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S marker

검색결과 851건 처리시간 0.029초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ypernodulation in Soybean

  • Van, Kyu-Jung;Ha, Bo-Keun;Hwang, Eun-Young;Kim, Moon-Young;Heu, Sung-Gi;Lee, Suk-H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24-29
    • /
    • 2003
  • SS2-2, a hypernodulating soybean mutant was isolated by EMS mutagenesis from Sinpaldalkong 2. This auto-regulation mutant showed greater number of nodules and smaller plant size than its wild type Sinpaldalkong 2. SSR markers were used to identify DNA variation at SSR loci from different soybean LG. The only SSR marker that detected a length polymorphism between SS2-2 and its wild type ancestor was Satt294 on LG C1 instead of LG H, locating a hypernodulating gene. Sequencing data of flanking Satt294 indicated that the size variation was due to extra stretch of TTA repeats of the SSR motif in SS2-2, along with $A\longrightarrow$G transversion. In spite of phenotypic differences between the wild type and its hypernodulating mutants, genomic DNA poly-morphisms at microsatellite loci could not control regulation of nodule formation. The cDNA-AFLP method was applied to compare differential display of cDNA between Sinpaldalkong 2 and SS2-2. After isolation and sequence comparison with many AELP fragments, several interesting genes were identified. Northern blot analysis, immunolocalization and/or the yeast two-hybrid system with these genes might provide information on regulation of nodule development in SS2-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Botrytis cinerea Occurring in Korea)

  • 백창기;이승열;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8-143
    • /
    • 2014
  • 잿빛곰팡이병의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는 병든 사과, 고추, 딸기, 오이, 토마토에서 곰팡이를 분리하고, 그들의 배양학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 및 PCR-RFLP을 통해 이 병원성 곰팡이를 모두 Botrytis cinerea로 동정하였다. 또한, 배양학적 특징에 따라 사과, 고추, 오이에서 분리한 잿빛곰팡이병균의 표현형은 균핵형이며, 딸기와 토마토에서 분리한 잿빛곰팡이병균은 균사형이었다. 각각의 잿빛곰팡이병균의 ITS 영역 염기서열을 포함한 4종의 유전자(RPB2, HSP60, G3PDH)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PB2 유전자 염기서열을 제외한 ITS 영역, HSP60유전자 및 G3PDH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Botrytis cinerea 종 내 뿐만 아니라 Botrytis 속 종간에도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이 어려웠다. 하지만, 3종의 유전자(RPB2, HSP60, G3PDH)를 결합한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계통수 작성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한 잿빛곰팡이병균은 Botrytis 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되며, 사과, 고추, 오이, 토마토의 분리주는 아주 높은 근연관계에 있고, 딸기잿빛곰팡이병균은 다른 분리주와 달리 종내 다른 lineage를 형성하였다.

유전적 유사성으로 보아 멀구슬나무와 천련은 동일종 (Melia toosendan and M. azadarach are a single species due to their genetic similarity)

  • 김회원;연승우;김기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6-44
    • /
    • 2015
  • 한약재 천련자로 유통되는 중국 식물과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멀구슬나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남서부지역에서 천련자(Melia toosendan)로 채취하는 재료와 중국 남동부, 한국, 인도 등지에서 심고 있는 멀구슬나무(M. azadarach), 그리고 무환자나무과의 근연종들을 대상으로 핵 ITS, 엽록체 matK, rbcL, atpF-H, psbK-I, psbA-trnH 등 6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염기서열 자료를 계통분석한 결과 한약재 천련자로 알려진 식물과 멀구슬나무는 동일종으로 판단된다. 이 두 종은 학자들에 따라서는 동일종 또는 이종으로 처리하던 것으로, 본 연구자들의 유전자 비교분석결과는 동일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다 타당함을 지지한다. 또한, 다양한 이명으로 세계 각지에서 기재된 멀구슬나무에 가장 가까운 종은 약재로 잘 알려진 님나무(Azadirachta indica)로, 이 종은 이전에 멀구슬나무속으로도 처리된 바 있다.

침샘관암에서 PD-L1의 발현율 분석과 종양 표지자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PD-L1 expression in salivary duct carcinoma with its efficacy as a tumor marker)

  • 이용주;고윤우;윤선옥;류향주;김혜련;신향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Despite multiple approaches of treatments for salivary duct carcinoma, there has been a need for more successful treatment methods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reatment options like immunotherapy using new technologies have been attempted. Based on recent study results indicating that targeting programmed death receptors are effective in treating various cance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PD-L1 expression and its impact on survival rate in salivary duct carcinoma. Materials & Methods: We studied 33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cancer who were available for histologic specimen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PD-L1 in the tissues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survival rate and the association with various clinical parameter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and review of similar studies, we discovered that the expression of PD-L1 in salivary duct carcinoma was lower than other types of cancers. The impact of PD-L1 on survival rate also showed inconsistency in salivary duct carcinoma. Conclusion: Immunotherapy by PD-1/PD-L1 checkpoint blockade in salivary duct carcinoma needs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Multiplex PCR을 이용한 4 종류 목향(木香)의 감별 (Identification 4 kinds of Muxiang using Multiplex PCR)

