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QGAP3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IQGAP3에 존재하는 IQ 부위의 칼모듈린 결합 특성 (Characterization for calmodulin binding activity of IQ motifs on the IQGAP3)

  • 장덕진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333-338
    • /
    • 2012
  • IQGAPs는 세포 내에서 암세포화, 세포이동, 세포분열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calmodulin (CaM) 결합 단백질로, human의 경우 3 개의 isoform이 알려지고 있다. IQGAPs는 각각 네 개의 IQ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CaM과의 결합에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IQGAP1에 비해 IQGAP3에서는 각각의 IQ 부위가 가지는 CaM 결합 특성에 대해선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QGAP3 내의 IQ 부위들과 CaM과의 결합성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네 개의 IQ부위가 의미 없는 CaM 결합성을 가지는 IQGAP1과는 다르게, IQGAP3는 IQ2와 IQ3가 $Ca^{2+}$-비의존성 CaM 결합을 보이고, IQ1과 IQ4는 결합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QGAP1에서 새롭게 알려진 $Ca^{2+}$-의존성 CaM 결합 부위인 IQ(3.5-4.4) 부위가, IQGAP3에서도 잘 보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IQGAP3의 IQ부위는 IQGAP1와는 다른 CaM 결합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IQGAP isoform들이 각기 다른 CaM 결합성으로 세포 내에서 다른 생리작용을 수행할 가능이 있음을 제시한다.

IQGAP1내에 존재하는 IQ 부위들의 CaM 결합 특성 분석 (Analysis of calmodulin binding property of IQ motifs of IQGAP1)

  • 장덕진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527-532
    • /
    • 2011
  • IQGAP1은 세포 내에서 암세포화, 세포이동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Ca^{2+}$-비의존성 calmodulin (CaM) 결합 단백질로 잘 알려져 있다. IQGAP1내에는 IQ부위가 4 번 반복해서 나타나는데, 이 부위가 IQGAP1의 CaM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의 연구를 통해 4개의 IQ 부위 모두 $Ca^{2+}$/CaM과의 결합에 관여하고, IQ3와 IQ4는 $Ca^{2+}$이 결합되지 않는 상태의 CaM인 proCaM 결합에 관여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IQ 부위와의 결합성이 CaM과 직접적인 결합인지, 아니면 다른 단백질이 매개하는 간접적인 결합인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QGAP1의 각각의 IQ 부위와 CaM의 결합성을 직접적으로 알아보기 의해 in vitro에서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이전의 결과와는 다르게 4개의 IQ 부위 중에서 IQ3는 의미있는 $Ca^{2+}$-비의존성 CaM결합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IQ1는 약한 $Ca^{2+}$-의존성 CaM 결합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반면에, 다른 IQ 부위들은 CaM과의 결합력이 약하거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IQ 부위 이외에 IQ(2.7-3)과 IQ(3.5-4.4) 부위가 의미있는 CaM 결합성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CaM이 IQGAP1을 기존의 보고와는 다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새로운 결합 부위 동정을 통해 IQGAP1과 CaM의 결합이 미치는 생리학적인 의미를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Differential Expression of IQGAP1/2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ts Relationship with Clinical Outcomes

  • Xia, Fa-Da;Wang, Zhuo-Lu;Chen, Hong-Xi;Huang, Yun;Li, Jin-Dong;Wang, Zhi-Ming;Li, Xin-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951-4956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IQGAP1 and IQGAP2 express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itsassociation with HCC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outcomes. Methods: IQGAP1 and IQGAP2 mRNA and protein were measured in HCC tissues, para-tumor tissues and normal tissues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We further examined 150 HCC samples with adjacent para-tumor tissues and 11 normal specimens by immunohistochemistry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IQGAP1 and IQGAP2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Results: IQGAP1 mRNA and protein were up-regulated while IQGAP2 mRNA and protein were down-regulated in human HCC tissues compared with para-tumor and normal liver tissues (p<0.05). IQGAP1 expression was higher in primary HCC (122/150, 81.3%) than matched adjacent tissues (30/150, 20%, p<0.001), whereas IQGAP2 was lower (31/150, 20.7% as compared to 112/150, 74.7%, P<0.001). Positive IQGAP1 expression correlated with larger tumor size (p=0.002), advanced TNM stage (p=0.002) and tumor differentiation (III and IV, p=0.034). Negative IQGAP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rger tumor size (p=0.009), multicentric tumor occurrence (p=0.01), advanced TNM stage (0.009) and tumor differentiation (III and IV, p=0.020). Survival analysis revealed that patients with either IQGAP1+ or IQGAP2-tumors had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free survival (p<0.001 and 0.006 respectively) and overall survival (p<0.001 for both).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IQGAP1/2 switch was an independent prognosis factor for disease-free survival (HR=2.824) and overall survival (HR=2.189). Conclusion: Positive IQGAP1 and negative IQGAP2 expression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umor progression and could be used as adjunctive biomarkers to improve prognostication for HCC patients.

IQGAP1, a signaling scaffold protein, as a molecular target of a small molecule inhibitor to interfere with T cell receptor-mediated integrin activation

  • Li, Lin-Ying;Nguyen, Thi Minh Nguyet;Woo, Eui Jeon;Park, Jongtae;Hwang, Inkyu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2호
    • /
    • pp.361-373
    • /
    • 2020
  • Integrins such as lymphocyte function-associated antigen -1 (LFA-1) have an essential role in T cell immunity. Integrin activation, namely, the transition from the inactive conformation to the active one, takes place when an intracellular signal is generated by specific receptors such as T cell receptors (TCRs) and chemokine receptors in T cells. In an effort to explor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TCR-mediated LFA-1 activation, we had previously established a high-throughput cell-based assay and screened a chemical library deposit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several hits had been isolated including HIKS-1 (Benzo[b]thiophene-3-carboxylic acid, 2-[3-[(2-carboxyphenyl) thio]-2,5-dioxo-1-pyrrolinyl]-4,5,6,7-tetrahydro-,3-ethyl ester). In an attempt to reveal the mode of action of HIKS-1, in this study, we did drug affinity responsive target stability (DARTS) assay finding that HIKS-1 interacted with the IQ motif containing GTPase activating protein 1 (IQGAP1), a 189 kDa multidomain scaffold protein critically involved in various signaling mechanisms. Furthermore, the cellular thermal shift assay (CETSA) provided compelling evidence that HIKS-1 also interacted with IQGAP1 in vivo. Taken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HIKS-1 interferes with the TCR-mediated LFA-1 activation by interacting with IQGAP1 and thereby disrupting the signaling pathway for LFA-1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