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자격증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9초

로봇교육을 위한 로봇기술자격증 현황 및 제언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on Qualification Test of Robotic Technology for Robot Education)

  • 백주훈;김진오;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1-58
    • /
    • 2011
  • 국내외적으로 STEM교육과 창의성 신장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로봇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최근 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 로봇경진대회, 영재교육 등을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에 대한 전문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로봇기술자격시험이 개발되어, 초등학생에서 일반인가지 그 응시규모가 해마다 늘어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의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활성화인데 반해, 아직 로봇기술자격시험에 대한 초중등 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기술자격시험의 추진배경 및 검정 기준, 자격증 운영 조직, 내용 및 출제 방향, 급수별 검정 내용, 응시자 현황분석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로봇기술자격증의 현황을 살펴본 바, 문제의 난이도 및 측정 내용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로봇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뒷받침이 필요하며, 방과 후 교실과 연계하여 자격증 시험을 확대하는 등의 향후 로봇교육의 객관적 인지적 평가기준으로서 자리매김 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경력단절여성 자격증 취득과 취업률과의 연관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Employment Rate)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7-489
    • /
    • 2021
  • 우리나라 여성의 대부분은 결혼부터 재취업에 이르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으로의 재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생애과정에서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 인구를 오가며 지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자격증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인 탐색적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훈련과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 PDF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Job Competence on Job-seeking Attitude)

  • 이재한;이호;장만근;장석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87-9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취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취업역량인식 요소는 자격증(p<.05, ${\beta}=.247$)과 취업관련경험(p<.1, ${\beta}=.240$)이었으며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취업역량인식 요소 또한 자격증(p<.01, ${\beta}=.349$), 취업관련경험(p<.1, ${\beta}=.22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취업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력이나 성적보다는 자격증 획득과 취업관련 경험을 쌓도록 강조하여 구직의욕을 북돋아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대학 내 취업지원센터에서 이력서 작성법 등 취업교육을 받았던 경우 취업관련 경험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취업의지가 높았고, 취업 준비자의 자기계발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취업역량 중 취업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요인의 중요도를 판별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피부미용전공자의 자격증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재편성 제안 (The suggest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improving certificate utilization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kin care)

  • 홍미숙;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36-543
    • /
    • 2017
  • 우리나라 미용 대학 교육은 대부분 선진국과 비교하면 산업현장보다 학과 중심이다. 학과 중심은 현장의 직업 모듈보다 과목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고, 교육훈련시간도 유연한 구성보다 시간 이수가 졸업의 요건이 되고 있다. 이런 요건으로 인해 전공 학과에서는 자격증 취득이 교육훈련의 목표가 되고 있어 교육과정 내용과 현장 실무 훈련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런 문제에 착안하여 피부미용전공자의 학기 중 취득한 자격증 활용정도에 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총 294명에게 자기평가기재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취업 당시 자격증 활용도는 높았지만, 산업현장에 진입한 후에 활용도는 보통 이하의 수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4년부터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시행하고 있는 피부미용 교과과정 개편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부미용학과 교육계에서는 피부미용 산업체의 방향과 트랜드를 빠르게 분석하고 산업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 검토하면서 학과 중심의 교육 과정과 산업현장 실무 내용이 최대한 일치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하며 개발해야 하겠다.

전문 음악교육을 위한 실용음악 정교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For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A Study on the Need for Practical Music Teacher Certification)

  • 조지훈;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0-187
    • /
    • 2021
  • TV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음악수업을 받았고, 이후 대학의 실용음악과에 진학하게 된다. 지원생들이 많아지면서 대학교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기형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하였고,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을 통해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실용음악 관련 고등학교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고등학교를 실용음악 전문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실용음악 고등학교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해당 음악을 전공한 전문교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자가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교원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실용음악 전공자가 선택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은 클래식과 국악에 한정되어 있어 입학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학을 하여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대부분이 클래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 실용음악전공자들에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고등학교의 현재 상황과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왜 필요한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 교육과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Reading Education)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1-202
    • /
    • 2009
  • 이 논문은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고 있는 민간단체를 조사하고, 민간자격을 위한 교육과정을 논의하였으며, 자격을 위한 교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는 민간단체가 지나치게 많다. 둘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수여되는 자격증은 민간자격이다. 셋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수여되는 자격은 독서지도사, 논술지도사, 독서치료사, 독서코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독서교육에 관련된 자격증 수여는 민간자격이라도통합 관리하는 주체가 필요하다. 다섯째, 수여되는 자격을 위한 교육과정과 과목의 선정 및 내용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로봇기술자격증 4급 현황 및 초등학생을 위한 제언 (A current situation of qualifying examination to robotic technology and a propos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은;한정혜;백주훈;김진오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5-270
    • /
    • 2010
  • 로봇 전문지식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개발한 로봇기술자격시험에는 초등학생도 응시할 수 있는 급수가 있으며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의 심사를 받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활성화인데 반해, 아직 로봇기술자격시험에 대한 초등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기술자격시험의 추진배경 및 검정 기준, 자격증 운영 조직, 내용 및 출제 방향, 급수별 검정 내용, 문제 예시 및 응시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로봇기술자격시험 4급이 초등학생을 주 타깃으로 실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문제의 난이도 및 측정 내용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로봇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IRATA 교육훈련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RATA Training)

  • 배석한;구익회;권영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8-389
    • /
    • 2011
  • 로프엑세스에 의한 고소작업은 해양플랜트를 포함한 많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고 작업 위험성 때문에 작업자에게 IRATA 자격증을 요구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재해의 사망사고 원인 1위가 추락사고임에도 불구하고 고소작업자에 대한 교육훈련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RATA의 자격증 종류, 교육방법 및 회원자격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실용음악 전공학생들의 취업 활로 모색에 관한 고찰 -자격증의 필요성과 활용 방향에 대하여- (A Study on Employment Channels to Find A Way for Practical Music Students -About the Need and the Direction of Use of The Certification-)

  • 김형천;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79-384
    • /
    • 2021
  • 30여 년의 결코 짧지 않은 실용음악과 역사 속에서 수많은 졸업생들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취업은 여전히 풀 수 없는 과제로 남아있다. 졸업생들의 대부분이 학원 강사 혹은 밴드활동 등으로 취업을 하게 되는데, 모두 안정적 생활을 기대할 수 없는 비정규직이다. 국력신장과 더불어 K-POP의 비약적인 발전은 우리의 삶 또한 바꿔놓았고 그로 인해 과거, 사치로만 인식되었던 문화 예술분야가 대중에게 급격히 다가오게 되었다. 단순히 관람만이 아닌 직접 배우고, 익히고, 체험하는 형태로 우리 삶의 질 향상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는 국가적인 정책에도 반영되어, 초, 중, 고등학교에서의 문화예술분야 교육프로그램운영을 비롯한 각 지역 주민센터에서 주민복지 향상을 위한 예술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젠 해당 분야로도 취업 안목을 넓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자격증 취득관련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매진해야 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현재의 음악전공 중등교사 자격증과는 다른 실용음악분야 중등교사 자격증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4년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혹은 실용음악 전문 교육 대학원 설립 등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