  • 도의정;이금산;주영승;오승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26
    • /
    • 2014
  • Objectives : Aucklandiae Radix (Muxiang) one of important herbal medicines in oriental medicine, is defined as the dried root of Aucklandia lappa (Asteraceae). Owing to the similarities in the morphology and name, Inulae Radix (Tu-Muxiang) and Vladimiriae Radix (Chuan-Muxiang) as well as Aristolochiae Radix (Qing-Muxiang) originated from other medicinal plants are often used as substitutes and/or adulterants of Aucklandiae Radix. Therefore, a reliable authentication of these herbal medicines is necessarily for the public health and prevention of misuse. Methods : 32 samples of medicinal plants supplying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Vladimiri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were collected in Korea and China. Th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nucleotide sequences of samples were determined. The PCR primers to amply DNA marker of each herbal medicine were designed basing on the specific ITS regions showing differences in the sequences among medicinal plants. Results : Primer set Al R/IS F designed in this work amplified 220 bp PCR product only in samples of Aucklandiae Radix. In contrast, primer set Ih F/IS R, Vs R/IS F, and AcR F1/Ac R amplified 250 bp product, 356 bp prouct, and 516 bp product respectively to identify Inulae Radix, Vladimiri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Conclusions : The primers designed basing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ITS regions appearing differenced in the sequences among medicinal plants amplified the DNA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Vladimiri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These herbal medicines were more efficiently identified by multiplex PCR method using all primers in a single PCR process.

Development of Hair Keratin Protein to Accelerate Oral Mucosal Regeneration

  • So-Yeon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9-377
    • /
    • 2023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keratin for oral tissue regeneration. Keratin is well-known for its effectiveness in skin regeneration by promoting keratinization and enhancing the elasticity and activity of fibroblasts. Because of its structural stability, high storability, biocompatibility, and safety in humans, existing research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its role in skin wound healing. Herein, we propose using keratin proteins as biocompatible materials for dental applications. Methods: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alpha-keratin protein as a substrate for cell culture, keratin was extracted from human hair via PEGylation. Viabilities of primary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s) and human oral keratinocytes (HOKs) were assessed. Fluorescence immunostaining and migration assays were conduct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Wound healing and migration assays were performed using automated software to analyze the experimental readout and gap closure rate. Results: We confirmed the extraction of alpha-keratin and formation of the PEG-g-keratin complex. Treatment of HGFs with keratin protein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promoted proliferation and maintained cell viability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Ks treated with 5 mg/ml keratin exhibited a slight decrease in cell proliferation and activity after 48 hour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followed by an increase after 72 hours. Wound healing and migration assays revealed rapid closure of the area covered by HOKs over time following keratin treatment. Additionally, HOKs exhibited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mesenchymal marker vimentin.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hair keratin for soft tissue regeneration, with potential future applications in clinical settings for wound healing.

Determination of Flunixin and 5-Hydroxy Flunixin Residues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 Dahae Park;Yong Seok Choi;Ji-Young Kim;Jang-Duck Choi;Gui-Im M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873-884
    • /
    • 2024
  • Flunixin is a veterinar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whose residu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ir original form within tissues such as muscle and liver. However, flunixin remains in milk as a metabolite, and 5-hydroxy flunixin has been used as the primary marker for its surveillanc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quantitative method for detecting flunixin and 5-hydroxy flunixin in milk and to strengthen the monitoring system by applying to other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Two different methods were compared, and the target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milk using an organic solvent, purified with C18, concentrated, and reconstituted using a methanol-based solvent. Following filtering, the final sample was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 1 is environmentally friendly due to the low use of reagents and is based on a multi-residue, multi-class analysis method approv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both methods were 84.6%-115% and 0.7%-9.3%, respectively. Owing to the low matrix effect in milk and its convenience, Method 1 was evaluated for other matrices (beef, chicken, egg, flatfish, and shrimp) and its recovery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are sufficient according to the Codex criteria (CAC/GL 71-2009).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2-8 and 5-27 ㎍/kg for flunixin and 2-10 and 6-33 ㎍/kg for 5-hydroxy flunixin, respective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nitoring method for a positive list system that regulates veterinary drug residues for all livestock and fisheries products.

국내 농경지에 발생하는 포아풀아과 잡초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ooideae, Poaceae in Korea)

  • 이정란;김창석;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8-25
    • /
    • 2015
  • DNA 바코드는 게놈 DNA의 단편을 이용해 형태적 지식없이 종을 동정하는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최근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고등식물에서는 엽록체 rbcL과 matK 유전자를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식물 바코드마커와 핵 ITS 부위를 이용하여 국내 포아풀아과 잡초 16속 29종 163생태형의 바코드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포아풀아과의 바코드에서 각 마커의 효율성도 조사하였다. 바코드 결과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성공률은 rbcL에서 가장 높았으며 matK에서 가장 낮았다. 반대로 바코드 갭은 matK에서 가장 높은 반면 rbcL에서 가장 낮았으며, 종 식별 해상력은 matK에서 가장 높고, ITS에서 가장 낮았다. 그러나 바코드 갭과 종 식별 해상력이 가장 높은 matK를 포아풀아과에서 바코드 마커로 이용하는 것은 너무 낮은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성공률(58.3%) 때문에 고려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마커로 rbcL과 ITS는 포아풀아과의 바코드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두 마커를 조합으로 이용하면 공통으로 분석된 샘플에 따라 바코드 갭과 종 식별 해상력을 높일 수 있었다. 포아풀아과의 바코드데이터는 미국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기탁하여 genbank 번호를 부여받아 공개하였다.

