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a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방사선조사에 의해 피질이형성증 백서의 전기행동학적, 병리조직학적 특징 (Electrobehavior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erebral Cortical Dysplasia Induced by External Irradiation in the Rat)

  • 최하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7호
    • /
    • pp.861-867
    • /
    • 2000
  • Purpose : Neuronal migration disorder(NMD) is a major underlying pathology of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The role of NMD on seizure susceptibility or epileptogenecity, however, has not been documented. Methods : External irradiation of total amount of 250 cGY was performed to the fetal rats on days 16(E16) and 17(E17) of gestation. After delivery, the rats of 230-260g were decapitated for the histopathologic study. Epileptog-enecity of the NMD was studied by observing electroclinical events after intraperitoneal kainic acid(KA) injection in the control rats and NMD rats. Results :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focal and/or diffuse cortical dysplasia consisting of dyslamination of the cerebral cortex and appearance of the cytomegalic neurons, neuronal heterotopia in the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dispersion of the pyramidal layer and the dentate gyrus of the hippocampus, and agenesis of the corpus callosum. Abnormal expression of neurofilaments protein(NF-M/H) was characteristically observed in the dysplastic neurons of the neocortex and hippocampus. Early ictal onset and prolonged ictal activity on EEG and clinical seizures were observed from the NMD rats unlike with the control rats. Conclusions : Exteranl irradiation on the fetal rats produced NMD. And the rats with NMD were highly susceptible to kainic acid provoked seizures. This animal model would be useful to study the pathophysiology of clinically relevant NMDs.

  • PDF

Alteration in NCX-3 immunoreactivity within the gerbil hippocampus following spontaneous seizures

  • Park, Dae-Kyoon;Park, Kyung-Ho;Ko, Jeong-Sik;Kim, Duk-Soo
    • BMB Reports
    • /
    • 제44권5호
    • /
    • pp.306-311
    • /
    • 2011
  • Although NCX-3 is highly expressed in the brain, the distribution of NCX-3 in the epileptic hippocampus is still controversial. Therefore, to assess the distribution and pattern of NCX-3 expression in epileptic hippocampus,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NCX-3 immunoreactivities in the hippocampus of seizure-resistant (SR) and seizure-sensitive (SS) gerbils. In SR gerbils, NCX-3 immunoreactivity was higher than pre-seizure SS gerbils, particularly in the pavalbumin (PV)-positive interneurons. Three h post-ictal, NCX-3 immunoreactivity in the SS gerbil hippocampus was markedly elevated to the level of SR gerbils. Six h post-ictal, the expression of NCX-3 was reduced to the level of pre-seizure SS gerbil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NCX-3 expression in the SS gerbil hippo-campus may be involved in the hyperexcitability of SS gerbils due to an imbalance of intracellular $Na^+/Ca^{2+}$ homeostasis and $Ca^{2+}$ concentration.

발작기 Tc-99m HMPAO 뇌 SPECT에 나타난 교차소뇌과혈류: 내외측 측두엽간질의 감별에 대한 임상적 의의와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Crossed Cerebellar Hyperperfusion on Ictal Tc-99m HMPAO Brain SPECT: Clinical Significance for Differentiation of Mesial or Lateral Temporal Lobe Epilepsy and Related Factors for Development)

  • 박순아;이동수;김석기;이상건;장명진;손명희;임석태;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2-321
    • /
    • 2000
  • 목적: 발작기 뇌 SPECT에서 교차소뇌과혈류를 통하여 내측성과 외측성 측두엽간질을 감별할 수 있는지 그 임상적 유용성 여부와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침습적 뇌파검사와 수술 후 경과로 확진된 59명의 측두엽간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발작기 Tc-99m HMAPO 뇌 SPECT를 시행하였고 평균주사시간은 비디오로 관찰한 간질뇌파시작으로 부터 $32.6{\pm}19.5$초였다. 교차소뇌과혈류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측두엽간질의 아형(내측성 또는 외측성 측두엽간질), 발작기 SPECT에서 간질병소의 전파되는 유형(측두엽에 국한된 경우, 주변대뇌피질로 전파된 경우 및 반대측 대뇌로 전파된 경우), 환자의 연령, 발작시점으로부터 주사시간의 네 가지 지표를 포함하여 다중로짓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교차소뇌과혈류는 전체적으로 31% (18/59)에서 관찰되었고 내측성 측두엽간질환자는 29% (15/51), 외측성 측두엽간질환자는 38% (3/8)였다. 다중로짓회귀분석결과 SPECT에서 간질병소의 전파되는 유형(p=0.01)과 환자의 나이(p=0.02)가 가장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즉 측두엽간질에 국한된 경우보다 주변이나 반대측으로 전파된 경우일수록, 환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내외측 측두엽간질의 아형과 주사시간은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했다. 결론: 발작기 SPECT에서 내외측측두엽간질을 구분하는데 교차소뇌과혈류는 도움을 주지 못하며 발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간질병소의 전파유형이나 환자의 나이였다.

