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PCR

검색결과 6,351건 처리시간 0.039초

치은섬유아세포의 MMP 발현에 대한 Nitric Oxide의 영향 (Nitric Oxide on the MMP-2 expression by human gingival fibroblasts)

  • 신인식;윤상오;정현주;고정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277-288
    • /
    • 2003
  •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creased number and activity of phagocytes in periodontitis lesion results in a high degre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and peroxynitrite.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S and MMPs expressions in gingival fibroblast. We studied to elucidate whether and how ROS, especially nitric oxide affects the MMP expressi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Tl080 cells (human fibrosarcoma sell line as reference) were grown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mM HEPES, 50 mg/L gentamicin, and 1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with addition of variou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ulture media conditioned by cells were examined by gelatin zymography. HT1080 cells expressed proMMP-2 and proMMP-9, but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 produced only proMMP-2. Hydrogen peroxide upregulated MMP-9 expression in HT1080 cells, wherea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SNP treatment showed marked increase in MMP-2 level compared to other R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ROS on MMPs expressions are cell-type specific. RT-PCR for MMP-2 and TIMP-2 m-RNA were performed using total RNA from cultured cells under the influence various kinase inhibitors. In HT1080 cells, treatment with FPTI III (Ras processing inhibitor) and LY294002 (PI3-kinase inhibitor) resulted in inhibition of MMP-2 and MMP-9 expressions, suggesting that Ras/P13-kinase pathway is important for MMPs expression in HT1080 cells. In gingival fibroblasts, treatment with FPTI III and PDTC (NF-kB inhibitor) showed marked decrease in MMP-2 regardless of the of SNP , suggesting that Ras/NF-kB could be the key pathway for NO-induced MMP-2 expression in gingival fibroblasts. This study showed that ROS, especially nitric oxide, could be the critical mediator of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through control of MMP-2 expression in gingival fibroblasts possibly via Ras/NF-kB pathway.

소아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의 분포 (DISTRIBUTION OF MUTANS STREPTOCOCCI IN DENTAL PLAQUE OF CHILDREN)

  • 국중기;박종휘;유소영;김화숙;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9-447
    • /
    • 2004
  • 한국인 소아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종 및 생물형의 발현빈도와 치아우식경험지수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12세 미만 113명의 소아 환자의 치아우식경험지수를 구하고, 이들의 상하 악 유전치 및 유구치의 협면 및 설면의 치면세균막 샘플을 채취하여 mutans streptococci를 mitis-salivarius bacitracin 배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하였다. 이들의 biotype을 알아보기 위해 생화학적 검사를 실하였고, 이들의 종 수준에서의 동정을 위해 dextranase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여 하였다. 113명의 환자 중에서 40명의 치면세균막에서 40 균주의 mutans streptococci이 검출되었다. 이들 중 생물형 제 I 형(45%)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제 IV 형(32.5%), 제 II 형(15%), 제 V 형(5%) 제 III 형(2.5%) 순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종 수준에서의 발현빈도를 알아본 결과 S. mutaus가 69%, S. sobrinus는 31%였다. Mutans streptococci 종 또는 생물형에 따른 환자의 치아우식경험지수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한국인의 소아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중 생물형 제 I 형인 S. mutans가 가장 높은 빈도로 존재하며, 치아우식증이 세균학적 요소만이 아닌 기타 여러 원인요소에 의해 발병되는 다른 여러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ineral Trioxide Aggregate(MTA)에 의한 치수세포의 유전자 발현변화 (Gene Expression of Exposure to Mineral Trioxide Aggregate(MTA) on Dental Pulp Cells)

