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stration book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그림책화면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방식에 대한 어린이의 인지반응연구 (Response to the Metaphorical Expression Method That is Shown in the The Image of Picture Book)

  • 유동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98-207
    • /
    • 2010
  • 그림책화면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의미형성은 전달하고자 하는 현상이나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이미지를 더하거나 과장, 축소하여 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을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표현방법이 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그림책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방식이 어린이에게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시각적 은유특성과 표현형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에 대한 범주화의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를 통해 어린이의 시각적 심리적 지각반응을 명확하게 도출하기 위하여 표현형식을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심층면접의 설문자료로 활용하여 유형별 어린이의 언어적 심리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결론은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화면제작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표현방법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15-16C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서양 도서의 형태 (Physical Make-up of Occidental Book in 15-16 Centuries, the Age of Renaissance and Reformation)

  • 이희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5-229
    • /
    • 1997
  • 15-16 세기는 인류 역사상 근세를 여는 획기적인 전환점의 시기로 인쇄술의 발명에 따른 도서 문화의 발전은 모든 분야의 도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시기의 도서를 논하되 물리적이고 형태적인 측면만을 부각시켜 기록매체로서의 종이와 양피지: 인쇄도구와 방법으로서의 주조활자와 조판, 그리고 압판기에 의한 인쇄, 접지와 그에 따른 도서의 크기: 지면 형태로서의 표제면과 간기면, 새롭게 등장한 각종 활자체와 서체, 지면의 배열과 삽도, 머리글자, 테두리 등의 장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용화된 가죽 장정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전체적으로 그 특성들을 종합했다.

  • PDF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화면구도에 따른 인지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Effect as to the illustration Layout in Children's Picture Books)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63-272
    • /
    • 2005
  • 그림책화면에서 구도는 조형요소들의 놓여진 위치와 배열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의 움직임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그림책의 화면구도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그리고 어린이마다 과거의 경험, 심리작용, 생리적 욕구, 감정상태, 성장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시각적 심리적 지각은 4세에서 7세까지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어린이를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자의 이론을 지각특성과 지각과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내용을 조화롭고 효과적인 화면구도방식으로 유추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제작된 어린이그림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결론은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화면제작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 특징 연구 (Research on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in Picture Books)

  • 한영강;김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31-142
    • /
    • 2021
  • 본 연구는 그림책 속 그림 디자인에 기초한 것으로,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은 매우 중요한 객관성을 담고 있다. 그림속의 다양한 텍스트, 그림, 여백 등은 작업자의 다양한 편집기술과 합리적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공간배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여러 그림 사례와 고전적인 그림책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그림책 속 디자인의 공간 표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그림과 텍스트의 융합, 즉 그림과 텍스트 모두 화면의 요소로서 함께 공간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이다. 둘째 그림책 속 공간 디자인의 일관성 특징으로, 책을 열람할 때 이야기와 내용을 부드럽게 연결시켜야 한다. 셋째 공간 표현 시 창작자가 필요에 따라 추상적 공간 표현과 구상적 공간 표현 중에서 서로 장단점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는 그림책 공간 표현의 상징적 특징으로, 기호학 원리에 따라 그림책의 공간 표현에 많은 상징적 표현 수법이 적용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 열람의 인지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다섯째 특징은 우수한 그림책의 공간 표현은 재미있는 요소가 뛰어나며 디자인 수단이 풍부하고 화면 내용과 화면 형식을 독자들에게 재미나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와 아티스트가 이 같은 주어진 공간프레임 안에서 창작을 이끌어내야 하며 이러한 공간프레임은 그림책창작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독자중심적인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대한 어린이의 선호 분석 (Analysis of Children's Preference about the Expression Form of Illustrations in Children's Picture Books)

  • 유동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65-17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사실적 표현과 환상적 표현의 선호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유치원생 7세 어린이 52명(남 26명, 여26명)으로 하였으며, 2차에 걸쳐 실시한 선호도 조사는 어린이의 개별면접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에 활용한 연구도구는 국내에서 제작, 출판된 어린이그림책 중에서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추천도서와 국외 수상작 가운데 사실적 표현과 환상적 표현이 잘 나타난 어린이그림책을 활용하였다. 선호도비교에서는 남녀어린이 모두 사실적 표현에 비해 환상적 표현형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어린이의 경우 남자어린이보다 사실적 표현을 다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과정에서 지역별, 연령별 어린이들의 선호도 분석 및 동일한 주제나 이야기내용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표현유형의 그림책을 보았을 때 나타나는 어린이의 반응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었다.

고전적의 형태기술에 관한 연구 -국제표준서지기술법(ISBD)의 형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hysical Description of the Oriental Traditional Books : According to ISBD)

  • 현영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271-295
    • /
    • 1991
  • The external forms and contents of many library materials are very various. The physical description of the specific materials in the forms must be fitted to each forms. The oriental traditional books are very special in the printing forms. The machine readable cataloging of library materials is used internationally in these days. So, the cataloging of the oriental traditional materials must be reconsidered for computerizing of that. The physical descriptions of these materials will accord with ISBD to prepare for comuterzing of that. This study presented the recording forms of physical description that fitted to peculiarity of the oriental traditional materials and it refered to ISBD of non-book materials that are special in the forms. These recording forms of that are as the follows; The first part is the recording forms of description and number of the parts of items. The second part is the recording forms of the other physical details. This part contains the Illustration, Kwankwak, Keseon, Hengjasu, Heucku, Eormee. The Third part is the dimensions of items. The dimensions of the oriental traditional books consist of two kind. One is the dimensions of actual printing. The other is that of a book cover. The fourth part is the recording forms of the accompany materials.

