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SR PC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PCR에 의한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계통과 단핵균주의 다형성 분석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PCR based polymorphism of Agaricus bisporus strains and monokayon isolates)

  • 민경진;공원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5-1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A. bisporus 45계통과 19 Agaricus spp.를 포함한 64 Agaricus 계통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 7 종류의 ISSR primer를 사용하여 PCR 다형성 분석을 실시 한 바 (GA)T, (AG)YC, (GA)C and (CTC)의 ISSR primer에서 양송이 계통간 PCR다형성이 관찰 되었다. ISSR-PCR다형성 밴드가 유전적 유사도 산출에 이용되어 UPGMA cluster분석을 적용 dendrogram을 작성 한 결과 A. bisporus의 계통은 7 group으로 분류 되었으며 유사성 함수가 group 간에는 유사성 함수가 0.78에서 0.89의 유연관계를 보였다. 국내에서 최근에 개발된 새정, 새아, 새도, 새연과 교배모본인 ASI1346이 같은 그룹내에서 0.90이상의 유사성함수로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ISSR-PCR다형성 검출 결과 ASI 1038와 유래 단핵균주 S1038297와 ASI 1346S유래 S 737-110는 PCR다형성 밴드가 현저히 적게 증폭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APD, ISSR과 PCR-RFLP를 이용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based on RAPD, ISSR and PCR-RFLP analyses)

  • 유기억;이우철;권오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61
    • /
    • 2004
  • 한국산 제비꽃속 32분류군과 일본산 2집단 등 총 34집단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및 PCR-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 분석에서는 40개의 primer 중 6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70개(98.6%)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ISSR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로 부터 28개(96.6%)의 다형화밴드를 얻었다. 엽록체 DNA의 non-coding부분을 이용한 PCR-RFLP 분석에서는 반응이 일어난 4지역에서 증폭된 약 6.78 kb의 DNA 각각에 대하여 15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총 80개의 restriction site를 얻었으며 그중 16 site는 polymorphic하게 나타나 20%의 다형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3가지 형질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각각의 형질에 의해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유집형태를 보였지만 3가지 형질을 통합한 결과는 진정제비꽃절(sect. Nomimium)내 아절과 계열간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무경종과 유경종도 구별이 가능하여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기존의 분류체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노랑제비꽃절(sect. Chamaemelanium)은 진정제비꽃절과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지 않고 진정제비꽃절 내 무경종그룹인 Patellares아절과 Vaginatae아절 사이에 위치하여 나타났다.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심한 분류군으로 알려진 태백제비꽃군(V. albida complex)은 Patellares아절 내에서 하나의 군으로 유집되어 Pinnatae계열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가지 형질 중 RAPD 분석방법은 ISSR과 PCR-RFLP 분석보다 제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Polymorphism and Its Application in Mulberry Genome Analysis

  • Vijayan Kunjupilla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79-86
    • /
    • 2005
  • Molecular markers have increasingly been used in plant genetic analysis, due to their obvious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phenotypic markers, as they are highly polymorphic, more in number, stable across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neutral to selection and leas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PCR based marker techniques, ISSR is one of the simplest and widely used techniques, which involves amplification of DNA segment present at an amplifiable distance in between two identical microsatellite repeat regions oriented in opposite direction. Though ISSR markers are dominant like RAPD, they are more stable and reproducible. Because of these properties ISSR markers have recently been found using extensively for finger printing, pohylogenetic analysis,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varietal/line identification, genetic mapping, marker-assisted selection, etc. In mulberry (Morus spp.), ISSR markers were used for analyzing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cultivated varieties, between tropical and temperate mulberry, for solving the vexed problem of identifying taxonomic positions of genotypes, for identifying markers associated with leaf yield attributing characters. As ISSR markers are one of the cheapest and easiest marker systems with high efficiency in generating polymorphism among closely related varieties, they would play a major role in mulberry genome analysis in the future.

