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PCC 시나리오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Strategy for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based on RCP (온실가스 시나리오 RCP에 대한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전략)

  • Baek, Hee-Jeong;Cho, ChunHo;Kwon, Won-Tae;Kim, Seong-Kyoun;Cho, Joo-Young;Kim, Yeongsi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1
    • /
    • pp.55-68
    • /
    • 2011
  •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has identified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address it at the global level. Its key component of the work involves developing and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IPCC Expert Meeting in September 2007 identified a new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scenari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and established the framework and development schedules for Climate Modeling (CM), Integrated Assessment Modeling(IAM), Impact Adaptation Vulnerability(IAV) community for the fifth IPCC Assessment Reports while 130 researchers and users took part in. The CM community at the IPCC Expert Meeting in September 2008, agreed on a new set of coordinated climate model experiments, the phase fiv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CMIP5), which consists of more than 30 standardized experiment protocols for the shortterm and long-term time scales,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n climate change for the IPCC AR5 and to develop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o address major issues raised at the IPCC AR4. Since early 2009, fourteen countries including the Korea have been carrying out CMIP5-related projects. Withe increasing interest on climate change, in 2009 the COdinated Regional Downscaling EXperiment(CORDEX) has been launched to generate regional and local level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NIMR) under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as contributed to the IPCC AR4 by developing climate change scenarios based on IPCC SRES using ECHO-G and embarked on crafting national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as well as RCP-based global ones by engaging in international projects such as CMIP5 and CORDEX. NIMR/KMA will make a contribution to drawing the IPCC AR5 and will develop national climate change scenarios reflecting geographical factors,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and user needs and provide them to national IAV and IAM communites to assess future regional climate impacts and take action.

Improvement of safety for floods according to analy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 and flood defense measurement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치수 대책 변화 분석에 따른 치수안전도 개선)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3-343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하여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홍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2013년에 발간된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차 평가보고서(AR5)에서 2007년에 발간된 IPCC 4차 평가보고서(AR4)에 사용한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신하여 대표농도 경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사용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기온 상승률 및 강수량의 증가량,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 빈도 및 발생 정도가 다르게 결정되며, 이에 따라 IPCC에서 제시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이론의 민감도 지수가 시나리오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가 다르게 산정된다. 민감도 지수의 증가는 홍수위험지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치수대책 변화를 분석하여 치수안전도 개선 및 수재해에 의한 위험을 대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연평균강수량, 일최대강수량과 같은 극치 강수량과 치수 대책 변화 및 치수대책변수의 현황, 치수대책변수의 개선가능범위 분석을 통한 치수안전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landfill secto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2006 IPCC guidelines and the change factors analysis (2006 IPCC 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폐기물 매립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변화 요인 분석)

  • Kim, Ran-Hui;Park, Jin-Kyu;Song, Sang-Hoon;Park, Ok-Yun;Lee, Nam-Ho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8 no.1
    • /
    • pp.37-51
    • /
    • 2020
  • Following the Paris Agreement adopted at the end of 2015, global stock-taking has been planned to be carried out on a 5-year basis from 2023, and it is mandatory to report on national GHG inventory and progress toward achiev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To prepare for thi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stima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eenhouse gas emission source, and manage the amount of emissions. As such,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mount of emissions from the landfill sector using the 2000 GPG, the 2006 IPCC Guidelines, and the 2019 Refinement estimation method. As a result, in comparison to 2016, there were 2,287 Gg CO2_eq. in scenario 1, 1,870 Gg CO2_eq. in scenario 2-1, 10,886 Gg CO2_eq. in scenario 2-2, 10,629 Gg CO2_eq. in scenario 2-3, and 12,468 Gg CO2_eq. in scenario 3. Thus, when the 2006 IPCC Guidelines were applied with respect to 2000 GPG, it was reveal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increased. Such difference in the emission changes was due to the changes in the calculation method and the emission factor values applied.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national-specific values of the emission factor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Korea.

Comparison of climate extremes under different RCP-SSP scenarios (RCP 및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극한기후사상 전망 비교)

  • Jae-Ung Yu;Ji sung Kim;Yoon Jeong Kwon;Jangwon Moon;Hyun-Han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5-285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증가는 돌발 홍수, 홍수량 증가로 이외에도 강우 사상의 변화, 가뭄의 빈도 및 강도의 증대 등의 문제를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존 IPCC 5차 보고서에 활용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시나리오에서는 온실가스 농도변화만을 반영하고 있으나, 최근 IPCC 6차 보고서에서는 사회적인 노력과 경제적 구조 등 전반적인 기후정책, 사회 불균형 등을 고려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강수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기존의 RCP 시나리오에 비하여 극한 강우 사상의 변화를 비교 및 평가하기 위하여 CORDEX-EA에서 제공하는 지역기후모델(Regional Climate Model; RCM) 기반에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극한기후지수를 산정하였다. 극한기후사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WMO에서 활용하는 ETCCDI(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지수 중 강우 관련 지수인 R10mm, RX1day, RX5day, RD95P, RD99P, SDII를 선정하여 시나리오 별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대기 기준의 평가방식에서 탈피하여 동일한 기온 상승 시점에 따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절차를 수립하였다. 즉, 1.5℃, 2℃, 3℃ 및 4℃ 상승한 시점의 ETCCDI 지수를 산정하여 극한기후사상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 PDF

Assessing uncertainties of GCM scenarios using maximum entropy (Maximum entropy를 이용한 GCM 시나리오의 불확실성 평가)