  • 최유석;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8
    • /
    • 2008
  • 치아 치수 세포는 치아 손상에 따르는 병리적인 상황에서 골과 상아질 기질을 형성하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MTA가 사람 치수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상아질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아질 형성의 잠재적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유전자 발현 검사를 위해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type I collagen, alkaline phosphatase, osteonectin(SPARC), and dentin sialoprotein primer set을 이용하여 MTA 처리 2일과 4일 후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하였다. cell viability assay(세포 생존력 측정) 에서 5일간 MTA에 노출된 치수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대조군에 비해 MTA를 처리한 군에서 ALP와 SPARC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이 연구에 사용한 dental pulp culture system은 MTA를 포함한 치과재료의 처리 후 치수세포의 성장과 분화 그리고 상아질 형성 유도 기전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모델로 사용할 수 있다. MTA 처리는 사람 치수세포에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으며, ALP 활성도와 유전자 발현 그리고 osteonectin (SPARC)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수복상아질을 형성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울시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Legionella pneumophila의 분자역학적 특성 (Molecular Epidemiolog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Korea)

  • 전수진;정지헌;승현정;김창규;진영희;오영희;최성민;채영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6-177
    • /
    • 2013
  • Objectives: The genus Legionella is common in aquatic environments. Some species of Legionella are recognized as potential opportunistic pathogens for human, notably Legionella pneumophila that causes, Legionellosis. Thus,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on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including cooling towers, public baths, hospitals and fountains. Methods: The existence of 16S rRNA and mip gene of L. pneumophila was confirmed in the genome of the isolated strains by PCR. Results: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10 and 2011, Legionella pneumophila were detected from 163 samples (21.1%) out of 772 samples collected. Among the 163 strains of L. pneumophila, eighty one isolates belonged to serogroup 1 (57.4%), 23 isolates were serogroup 5 (16.3%), 21 isolates were serogroup 6 (14.9%), 8 isolates were serogroup 2 (5.79%), and 8 isolates were identified in serogroup 3 (5.7%). Through PFG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using Sfi I, genetic types of L. pneumophila were classified into five (A to E) patterns by the band similarity with excess of 70% from public baths. Conclusions: The PFGE patterns of the serotypes showed a tendency for diversity of L. pneumophila. Our results suggest the existence of serological and genetic diversity among the L. pneumophila isolates.

임상에서 분리된 에탐부톨 감수성균에서의 embB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고찰 (Implication of embB Gene Mutation in Ethambutol-Susceptible Clinical Isolate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 박영길;;김상재;고원중;권오정;김범준;국윤호;조상래;류우진;배길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66-271
    • /
    • 2005
  • 배 경 : 에탐부톨은 6개월 단기요법 중에 사용되는 1차 항결핵약제 중 하나이다. emb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에탐부톨의 내성과 관련이 있은 것으로 추측 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emb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에탐부톨 감수성인 균에서도 발견되어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에탐부톨 내성과 관련이 있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는 바,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본 실험을 하게 되었다. 방 법 : 약제감수성검사에서 에탐부톨은 감수성이지만 타항결핵약제에 내성을 보인 36균주를 선택하였다. 이 균주들에서 embB 유전자에 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를 실시한 후에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였다. 돌연변이가 있는 균주에 대하여 과거의 항결핵약제 감수성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에탐부톨 감수성인 36균주 중에서 3균주(8.3%)만 이 embB 유전자의 codon 306과 codon 406에서 돌연변이를 나타냈다. 이 균주들은 적어도 아이소니아 짓에서도 내성을 가지고 있었고, 에탐부톨 1.0 mcg/ml를 함유한 LJ배지에서 모두 자랐다. 이 균주를 가진 결핵환자들은 꾸준히 치료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년 동안이나 도말양성을 보였다. 또한 한 균주는 과거의 감수성검사에서 에탐부톨에 내성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결 론 : 에탐부톨 감수성이지만 embB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균주는 균주 자체의 특성이라기 보다는 일시적으로 생활력이 감소되어 약제 감수성으로 표현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간 플루세틴 처리에 의한 흰쥐 해마에서의 NCAM140 유전자 발현의 증가 (Chronic Treatment of Fluoxetine Increases Expression of NCAM140 in the Rat Hippocampus)