  • PDF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를 통한 신경학적 예후 예측 (EEG can Predict Neurologic Outcome in Children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 양동화;하석균;김효정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0-245
    • /
    • 2018
  • 목적: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혼수 상태의 소아 환자에서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는 병원 외 심정지 후 자발순환회복 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와 혈액 검사를 통해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병원 외 심정지로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에 방문한 1개월 이상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파 분석은 배경파 점수화(background scoring), 자극에 대한 반응성(reactivity)의 유무 및 뇌파 상 경련(electrographic seizures)의 유무를 포함하였다. 배경파는 0점(nomal/organized), 1점(slow and disorganized), 2점(discontinuous or burst suppression), 3점(suppressed and featureless)으로 분류하였다. 신경학적 예후는 심정지 발생 후 최소 6개월 후에 PCPC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좋은 신경학적 예후군(PCPC 1-3점) 9명과 불량한 신경학적 예후군(PCPC 4-6점) 17명으로 총 26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불량한 예후군 환자의 88.2%, 좋은 예후군 환자의 44.4%에서 suppressed and featureless 소견을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0.028).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를 제외한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는 좋은 예후군의 44.4%, 불량한 예후군의 5.9%에서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0.034). 불량한 예후군에서 산혈증, 젖산혈증, 고암모니아혈증이 좋은 예후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 배경파가 suppressed and featureless 패턴을 보이는 경우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고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 가 있는 경우 좋은 신경학적 예후와 관련이 있다.

Seizure Control in Patients with Extratemporal Lobe Epilepsy

  • Park, Seung-Soo;Koh, Eun-Jeong;Oh, Young-Min;Lee, Woo-Jong;Eun, Jong-Pil;Choi, Ha-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1권5호
    • /
    • pp.283-290
    • /
    • 2007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seizure outcome an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predicting seizure outcome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evaluations, surgical procedures, topectomy site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extratemporal lobe epilepsy [ETLE]. Methods : This study comprised 63 patients with ETLE who underwent surgery. Preoperative evaluations included semiologic analysis, chronic video-EEG monitoring, and neuroimaging studies. Surgical procedures consisted of topectomy in 51 patients, corpus callosotomy in 9, functional hemispherectomy in 2, and vagus nerve stimulation [VNS] in 1.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reviewed.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s were assessed by Engel's classification at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of 66.8 months. Chi-square test was used for statistics. Results : Total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s were class I in 51 [80%] patients, class II in 6 [10%], class III in 6 [10%]. Patients with structural abnormalities on neuroimaging study showed class I in 49 [88%] patients [p<0.05]. Patients with focal and regional ictal EEG onset revealed class I in 47 [90%] patients [p<0.05]. Semiologic findings, surgical procedures, topectomy site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did not show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seizure outcome [p<0.05]. Conclusion : A good seizure outcome was obtained in patients with ETLE. The factors for favorable seizure outcome are related to the presence of structural abnormalities on neuroimaging study, and focal and regional ictal EEG onset.

Emerging Surgical Strategies of Intractable Frontal Lobe Epilepsy with Cortical Dysplasia in Terms of Extent of Resection

  • Shin, Jung-Hoon;Jung, Na-Young;Kim, Sang-Pyo;Son, Eun-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3호
    • /
    • pp.248-253
    • /
    • 2014
  • Objective : Cortical dysplasia (CD) is one of the common causes of epilepsy surgery. However, surgical outcome still remains poor, especially with frontal lobe epilepsy (FLE), despite the advancement of neuroimaging techniques and expansion of surgical ind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surgical strategies in terms of extent of resection to improve surgical outcome in the cases of FLE with CD. Methods : A total of 11 patients of FLE were selected among 67 patients who were proven pathologically as CD, out of a total of 726 epilepsy surgery series since 1992. This study categorized surgical group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extent of resection : 1) focal corticectomy, 2) regional corticectomy, and 3) partial functional lobectomy, based o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in particular, ictal scalp EEG onset and/or intracranial recordings, and the lesions in high-resolution MRI. Surgical outcome was assessed following Engel's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 Focal corticectomy was performed in 5 patients and regional corticectomy in another set of 5 patients. Only 1 patient underwent partial functional lobectomy. Types I and II CD were detected with the same frequency (45.45% each) and postoperative outcome was fully satisfactory (91%). Conclusion : The strategy of epilepsy surgery is to focus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onsidering the extent of real resection, which is based on the focal ictal onset consistent with neuroimaging, especially in the practical point of view of neurosurgery.

