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nition Characteristic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과산화수소/케로신(촉매점화) 점화기의 점화특성에 관한 연구 (Ignition Studies Of Igniter using Hydrogen Peroxide And Kerosene (Catalyst Ignition))

  • 김기우;김태완;이양석;김유;고영성;김선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0
    • /
    • 2009
  • 점화기의 발열온도와 점화특성은 엔진 성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과산화수소/케로신 점화기는 과산화수소 분해율에 따라 큰 성능차이가 발생하므로 점화기의 연구에 앞서 촉매 분해성능 연구를 선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산화수소/케로신을 사용하는 점화기를 제작하여 과산화수소/촉매의 비율에 따른 발열온도 파악과 이때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O/F ratio 별 점화특성의 확인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로켓 클러스터링 모델의 동시 점화 및 유량 분배 연구 (A Study on the Simultaneous Ignition and Flow Distribution of Hybrid Rocket Clustering Model)

  • 박선정;문근환;이창우;이영석;강소영;문희장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81-786
    • /
    • 2017
  • 본 연구는 달착륙선을 위한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기초 연구로서 동시 점화 및 산화제 유량 분배를 통한 클러스터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클러스터링 연소 실험을 위해 지상 연소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산화제와 연료는 각각 기체 산소(gas oxygen)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 Ethylene)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화약 점화를 사용한 동시 점화 장치는 동일한 시점에 점화가 되었으며, 유량 분배 장치를 통해 비교적 균일하게 산화제 분배가 이루어져 각 연소실 내에서의 압력이 비교적 동일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대응탄 개방형 추진장치용 점화기개발 (Development of Ignitor of Open-Type Propulsion Device for Korean Interceptor)

  • 권순길;김창기;윤상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66-1170
    • /
    • 2011
  • For developing the ignition device for the interceptor of Korean active protection system,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ignition device which should have a short ignition delay time and sufficient energy for propellant ignition were studied. The electric primer instead of mechanical primer was adopted for deceasing delay time, and ignition code was used for decreasing the time difference of flame propagation from the flame holes. The developed ignition device showed the ignition delay time of a few ms. When the designed ignition device was applied to the open-type propulsion devices, the stable interior ballistic characteristic was showed in a firing test.

압축착화 엔진에서 가솔린 예혼합이 연소 및 배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soline-premixing on Combustion and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 차준표;권석주;허정윤;이창식;박성욱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3-57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work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oline-premixing on a combustion and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For study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a combustion pressure and rate of heat release (ROHR) were measured using a single-cylinder DI compression ignition engine with a common-rail injection system and premixed fuel injection system. In addition,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using emission analyzers and smoke 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ase of gasoline-premixing had longer ignition delay and lower combustion pressure compared to the cases of diesel direct injection. Furthermore, premixed gasoline-air mixture reduced NOx emissions due to low peak of ROHR.

마그네슘 분진의 열분해 및 발화온도 특성 (Characteristic of Thermal Decomposition and Ignition Temperature of Magnesium Particles)

  • 한우섭;이정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g분진의 분진입경과 승온속도에 따른 열분해 및 발화온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시료는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38, 142, $567{\mu}m$의 Mg분진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열중량분석장치(TGA)와 IEC 61241-2-1규격에 따라 제작한 자연발화온도(MIT)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퇴적 Mg에 있어서 공기중 승온속도가 증가하면 중량개시온도는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승온속도 조건에서 입경의 증가는 발화온도의 증가로 나타났다. 또한 부유 Mg분진의 최저발화온도(MIT)는 평균 입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적연소기에서 토치의 체적 변화에 따른 메탄의 연소특성 파악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Methane Fuel according to Torch Volume Variation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 권순태;박찬준;엄인용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2-48
    • /
    • 2011
  • Six different size of torch-ignition device were applied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orch-ignition on combustion. The torch-ignition device was designed for six different volumes and same orifice size. The combustion pressures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mass burn fraction and combustion enhancement rate. In addition, the flame propagations were visualized by shadowgraph method for the qualitative comparis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bustion pressure and mass burn fraction were increased when using the torch ignition device. And the combustion duration were decreased. The combustion enhancement rates of torch-ignition cases wer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park ignition. Finally, the visualiz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orch-ignition induced faster burn than conventional spark ignition due to the earlier transition to turbulent flame and larger flame surface, during the initial stage. Finally, the initial flame propagation was affected by torch-ignition volume.