  • 최미란;채영규;정경화;백승연;김석현;노성원;최준호;이준석;최인근;양병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1호
    • /
    • pp.5-14
    • /
    • 2009
  • Objectives : Most of the mechanisms reported for antidepressant drugs are the enhancement of neurite outgrowth and neuronal survival in the rat hippocampus.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140(NCAM140) has been implicated as having a role in cell-cell adhesion, neurite outgrowth, and synaptic plasticity. In this report, we have performed to elucidate a correlation among chronic antidepressant treatments, NCAM140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phosphorylated cycli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pCREB) which is a downstream molecule of NCAM140-mediated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in the rat hippocampus. Methods : Fluoxetine(10mg/kg) was injected acutely(daily injection for 5days) or chronically(daily injection for 14days) in adult rats. RNA and protein were extracted from the rat hippocampus, respectively. Real-time RT-PCR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of NCAM140 gene and western blot analyses for the activation of the phosphorylation ratio of CREB. Results : Chronic fluoxetine treatments increased NCAM140 expression 1.3 times higher than control in rat hippocampus. pCREB immunoreactivity in the rat hippocampus with chronic fluoxetine treatment was increased 4.0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onclusion : Chronic fluoxetine treatment increased NCAM140 expression and pCREB activity in the rat hippocampus. Our data suggest that NCAM140 and pCREB may play a role in the clinical efficacy of antidepressants promoting the neurite outgrowth and neuronal survival.

  • PDF

Susceptibility of Mice to Trypanosoma evansi Treated with Human Plasm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polipoprotein L-1

  • Da Silva, Aleksandro S.;Fanfa, Vinicius R.;Otto, Mateus A.;Gressler, Lucas T.;Tavares, Kaio C.S.;Lazarotto, Cicera R.;Tonin, Alexandre A.;Miletti, Luiz C.;Duarte, Marta M.M.F.;Monteiro, Silvia 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27-430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usceptibility of mice to Trypanosoma evansi treated with human plasm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polipoprotein L-1 (APOL1). For this experiment, a strain of T. evansi and human plasma (plasmas 1, 2, and 3) from 3 adult males clinically healthy were used. In vivo test used 50 mice divided in 5 groups (A to E) with 10 animals in each group. Animals of groups B to E were infected, and then treated with 0.2 ml of human plasma in the following outline: negative control (A), positive control (B), treatment with plasma 1 (C), treatment with plasma 2(D), and treatment with plasma 3 (E). Mice treated with human plasma showed an increase in longevity of $40.9{\pm}0.3$ (C), $20{\pm}9.0$ (D) and $35.6{\pm}9.3$ (E)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 which was $4.3{\pm}0.5$ days. The number of surviving mice and free of the parasite (blood smear and PCR negativ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as 90%, 0%, and 60% for groups C, D, and E, respectively. The quantification of APOL1 was performed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the treatments that differed in the source plasma. In plasmas 1, 2, and 3 was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194, 99, and 115 mg/dl of APOL1, respectively. However, we believe that this difference in the treatment efficiency is related to the level of APOL1 in plasmas.

The Exposure Status and Biomarker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hipyard Workers

  • Koh, Sang-Baek;Park, Jun-Ho;Yun, Ju-Song;Lee, Kang-Myoung;Cha, Bong-Suk;Chang, Sei-Jin;Kim, Cheong-Sik;Kim, Heon;Chang, Soung-Hoo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2호
    • /
    • pp.134-140
    • /
    • 2006
  • Because shipyard workers are involved with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in shipyard industry, and they are exposed to many kinds of hazardous materials. Especially, painting workers were expos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posure status of PAH based on job-exposure matrix.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netic polymorphism of xenobiotic metabolism enzymes involved in PAH metabolism on levels of urinary metabolite. A total of 93 shipbuilding work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variables were age, sex,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moking, drinking, and work duration. The urinary metabolite was collected in the afternoon and corrected by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 The genotypes of CYP1A1, CYP2E1, GSTM1, GSTT1 and UGT1A6 were investigated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s with DNA extracted from venous blood. Urinary 1-OH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rect exposured group (spray and touch-up) than indirect exposed group. Urinary 1-OHP, concentration of the high exposure with wild type of UGT1A6 was significantlyhigher than that of the high exposure with other UGT1A6 genotyp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urinary 1-OHP,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job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nd UGT1A6 was not significant but a trend (p<0.1). The grade of exposure affected urinary PAH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genetic polymorphism of xenobiotics metabolism enzym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investigation of genetic polymorphism with large sample size is needed.