측두엽 간질에서 발작기 소뇌와 기저핵의 뇌혈류 변화: SPECT 감영영상 (Ictal Hyperperfusion of Cerebellum and Basal Ganglia in Temporal Lobe Epilepsy: SPECT Subtraction)

  • 신원철;홍승봉;태우석;서대원;김상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22
    • /
    • 2001
  • 목적: 측두엽 간질환자에서 소뇌와 기저핵의 발작기 뇌혈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까지 없었다. 저자들은 SPECT 감영영상을 이용하여 측두엽 간질 발작동안 측두엽과 전두엽의 혈류증가와 관련된 소뇌와 기저핵의 혈류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발작간기와 발작기 뇌 SPECT, 비디오-뇌파 감시검사, SPGR MRI, SPECT subtraction with MRI co-registration을 측두엽 간질환자 33명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29명(87.8%)에서 소뇌의 혈류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중 소뇌 충부의 혈류증가는 26명(78.8%),소뇌 반구의 혈류증가는 25명(75.8%)에서 보였다. 간질병소인 측두엽의 동측 소뇌반구의 혈류 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7명(28.0%), 반대편 소뇌 반구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15명(60%), 그리고 양측 소뇌반구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3명(12.0%)이었다. 소뇌의 혈류증가는 오직 측두엽에서만 혈류증가가 있었던 측두엽 간질환자(11/18, 61.1%)에서 보다 측두엽 외에 전두엽까지 혈류증가가 동반된 환자(14/15, 93.3%)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기저핵의 혈류증가는 측두엽에서만 혈류가 증가한 환자군에서는 18명중 11명(61.1%), 그리고 측두엽과 전두엽 모두 혈류가 증가한 환자군에서는 15명중 11명(73.3%)에서 관찰되었다. 편측의 기저핵 혈류증가를 보이는 17명중에서 기저핵 혈류증가의 반대편 소뇌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14명(82.5%)이었고 동측의 소뇌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2명(11.8%), 그리고 양측 소뇌의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가 1명(5.9%) 있었다. 결론: 측두엽 간질 발작 중에 소뇌와 기저핵의 혈류증가는 발작병소의 동측, 반대측, 그리고 양측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다. 측두엽의 혈류증가와 함께 전두엽과 기저핵의 혈류증가가 동반되면 반대편 소뇌에 더 자주 발생하였으나, 발작 중 일측 측두엽의 뇌혈류증가는 반대측 또는 동측 소뇌의 혈류증가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측두엽에서 만의 혈류증가는 그 동측 또는 반대측 소뇌 모두에서 혈류증가가 관찰될 수 있다.

  • PDF

결신발작 이후 확인된 일시적인 자기공명영상 이상 1예 (Transient Abnormaliti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Absence Seizures)

  • 유혜원;윤리라;김혜영;곽민정;박경희;배미혜;이윤진;남상욱;김영미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0-283
    • /
    • 2018
  • 뇌전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은 기질적인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권장된다. 그러나 청소년기 결신 발작을 포함한 특발성 전신 발작에서 이상소견은 대개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뇌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없다. 발작기 동안 자기공명영상 이상은 뇌전증 지속증에 의한 이차성으로 가장 흔히 보고되었으며, 부분발작과 전신 강직간대 발작환자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결신 발작 동안 자기공명영상의 이상은 매우 드물다. 5세 소녀가 sodium valproate로 계속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3일간 발생한 결신 발작으로 내원하였다. 뇌파 검사에서 과다호흡 이후 3 Hz 극서파를 보였다. T2 강조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외측구 주변의 비정상 피질 비후가 확인되었고, 피질 형성 이상이나 종양이 의심되었다. 환자는 lamotrigine으로 치료를 시작하였고 이후 발작은 없었다. 2개월 후 추적관찰로 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이전의 비정상 부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유년기 결신 발작 시 확인된 외측구 주변의 가역적인 뇌 자기공명영상 이상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며 이것은 결신 발작 후 일과성 자기공명영상 이상 소견의 첫 번째 보고로 의미가 있다. 결신 발작과 부분 발작에서 자기공명영상 이상은 일시적인 이상 일 수 있으며 다른 질환과 감별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Optical imaging of epileptic activity and epilepsy treatments in neocortex

  • Suh, Min-Ah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7-428
    • /
    • 2009
  • Optical imaging offers excellent spatio-temporal sensitivity that is unparalleled by any other perfusion based imaging techniques. We used in vivo optical recording of intrinsic signals (ORIS) to map neurovascular hemodynamics of perfusion, oximetry and membrane potential during epileptic events in rat and mouse neocortex. Studies of hemodynamic changes with ORIS alone were also performed in human. Laboratory studies in rodent epilepsy models have demonstrated a persistent increase in deoxygenated hemoglobin (Hbr) and a decrease in tissue oxygenation during interictal spikes and ictal events. This "epileptic dip", like the "initial dip" recorded during normal sensory processing, implies that the enormous rise in cerebral blood flow (CBF) is inadequate to meet the increased metabolic demands associated with synchronized epileptic activity. These finding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erfusion-based imaging studies, such as fMRI. In addition, we visualized the effect of direct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an alterative epilepsy treatment. The optical data following direct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that hemodynamic signals are sensitive to different electrical stimulation parameters. Furthermore, our recent data demonstrated that the application of unilateral electrical stimulation is able to elicit bilateral hemodynamic responses in rat neocorte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