Ethylene Glycol과 Diethylene Glycol의 자연발화 특성과 활성화에너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uto Ignition and Activation Energy of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 김정훈;최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2
    • /
    • 2016
  • 자연발화 특성은 가연성물질의 취급 및 화재예방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ASTM D2155식 발화온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Ethylene Glycol (EG)과 Diethylene Glycol (DEG)의 자연발화 특성 및 활성화에너지를 고찰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의 경우 EG는 시료량 $75{\sim}160{\mu}{\ell}$의 범위에서 $434^{\circ}C$를 구하였고 DEG는 시료량 $130{\sim}150{\mu}{\ell}$의 범위에서 $387^{\circ}C$를 측정 하였다. 또한 시료량 $140{\mu}{\ell}$에서 순간발화온도를 측정한 결과 EG는 $579^{\circ}C$, DEG는 $569^{\circ}C$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측정값을 Semenov 방정식으로부터 최소자승법에 의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구한 결과 EG는 25.41 Kcal/mol, DEG는 14.07 Kcal/mol을 구하였으며 DEG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순간발화온도 및 활성화에너지가 EG보다 낮아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thylene Glycol과 물의 혼합비에 따른 자연발화온도 특성 (Characteristic of Auto Ignition Temperature due to the Mixture Ratio of Ethylene Glycol and Water)

  • 김정훈;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24-30
    • /
    • 2016
  • 자연발화 특성은 가연성물질의 취급 및 화재예방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ASTM D2155식 발화온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Ethylene Glycol과 물을 혼합한 시료의 자연발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Ethylene Glycol 100%는 시료량 $75{\mu}l{\sim}160{\mu}l$의 범위에서 $434^{\circ}C$로 나타났다. 물을 첨가하여 Ethylene Glycol 80%와 물 20%를 혼합한 시료는 시료량 $100{\mu}l{\sim}125{\mu}l$의 범위에서 $434^{\circ}C$로 나타났고, Ethylene Glycol 60%와 물 40%를 혼합한 시료에서 시료량 $120{\mu}l{\sim}160{\mu}l$의 범위에서 $437^{\circ}C$로 나타났다. 또한 순간발화온도는 시료량 $125{\mu}l$에서 각각 $579^{\circ}C$, $595^{\circ}C$$611^{\circ}C$를 구하였으며, 물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자연발화온도와 순간발화온도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 고압 환경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알루미늄 입자 생성과 점화 (Aluminum ignition in laser-generated aluminum particles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nvironment)

  • 이경철;타이라 쯔바사;구군모;이재영;박정수;여재익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5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101-103
    • /
    • 2012
  • Characteristic of aluminum ignitio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studied using lasers. The laser ablation method is used to generate aluminum particles exposed to a high pressure by using a nanosecond pulsed laser where the range of ablation pressure varies between 0.35 and 2.2 GPa. A $CO_2$ laser is used to supply radiative heat to the aluminum target surface for providing high temperature ranging between 5000~9300 Kelvin. The ignition is confirmed using spectroscopy analysis of AlO vibronic band 484 nm wavelength. Also the radiative temperature is measured in various high pressure range for tracing the ignition temperature in high pressure conditions.

  • PDF

원지의 구조적 변화가 난연제의 정착과 난연 처리된 종이의 인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1) -충전제와 난연 전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효과 - (Effect of Substrate Structure on Flame Retardant Fixation and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Treated Paper(1) - Effect of filler and pre treated polyester fiber -)

  • 김병수;이승기;정현채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2호
    • /
    • pp.42-46
    • /
    • 2002
  • Wallpaper has been used for decorating wall with multifarious patterns and colors. Ignition characteristic of wallpapers depends upon the types of wallpapers and their components. Since the wallpaper is made of flammable cellulose fibers diverse materials are being used as flame retardant in producing wallpapers. In this paper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wallpapers prepared with three different fillers and pretreated polyester fiber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of calendering on ignition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Commercial papers were used for checking the effect of calendering on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paper In this experiments, guanidine sulfomate was used as flame retard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