐐기접선조사기법(TWF)과 종속조사면 병합치료방법(FIF) 그리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계획(IMRT)을 이용하여 선량비교평가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CT와 CBCT를 MIM6 사용하여 변형영상정합기법영상(DIRCT)을 만들어 각각의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계획표적체적(PTV)은 왼쪽 유방이고 균질성지표(HI), 적합성지표(CI), 조사범위지표(CVI)의 값을 확인하였다. 관심장기(OAR)는 반대쪽 유방, 폐 그리고 심장이며 평균선량, 최대선량과 장기 특성에 따른 기타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PTV인 유방의 HI 값은 DIRCT를 이용한 모든 치료계획방법에서 증가하였으며, CVI, CI의 결과에서는 DIRCT를 이용한 치료계획방법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폐에서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 이용한 IMRT 치료계획방법이 다른 치료계획보다 증가함을 보였으며, 심장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를 이용한 TWF와 FIF는 감소했으며, 오히려 IMRT의 결과는 증가하였다. 유방암 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움직임과 셋업 오차로 인해 유방모양의 변경을 감암했을 때 TWF와 IMRT보다 FIF 방법을 이용했을 때 반대편 유방과 심장, 폐의 피해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easurement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Values from Diffusion-Weighted MRI: A Comparison of Manual an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 Kim, Seong Ho;Choi, Seung Hong;Yoon, Tae Jin;Kim, Tae Min;Lee, Se-Hoon;Park, Chul-Kee;Kim, Ji-Hoon;Sohn, Chul-Ho;Park, Sung-Hye;Kim, Il Ha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2호
    • /
    • pp.88-98
    • /
    • 2015
  • Purpose: To compare the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mean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s using contrast-enhanced (CE) T1 weighted image (WI) and T2WI as structural images between manual an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1 and May 2013, 28 patients who underwent brain MR with diffusion weighted image (DWI) and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having glioblastoma participated in our study. The ADC values were measured twice in manual an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using CE-T1WI and T2WI as structural images to obtain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Moreover, intraobserver reliabilities of the different segmentation methods were assessed after subgrouping of the patients based on the MR findings. Results: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ies were high in both manual an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on CE-T1WI-based evaluation, while interobserver reliability on T2WI-based evaluation was not high enough to be used in a clinical context. The intraobserver reliability was particularly lower with the T2WI-base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in the subgroups with involved $lobes{\leq}2$, with partially demarcated tumor borders, poorly demarcated inner margins of the necrotic portion, and with perilesional edema. Conclusion: Both the manual and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on CE-T1WI-based evaluation were clinically acceptable in the measurement of mean ADC values with high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ies.

가변 시상수를 이용한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 (Auto Exposure Control System using Variable Time Constants)

  • 김현식;이성목;장원우;하주영;김주현;강봉순;이기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7-264
    • /
    • 2007
  •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는 보기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 자동 초점거리 조정(Auto Focus), 자동 색온도 보정(Auto White Balance), 자동 노출 조정(Auto Exposure)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새로운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은 가변 시상수(Variable Time Constant)를 가지는 IIR Filter를 이용한다. 먼저 노출제어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사진에서 밝기변화와 Zone System에서 보여주는 사물의 휘도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휘도변화 특성 그래프를 얻는다. 얻어진 이상적인 휘도 변화 그래프와 현재의 노출설정을 비교하여 적정 노출의 설정을 찾는다. 제안하는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은 적정 노출을 얻을 수 있는 설정으로 조정하기 위해 기존의 마이크로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달리 IIR Filter를 사용하므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콤팩트 이미지 센서모듈(ISM)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