소형의 포자를 형성하는 Alternaria 균류의 분자생물학적 특징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mall-Spored Alternaria Species)

  • 김병련;박명수;조혜선;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56-65
    • /
    • 2005
  • 이 연구는 Alternaria속 균류 중에서 분생포자의 형태가 유사하여 분류, 동정이 매우 어려운 소형의 포자를 형성하는 11종의 Alternaria의 종간 유연관계와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공시균들의 ribosomal DNA의 ITS 및 미토콘드리아 small submit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그리고 URP primer에 의한 핵산지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소형의 포자를 형성하는 11종 Alternaria속의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영역과 미토콘드리아 small submit rDNA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던 바 A. infectoria를 제외한 10종의 Alternaria에서 100%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공시한 10종의 Alternaria가 유전적으로 매우 근연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며, 이 marker는 공시균들의 종구분에 이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URP primer 10종을 공시하여 소형의 포자를 형성하는 Alternaria 균류의 핵산지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개의 primer 로는 종간의 구분이 불가능하였으나 여러개의 primer를 종합하여 UPGMA분석을 실시할 경우 비록 종간 유사도는 높았디만 각각의 종은 독립된 cluster를 형성하여 종간 구별이 가능하였다. 자리공에서 분리한 Alternaria sp.는 URP-PCR 핵산지문 분석 결과 다른 Alternaria 종들과 차이가 인정됨으로 이 균은 미기록인 신종의 Alternaria로 사료되었다. A.infectoria는 다른 Alternaria 종들과 ITS 분석 및 URP-PCR 핵산지문분석에서 큰 차이를 보임으로서 뚜렷이 구별되는 종으로 판단되었다.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 환자 재발진단과 치료반응평가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복부전산화단층촬영 및 종양표지자 판독의 비교 분석 (Role of FDG-PET in the Diagnosis of Recurrence and Assessment of Therapeutic Response in Cervical Cancer and Ovarian Cancer Patients: Comparison of Diagnostic Report between PET, Abdominal a and Tumor Marker)

  • 한유미;최재걸;강병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3호
    • /
    • pp.201-208
    • /
    • 2008
  • 목적;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및 종양표지자와 비교를 통하여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의 재발을 진단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데 FDG를 이용한 양전자단층촬영(PET)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환자의 주요 추적검사방법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1일 사이에 FDG-PET를 시행한 환자 중 비슷한 시기에 복부 CT를 시행 받은 67명 환자 10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자궁경부암 42예, 난소암 51예). PET, CT 및 혈중 종양표지자에 대한 판독을 후향적으로 서로 비교하였다. 세 검사에서 모두 양성을 보이거나 추적검사상 병변이 커지거나 조직검사 및 기타 검사에서 양성을 보일 때를 재발이라고 정의하여 세 검사방법의 판독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궁경부암군과 난소암군으로 나누어 PET와 복부 CT 종양 표지자에 대한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및 음성예측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재발로 진단된 예는 37예였다. 자궁경부암에서 재발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11예(9명)였으며 민감도는 각각 100%(11/11), 54.5%(6/11), 81.1%(9/11)로 PET가 가장 높았고, 특이도는 각각 93.6%(29/31), 93.6%(29/31), 100% (31/31)로 종양표지자가 가장 높았다. 난소암의 재발 진단은 26예(15명)였으며 민감도는 각각 96.2%(25/26), 84.6% (22/26), 80.8%(21/26)로 PET가 가장 높았고, 특이도는 세 검사에서 94.3%(33/35)로 동일하였다. CT에 비하여 PET에서 복강내 전이를 6예를 더 진단하였고 4예의 종격동임파절 및 폐전이를 더 진단할 수 있었으며 2예의 쇄골상와임파절과 1예의 액와임파절의 전이를 더 진단하였다. 재발환자의 분석에서 PET는 복부 외 장기의 재발을 발견할 수 있었고 복부내 재발의 경우에도 CT보다 더 민감하게 재발부위를 찾을 수 있었던 반면 CT의 도움 없이는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웠다. CT는 잔여종양과 양성섬유화의 구분 및 조직간의 경계부위에서 종양의 구분이 어려웠고 복부 이외 장기의 전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PET는 자궁경부암과 난소암 진단에서 CT에 비해 적용 부위가 크고 조직 대조도가 커 민감도가 높은 검사법으로서 치료 후 잔여 종양의 여부나 재발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이 검사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