대추나무 품종 식별을 위한 ISSR 유래 SCAR 표지 개발 (Development of ISSR-Derived SCAR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Jujube Cultivars)

  • 남재익;김철우;김세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02-310
    • /
    • 2019
  • 정확하고 신속한 품종식별은 효율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대추나무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 특성을 근거로 하지만, 시기적 제약과 환경의 영향으로 형태적 형질만을 이용하여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SR 분석으로 얻어진 단편을 복제하여 안정적인 식별을 위한 SCAR 표지를 개발하였다. 대리조와 보은대추 품종에서 특이성을 보이는 ISSR 밴드를 대상으로 정제, 복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827Dalizao550, 827Boeun750, 846Boeun700, 847Dalizao850로 명명된 4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대추나무 품종 특이성 분석을 위한 4쌍의 SCAR 프라이머를 제작하였으며, 대추나무와 묏대추나무를 포함하는 32개체에 대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827Dalizao550 SCAR 표지의 PCR 결과 6개체(대리조, 산동이조, 동조, 원령 신 2호, 묏대추나무 2, 묏대추나무 4)에서 550 bp의 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었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예기치 않은 밴드(490 bp)가 증폭되었다. 또한 847Dalizao850 SCAR 표지의 PCR 결과 대리조, 산동이조, 동조에서 850 bp의 밴드가 나타났고 예기치 않은 900 bp의 밴드가 5개체(파조, 묏대추나무 1, 묏대추나무 2, 묏대추나무 3, 묏대추나무 4)에서 증폭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롭게 개발된 표지들은 대추나무 품종식별을 위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보다 다양한 품종들의 식별을 위해서는 다형성 정보의 추가와 SCAR 표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ISSR 분자 마커를 이용한 왕대속 대나무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관계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Genus Phyllostachys by ISSR Markers)

  • 이송진;허만규;허홍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482-1487
    • /
    • 2007
  • ISSR분자 마커를 이용하여 왕대속 대나무의 유연관계를 분석 실시하였다. 전세계적으로 왕대속에 속하는 4종은 경제학적,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식물 자원중 하나이다. 총 11개의 ISSR 프라이머 중 9개의 프라이머에서 증폭이 일어 났으며 총 64개의 밴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ISSR분석결과 왕대속 4종의 대나무에서 70.49%인 43개의 다형현상이 나타났다. 4개의 분류군으로 분류된 왕대속 대나무의 집단내 다양성(Hs)은 0.092,집단간 다양성(Gst)은 0.499로 나타났다. 각 종에 대한 유전자 유동(Nm)은 0.559로 나타났다. 따라서 왕대속에 속하는 4종의 유전자 유동(Nm)은 아주 낮음을 알 수 있었다 4종의 분류군에 대한 유전자 다양성(Ht)은 0.291로 낮게 나타났으며 ISSR 마커로 명확하게 그들은 분류가 되었다. 또한 왕대속의 4종은 단일계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valuation of Nonanchored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 to Detect DNA Damage in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Exposed to Acrylamide

  • Enan, Mohamed 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61-68
    • /
    • 2008
  • Acrylamide is present as a contaminant in heated food products, predominantly from the precursor asparagine. Nonanchored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s) are arbitrary multiloci markers produced by PCR amplification with a microsatellite primer. In order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microsatellite primers as markers for DNA damage, the study was conducted on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crylamide. Polymorphisms were abundant among plant samples treated with acrylamide in comparison to control (untreated one) tested with 4- tri-nucleotide, 2 tetra-nucleotide, and 3- dinucelotide primers. The primer (CCG)4 was the best tested primer to generate polymorphism between the DNA of plants treated or not by acrylamide. Polymorphisms became evident as the presence and absence of DNA fragments in treated sample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one. The highest number of DNA variation on ISSR patterns was observed at the micromollar concentrations of acrylamide. Acrylamide was able to induce DNA damage in no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effectiveness at micromollar concentrat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SSR markers can be highly reliable for identification of DNA damage induced by acrylamide.

  • PDF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icrosporidians infecting Indian non-mulberry silkworms (Antheraea assamensis and Samia cynthia ricini) by using PCR based ISSR and RAPD markers assay

  • Hassan, Wazid;Nath, B. Surend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0권1호
    • /
    • pp.6-16
    • /
    • 2015
  • This study established the genetic characterisation of 10 microsporidian isolates infecting non-mulberry silkworms (Antheraea assamensis and Samia cynthia ricini) collected from biogeographical forest locations in the State of Assam, India, using PCR-based markers assays: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 Nosema type species (NIK-1s_mys) was used as control for comparison. The shape of mature microsporidian spores were observed oval to elongated, measuring 3.80 to $4.90{\mu}m$ in length and 2.60 to $3.05{\mu}m$ in width. Fourteen ISSR primers generated reproducible profiles and yielded 178 fragments, of which 175 were polymorphic (98%), while 16 RAPD primers generated reproducible profiles with 198 amplified fragments displaying 95% of polymorphism. Estimation of genetic distance coefficients based on dice coefficients method and clustering with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 (UPGMA) analysis was done to unravel the genetic diversity of microsporidians infecting Indian muga and eri silkworm. The similarity coefficients varied from 0.385 to 0.941 in ISSR and 0.083 to 0.938 in RAPD data. UPGMA analysis generated dendrograms with two microsporidian groups, which appear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Euclidean distance matrix method, 2-dimensional distribution also revealed considerable variability among different identified microsporidians. Clustering of these microsporidian isolates was in accordance with their host and biogeographic origin. Both techniques represent a useful and efficient tool for taxonomical grouping as well as for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different microsporidians in general and genotyping of these pathogens in particular.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를 이용한 수박의 품종간 유연관계 분석 (Assessment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Watermelon Varieties Revealed by ISSR Marker)