  • Lee, Jae-Kyoung;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70-70
    • /
    • 2011
  • 기후변화 연구는 불확실한 미래를 전망하는 과정이므로 '불확실성'은 모든 기후변화 영향평가의 키워드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불확실성 평가를 위해 IPCC에서 제공되고 있는 수많은 GCM 시나리오를 모두 활용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저감(scenario reduction)방법을 이용하여, 수많은 GCM 시나리오 대신 몇 개의 대표적 GCM 시나리오로도 충분히 불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나리오 저감(scenario reduction)방법을 수립하고 제시하였다. IPCC 기후시나리오 중 20C3M과 A & B 배출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생산되는 71개의 GCM 시나리오를 다운로드 받아 월평균 기온과 강수량에 대하여 한반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결과, 기온 전망은 실측과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으나 강수량은 홍수기를 모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저감방법은 시나리오 분류(scenario cluster)방법과 시나리오 선정(scenario selection) 방법으로 구성된다. 시나리오 분류방법에서는 k-mean방법을 이용하여 5개의 cluster로 나누었으며, 시나리오 선정방법에서는 GCM 시나리오 선정기법을 조사 분석하여 연구방향과 목적에 따라 GCM 시나리오 선정기법을 선택할 수 있는 표를 제시하고, 이 중 시나리오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는 PDF method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정량화를 위해 maximum entropy를 이용하였다. 또한 시나리오 저감방법이 불확실성을 유지하는지 비교하기 위해 PDF method를 이용하여 정확성이 높은 순으로 5개의 GCM 시나리오를 선정(best 시나리오)하여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GCM 시나리오의 분산을 이용하여 maximum entropy를 산정한 결과, 20C3M 배출시나리오에서는 모든 시나리오의 entropy는 3.08, 시나리오 저감방법은 2.75, best 시나리오는 2.28이었으며, 이는 시나리오 저감방법은 모든 시나리오의 89.3%의 불확실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best 시나리오는 74.0%밖에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A & B 배출시나리오에서도 시나리오 저감 방법을 사용한 GCM 시나리오가 best 시나리오보다 모든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많은 GCM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것보다 몇 개의 대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기후 변화 불확실성을 유지하면서 미래전망을 할 수 있다면, 매우 효율적으로 기후변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nge of Discharge According to RCP 8.5 Scenario in the Nakdong-river Basin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낙동강 유역 홍수 유출량 변화)

  • Kim, Sunghun;Jung, Taeho;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6-8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로 인하여 기존 설계기준을 능가하는 홍수가 발생하고, 막대한 국가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비하기 위하여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차 평가보고서 ($5^{th}$ Assessment Report, AR5)를 근간으로 국내 외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홍수 유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존의 설계홍수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기상청은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 중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실현되지 않는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 유역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한 연최대 강우자료와 기후변화 RCP 8.5 시나리오에서 생산되는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고,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량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의 설계기준과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홍수 유출량의 비교 분석 결과는 기후변화 위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보다 안정적인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m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 climate stress test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 Kim, Tae Hyeong;Kang, Boo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5-415
    • /
    • 2022
  • IPCC 제5차 보고서('14) 및 세계위험보고서('15) 등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위 위험요소로 '수자원 위기'를 꼽았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 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물 관리에서 기후변화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관리 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 취약성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수문자료 및 특정 기후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댐 인프라의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댐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취약성 평가 연구사례 및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수문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한 뒤, 월 강우량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분위별 강우량과 기온을 변경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와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유출 및 저수지 모형을 결합하여 충주댐, 용담댐, 합천댐, 섬진강댐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후 스트레스에 따른 유출 취약성 평가는 20분위 수 갈수량을 이용해 연중 보장확률을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며, 온도의 영향보다는 강우의 변동이 댐 이수안전도 취약성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supply-demand analysis and outlook for wood products (목제품 수급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Lee, Sang-Min;Bark, Ji-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0
    • /
    • pp.6959-696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update the supply-demand model of wood products(FOSMO-2013) and to forecast mid and long run supply and demand for each product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sawnwood, plywood, particle board, fiberboard(MDF), and pulp. The updated partial equilibrium model is composed of supply function, import demand function, demand function, price relation function. The long run outlooks of world prices of wood and wood products are imported from the results of Buongiorno(2012). This study also adopt Buongiorno's scenarios, which includes three scenarios of IPCC(A1B, A2, B2) and the other one with assumption of increasing fuelwood consumption of A1B scenario. The result says that the domestic productions of wood products are expecting to decrease while the imports of them increase even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products as well as scenarios.

Estimation of Maximum Typhoon Int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Simulation of Corresponding Storm Surge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가능 태풍강도 추정 및 이에 따른 폭풍해일고 양상 모의)

  • Yoon, Jong-Joo;Jun, Ki-Cheon;Shim, Jae-Seol;Park, Kw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4
    • /
    • pp.292-301
    • /
    • 2012
  • The rise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s a global warming enhance overall typhoon activity. We assumed that there exist thermodynamic limits to intensity that apply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orms and their environment. The limit calculations depend on SST and atmospheric profile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This approach do appear to provide resonable upper bounds on the intensities of observed storms and may even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change in intensity over a long period time. The maximum storm intensities was estimated through the global warming scenarios from IPCC-AR4 report over the North-East Asia. The result shows stronger intensities according to scenarios for increase of carbon dioxide levels. And storm surge simulations was performed with the typhoons which were combined route of the typhoon Maemi (2003) and intensity as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maximum increase of storm surge heights was shown about 29~110 cm (36~65%) regionally. Especially at Masan, the result of simulated maximum surge height exceed the 200 years return period su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