HBsAb와 HBcAb가 양성인 장기 공여자의 간조직에서 Hepatitis B Virus DNA의 발현 (Detection of Hepatitis B Virus DNA in Liver Grafts Obtained from HBsAb and HBcAb Positive Organ Donors)

  • 정창우;장주영;김경모;이승규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2호
    • /
    • pp.166-172
    • /
    • 2007
  • 목 적: 최근 HBsAb 및 HBcAb 양성인 공여자의 간이 식편을 이식 받은 수혜자에서 신생 B형 간염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 되고 있으며, 저자들도 약 40%에서 신생B형 간염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한국인에서의 HBcAb 양성률은 50%가 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 이는 임상 간이식의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저자들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12개월 동안 서울 아산병원에서 생체 간이식 공여자가 과거 B형간염과 C형 간염 감염의 증거가 없으면서 HBsAg 음성이면서 HBsAb 양성, HBcAb 양성인 성인 공여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이식 수술 시 동결 생검을 위하여 채취한 절편의 일부를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결 절편 조직에서 DNA를 분리하여, HBV DNA의 표면 구역과 핵심 구역에 대한 시발체를 이용하여 이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공여자 6명의 조직에서 표면 구역이 모두 양성으로 관찰되었으며, 핵심 구역은 4명에서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그 중 4명의 간을 이식받은 소아 수혜자는 모두 예방법을 시행하면서, 신생 B형 간염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결 론: 본 결과는 간이식 후 발생하는 신생 B형 간염의 원인으로 HBcAb 양성이 위험 인자임을 지지하고 있다. HBcAb 양성 공여자의 간이식편에서 핵심구역은 66%에서 양성으로 보여 이식 후 잠재 HBV 감염 혹은 신생 B형 간염의 발생을 막기 위해 예방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lfolaphane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lforaphane on LPS-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 이정태;우경진;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0
    • /
    • 2010
  • Sulforaphane은 십자가화 채소에 존재하는 화합물로 항염증, 항암 및 신생혈관 생성의 억제 효과가 알려짐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LPS에 의한 MMP-9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sulforaphane이 LPS 유도에 의한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Raw 264.7 세포에 sulforaphane을 전처리 한 후 LPS를 처리하여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해 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MMP-9 활성 증가가 sulforaphane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RT-PCR과 MMP-9의 luciferase assay를 통한 실험에서 sulforaphane의 MMP-9 억제효과가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추측 할 수 있었다. MMP-9 promoter 부위에 여러 가지의 전사조절인자 결합부위가 존재한다. 특히 AP-1과 NF-${\kappa}B$가 중요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여 MMP-9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 sulforaphane에 의한 MMP-9 억제효과 기전에 이들 전사조절인자들의 중요한 역할을 조사하였다. AP-1과 NF-${\kappa}B$ 결합부위를 변형 시킨 vector를 transfection하여 MMP-9의 promoter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상 vector에 비해 그 활성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LPS에 의해 증가되는 AP-1과 NF-${\kappa}B$의 basal promoter 활성 또한 sulforaphane에 의해 감소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ulforaphane의 MMP-9 활성억제효과는 AP-1과 NF-${\kappa}B$와 같은 전사인자들이 MMP-9의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ulforaphane은 세포의 invasion능력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MMP-9 활성억제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추측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