  • 권용삼;이원식;조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4
    • /
    • 2006
  • ISSR markers를 이용하여 수박 18품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박 18품종의 genomic DNA와 ISSR primer 100개를 PCR 반응시킨 결과 다형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primer는 21개 이였으며, 이들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105개 이였고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는 58개 였으며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는 $0.2{\sim}5.0kb$ 사이에 위치하였다. 다형성을 나타낸 primer는 18개의 anchored primer와 3개의 non-anchored primer로 구분되었고 모든 anchored primer는 2개의 염기서열이 반복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non-anchored primer보다. 다형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박 18품종은 유전적 유사도 값 0.42를 기준으로 할 때 18개 품종을 2개의 그룹 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은 유전적 유사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고, 이들 품종은 수박의 과형에 따라 유사하게 구분되었다.

Inter Simple Sequence Repeat(ISSR) 마커를 활용한 느티만가닥버섯(Hypsizigus marmoreus) 종내 다형성 분석 (Polymorphism of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n Hypsizygus marmoreus)

  • 오연이;남윤걸;장갑열;공원식;오민지;임지훈;최인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3-278
    • /
    • 2017
  • 느티만가닥버섯은 맛과 기능성이 풍부한 버섯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긴 재배기간과 낮은 자실체 수확량, 균이 오랜시간 배양되어 오염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새로운 품종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육종모본으로 활용되는 느티만가닥 55균주의 종내 유전자원의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분자유전학적 ISSR 마커분석을 활용하였다. 사용된 마커 중에서 ISSR 13과 15 마커를 사용했을 때 다형성이 분석되었으며 특히 ISSR 15마커 분석으로 다형성이 쉽게 구분되었다. UPGMA분석법으로 계통도를 분석하였을 때, 일부 백색을 가지고 있는 KMC03106, KMC03107, KMC03108 3 균주가 두 마커 모두에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졌으며, ISSR 15는 수집년도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ISSR마커의 다형석 분석은 느티만가닥버섯의 몇몇 균주에서는 갓색의 유연관계 확인과 수집 시기에 따른 유전변이 구분이 가능하며 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확인할 수 있어, 느티만가닥버섯의 품종육성을 위한 효율적인 모본 선발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ISSR에 의한 잔디속 식물의 DNA 다형성과 유전적 관계 평가 (DNA Polymorphism and Assessments of Genetic Relationships in genus Zoysi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7-262
    • /
    • 2015
  • 한국에서 채집한 잔디속(genus Zoysia) 식물 종의 유전적 변이를 단순 서열 반복(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SSR) 마커 시스템으로 조사하였다. 8개의 ISSR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사슬 증폭반응에서 86개의 분절의 증폭물을 얻었으며 이 중 76(87.1%)개 분절이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ISSR 마커 시스템에서 다형성 정보 지수(PIC)는 0.848이었다. 다형성 대립유전자좌위의 퍼센트(Pp)는 41.2%에서 44.7%까지 나타내었다. 네이(Nei)의 유전자 다양성(H)은 0.149에서 0.186까지 이며 평균은 0.170이었다. 샤논(Shannon)의 정보 지수(I)의 평균값은 0.250이었다. 대립유전자좌위에 근거하여 전체 변이에서 종 간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의 몫(GST)은 0.601였다. 이는 전체변이의 약 60.1%는 종 간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변이의 약 39.9%는 종 내에 있었다. GST에 근거한 유전자 흐름(이동)은 잔디속 간에는 대단히 낮았다(Nm = 0.332). 계통도는 3개의 뚜렷한 분지군으로 분리되었다. 왕잔디(Zoysia macrostachya)와 금잔디(Z. tenuifolia) 분지군, 갯잔디(Z. sinica) 단독 분지군, 잔디(Z .japonica) 단독 분지군이었다. 결론적으로 잔디속 식물에 대한 ISSR 분석은 유전적 변이를 탐지하는데 유용하며, 종을 구분하는 유전자형의 대한 식별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