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ol identifi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Purchasing Behavior of K-pop Idol Goods Consumers in Korea

  • Kim, Yu Jin;Lee, Jieu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6호
    • /
    • pp.1-13
    • /
    • 2018
  • Idol goods refer to products such as cups and towels, or mementos or souvenirs that are manufactured to gratify the desires of fandom and may include the facial images of a sta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purchase behaviors of K-pop idol goods. Two hundred and sixty female idol goods purchasers in their twentie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heering tools were the most often purchased idol goods, followed by idol slogans and doll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dol goods' attributes they considered when shopping,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purchase groups based on their annual total expense for purchasing idol go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ight, medium and heavy purchasers in terms of goods' price, practical features, and scarcity. The light shopper group was majorly guided by price and practical features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and heavy shopper group was majorly guided by scarcity attribute than in the other two shopper groups. The more they identified their favorite idols, the more they worked hard, the higher their income, the higher the expenses of investing in idol produc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repurchase idol goods. In term of post-purchase behavior of idol goods, most idol goods purchase by fans were stored rather than used, and few indicated that they purchase two identical idol goods for use and storage.

아이돌 휴먼브랜드의 특성이 소비자의 아이돌 휴먼브랜드 애착, 모방 욕구, 동일시 욕구와 패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dol Human Brand's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Idol Human Brand Attachment, Desire to Imitate, Desire to Identify, and Purchase Intention)

  • 황지영;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9-575
    • /
    • 2021
  • The popularity of K-pop,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and communications, and rapid globalization are increasing consumers' attachment to celebrities. These celebrities, called "Human brand", have a growing impact on consumers. However, research on idol celebrities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eenagers. Furthermore, there are limits to the studies on consumers' attachment to idol celebrities who do not advertise specific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which are not advertised but related to the idol human brand.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301 out of 400 adul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in Kore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mitate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and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and AMOS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which are trust, professionality, soci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ly influence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The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positively affected the imitation desire toward the idol human brand, and the identification desire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to identify with its fandom community. Additionally, the desire to imitate and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아이돌을 둘러싼 젠더화된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의 문화정치학 <아이유 사태>를 중심으로 (Cultural Politics of Gendered Schadenfreude Surrounding an Idol Focusing on the debate over IU)

  • 김현경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0권
    • /
    • pp.115-142
    • /
    • 2016
  • 이 글은 작년 하반기 아이유 4집 앨범 발매 이후 벌어진 일련의 상황을 사례 삼아 최근 걸 아이돌에 대한 부정적인 대중 감정의 내용과 논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간 팬덤 연구의 흐름은 스타에 대한 동일시와 그에 기반을 둔 팬덤 커뮤니티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최근 '안티팬덤'이나 연예인에 대한 '악플' 현상은 이들에 대한 적의나 샤덴프로이데(타인의 불행을 기뻐하는 감정)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다루어야 할 필요를 제기한다. 샤덴프로이데는 공적 평등과 사적 소유 간 모순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 자유주의에서 배태되어 '능력주의'를 중심으로 이 모순을 극대화하는 신자유주의에서 심화되는 사회적 감정이다. 오늘날 연예인은 종종 샤덴프로이데의 대상이 되는데, 이는 연예인이 본질적인 자질보다 '유명하다는 이유로 유명해지는' 방식으로 존재하게 된 상황과 관련이 있다. 또한 샤덴프로이데는 남녀 연예인에게 다르게 작동한다. 근대에 이르러 존재 자체가 남성의 사적 소유물로 위치되었던 여성의 '성공'은 섹슈얼리티를 이용한 '불공정한 자원 획득'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 문화의 배경이기도 한데, 이러한 맥락에서 아이유의 '여동생 아이돌 아티스트'로서의 성공은 젠더화된 샤덴프로이데의 적절한 대상이 된다. '페도필리아(소아성애증)'라는 명명은 작금의 여성주의 성폭력 정치가 직면한 교착상태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지만, 아동성폭력/학대의 구조적 원인에 관심을 두게 하기보다 개인의 유명세에 흠집을 내는 추문으로서 작동한다. '아이유 사태'에서 '페도필리아' 규정의 작동 방식을 '성 정치의 샤덴프로이데화'로 본 것은 이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용어는 연예인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장을 넓혀나가는 연예인 경제 지속에 기여하게 된다.

  • PDF

중.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경희;정성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01-411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e thesis were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ttitudes an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ttitudes, and differences of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ttitudes between different genders and ages. The conformity includes clothing conformity by informational influence, by identificational influence, and by normative influence. And the clothing attitudes are fashion interests, pursuit of individuality, clothing importance. It was turned out that three types clothing conformity were closely related with variables of clothing attitudes(fashion interests, pursuit of individuality, clothing importance). Particularly, the clothing conformity by normative influ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other clothing conform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ariables of clothing attitudes. It was also turned out that school girls marked high points on the clothing conformity by informational influence and by identificational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fluenced by identification idol. Mo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believ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lothing, and they were pursueing both fashion and individuality simultaneously.

  • PDF

한국 설화문에서의 화제표현의 연속성 (Topic Continuity in Korea Narrative)

  • 정희자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405-428
    • /
    • 1990
  • 언어는 정보교환이라는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60년대 이래로 언어학자들의 관심이 언어의 정보전달 기능, 즉 어떠한 의미가 어떤 형식을 통하여 어떻게 전달되는가 하는, 의미, 형식, 기능의 관계에 점차 집중되게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문장분석보다는 담화분석을 통하여 더욱 명백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한국 설화문에서 사용되는 화제표현의 방법과 표현된 화제의 연속성을 측정함으로 효율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된 문법구조들은 영대용,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고유대명사, 지시사 뒤에 오는 명사, 소유격을 따르는 명사, 한정적 명사 그리고 비한정적 명사, 모두 8가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첫째, 한국 설화문에서 '인간임'(humanness)이 가장 강한 화제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인간지시 논항들은 주로 행위자 또는 경엄자를 나타내기 때문에 절이난 담화의 화제역학을 한다. 둘째, 이들 문법구조들은 각기 다른 화제표현의 연속성 정도를 나타낸다. 연속성 정도가 높은 구조일수록 표현이 간단하며, 연속성의 정도가 낮을수록 표현이 복잡하다. 셋째, 화제표현의 연속성은 구조들의 통사적 특성 이외에 사회적문화적 요인들과 작가의 화용상의 목적 등에 좌우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어체와 문어체 담화문을 비교분석하여 화제표현의 효율적 방법을 고찰할 것을 제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