  • PDF

컷 분할 그림책의 예술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Artistry of Comic Strip Books)

  • 이선경;이경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9-347
    • /
    • 2002
  • 컷 분할 그림책은 이야기를 표현하는 연속적인 여러 개의 화면 또는 여러 개의 컷으로 분할된 화면으로 구성된다. 시각에 의한 정보전달 매체로서 컷 분할 그림책은 구체적인 시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창조적 사고 발달과 정서 함양에 효과적이고, 그에 따른 미적 체험으로 다양한 조형 감각을 일깨우게 된다. 본 연구는 시각적 흐름에 따른 구체적 형태의 컷 분할을 이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연결 표현에 관하여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작품 분석을 통하여 영상 매체의 전달 특성을 수용한 컷 분할 형식의 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하였다. 컷 분할 형식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그림 자체로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인간에게 보다 발전된 의미에서의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다양한 표현과 일러스트레이션 제작을 통해 좀 더 새로운 조형 요소를 이해하고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 PDF

《서방자명당구경(西方子明堂灸經)》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XiFangZiMingTangJiuJing(西方子明堂灸經)》)

  • 김재철;김기욱;박현국;황민섭;윤종화;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03-119
    • /
    • 2003
  • Below are the reports arranged from the research of ${\ll}$XiFangZiMingTangJiuJing(西方子明堂灸經)${\gg}$, which appears in the research of the main issue. ${\ll}$XiFangZiMingTangJiuJing${\gg}$ was written during the Nan-song period, approximately between 1142~1194, and was probably completed between 1142~1148. This book is the very first book specific on the moxibustion theory which exists these days and also thoroughly contains the moxibustion theory. So it contains many documents of the moxibustion theory which are missing these days. Also it's possible that the illustration presented in this book followed ${\ll}$MingTangJing(明堂經)${\gg}$ of SunSiMiao(孫思邈). The way of arranging the GuiJing(歸經) of YuZue(兪穴) and deciding the location of acupuncturing(穴位) differs from reports given by other documents. As seen above, ${\ll}$XiFangZiMingTangJiuJing${\gg}$ has a consulting value on the moxibustion theroy(灸法), both in clinic and the research of documents. So we are looking forward that there would be a more profound research continuing in the future.

  • PDF

덕곡(德谷) 홍종운(洪鐘韻)의 "기묘사마동년계첩(己卯司馬同年契帖)"에 관한 연구(硏究) (A Bibliographical Study on Gimyo sama tongnyung kyechub made by Hong Jong Woon)

  • 노기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99-415
    • /
    • 2012
  • "기묘사마동년계첩(己卯司馬同年契帖)"은 1639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동기생들이 계회를 연 후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본 연구는 "기묘사마동년계첩(己卯司馬同年契帖)"의 형태적 특징과 계첩에 수록된 <계회도(契會圖)>, <좌목(座目)>, <서문(序文)>, <계회시(契會詩)> 등을 분석하여 <계회도(契會圖)>에 있는 인물과 계회(契會)의 사실, 계첩의 제작과 의의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계첩은 이전의 계회도(契會圖)와 다른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1639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동기생 4명 가운데 치곡(治谷) 최상호(崔尙虎), 감호(甘湖) 김정화(金鼎華), 덕곡(德谷) 홍종운(洪鐘韻) 등 3명이 1656년 가을 영암 월출산에서 계회를 연 후, 전라도 강진의 전라병영에 소속된 화원에게 명하여 계첩 4부를 제작하고 간직하여, 후손들이 서로 각별한 인연을 계속 이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계첩을 제작하였음이 밝혀졌다.

상한론(傷寒論)과 금궤요략(金匱要略)의 해백(薤白) 기원종과 1일 복용량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Allii Chinensis Bulb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and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 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5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ume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Allii Chinensis Bulb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and Prescriptions of the Gold Chamber. Methods : I assumed the origin with Book of Materica Medica such as Illustration and Classic of Materia Medica(本草圖經), Illustration and Consideration of Plant's Name and Reality(植物名實圖考),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Forth Edition, Annotation of Hangeul Treatise of Cold Damages Diseases, and daily dose based on general principle applied on dose of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Results :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and Prescriptions of the Gold Chamber, the original species of Allii Chinensis Bulbus was Allium chinense G. Don. It was to be measured with weight. It was too big to write on size due to it's 10~30mm length and 3~12mm in diameter. And due to irregular size, it can't be written on number, too. Daily dose of Allii Chinensis Bulbus in Whaeyeok-san(回逆散), Gwalluhaebaekbanha-tang(栝樓薤白半夏湯) was 3 Ryang(兩), which was the most common case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And that in Gwalluhaebaekgyeji-tang(栝樓薤白桂枝湯), Gwalluhaebaekbaekju-tang(栝樓薤白白酒湯) is 8 Ryang(兩), which was the largest dose as dried herb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Conclusions : The original species of Allii Chinensis Bulbus was Allium chinense G. Don. The daily dose of Allii Chinensis Bulbus was 3 Ryang(兩)(19.5g) in Whaeyeok-san and Gwalluhaebaekbanha-tang, and was 8 Ryang(兩)(52g) in Gwalluhaebaekgyeji-tang and Gwalluhaebaekbaekju-t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