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P Media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9초

ATSC3.0 기반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의 표준화 동향

  • 김성훈;김휘용;최진수;방민석;정경훈
    • 방송과미디어
    • /
    • 제20권4호
    • /
    • pp.67-73
    • /
    • 2015
  • 2016년 하반기까지 표준화 완료를 목표로 표준화 논의가 진행 중인 북미 차세대 지상파 방송시스템 규격인 ATSC3.0 지상파 방송시스템 표준은 UHD기반 실감형 방송, 모바일 HD 방송을 RF 6MHz대역 한 채널내에서 서비스제공이 가능하며, IP통신망과 연동하여 방송통신 융합형 실감방송시스템 제공이 가능한 지상파 방송기술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북미지상파 방송방식인 ATSC3.0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감형 초고화질 3DTV 서비스 규격인 ATSC3.0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UHD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Method of DASH segments into a MMTP stream for switching contents under a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 Kang, Jeonho;Kang, Dongjin;Kim, Kyuhe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2호
    • /
    • pp.5981-5997
    • /
    • 2017
  •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produced ATSC 2.0 standard, which has been used for a HD/SD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with MPEG-2 Transport Stream (TS) as a delivery protocol. Recently, users might want to consume multimedia service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ransport network. However, MPEG-2 TS is not suitable protocol for IP network. Thus, ATSC has enacted ATSC 3.0 standard, which is designed for a hybrid service through a conversion of both broadcasting and broadband channels. The ATSC 3.0 specifies delivery protocols as MPEG Media Transport (MMT) for a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for a broadband. However, it seems difficult to combine broadcast and broadband for hybrid broadcasting, and it is difficult to synchronize media data between MMT and DASH. This paper suggests various new service scenarios to be brought up by a hybrid broadcasting, ATSC 3.0, and also proposes a stable mechanism for switching contents between different delivery protocols such as MMT and DASH.

UHD 방송망 및 브로드밴드망 연동을 통한 차세대 Travel and Traffic Information 서비스

  • 이봉호;양규태;최동준
    • 방송과미디어
    • /
    • 제25권3호
    • /
    • pp.38-48
    • /
    • 2020
  • 국내에서는 차세대 방송을 위해 ATSC 3.0 기술을 기반으로 한 UHD 방송이 상용화되었다. ATSC 3.0은 IP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통신망과 쉽게 융합 가능하도록 고안된 방송 기술로 고품질 UHD 방송을 포함하여 DMB와 같은 모바일 TV 및 통신망과 연동할 경우 다양한 부가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술이다. 대표적인 부가 데이터 서비스로는 App 서비스가 있지만 비디오와 무관한 데이터 서비스로 차량 운전자를 위한 여행 및 교통 정보 즉 TTI 서비스가 있다. TTI 서비스는 차량을 목표로 하는 여행 및 교통 정보를 방송망과 더불어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일반 차량을 포함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커넥티드카 및 자율주행차량에 요구되는 고정밀 위치정보, C-ITS 정보 및 대용량 고정밀 지도 데이터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ATSC 3.0 기반의 UHD 방송망과 브로드밴드 망을 활용하여 차량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TTI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개인방송 제작 환경을 고려한 협업 서비스 모델 및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Service Model and Technology for Personal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 고경희;전지혜;양지희;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4-186
    • /
    • 2016
  • 기술의 발전으로 방송환경이 다양화되면서 전문가가 아니어도 단순한 제작 환경에서 직접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방송 산업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개인 방송 제작자들은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기술들을 요구하고, 개인 방송 시청자들은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등의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언제 어디서나 시청하는 것을 원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작자와 시청자를 고려한 개인방송 서비스 모델 및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활용하여 제작에서부터 전송 및 표출에 대한 전체적인 시스템 기술과 서비스 모델에 대해 논한다.

  • PDF

Normal Play Time 정보를 활용한 다윈 스트리밍 미디어 동기화 알고리듬 (Darwin Streaming Media Synchronization Algorithm Using Normal Play Time Information)

  • 정태준;고명필;서광덕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8-1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P 망을 통한 다윈 스트리밍 미디어 전송 서비스에서 압축된 미디어를 RTP 패킷화하여 전송할 때 RTP 패킷의 헤더에 기록될 타임스탬프 (timestamp) 정보로부터 유도해 낼 수 있는 Normal Play Time 정보를 활용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간에 미디어 동기화 지원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미디어 동기화 알고리듬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미디어 간에 정확한 동기화가 제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angible Glove 및 Smartphone 기반 Tele-Present Guitarist (Tele-Present Guitarist based on a Tangible Glove and a Smartphone)

  • 김형석;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23-2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smartphone과 Arduino, Max/Msp를 이용한 모바일 미디어 아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의 입력장치로 flexible센서가 부착된 tangible glove와 smartphone의 app이 사용되었고 이들의 조작 데이터는유(무)선 시리얼통신 및 TCP/IP 통신을 통해 원격지 서버상의 Max/Msp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된다. 서버는 전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로봇 기타리스트의 열손가락을 제어하고 사운드 및 제반 영상을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연주자인 동시에 관객으로서 시각, 촉각, 청각의 다양한 감각을 동시에 만족하고, 시스템에 몰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미디어 아트 시스템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용자의 단순 참여라는 1차원적인 논리에서 벗어나고자 다양한 시스템의 결합을 통해 작품참여를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그들만의 고유한 작품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미디어 아트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도모하였다.

  • PDF

5G 서비스와 방송 미디어의 진화

  • 서영우
    • 방송과미디어
    • /
    • 제24권3호
    • /
    • pp.76-81
    • /
    • 2019
  • 지상파 UHD 방송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IP기반의 양방향 서비스이다.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보면 고화질 영상을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이면서도 통신망과의 연결을 통해 콘텐츠를 확장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 세가지 중요한 특징의 5G 서비스는 이러한 지상파 UHD 방송과 어떻게 접목될 수 있을까? 초고화질로 연결되는 현장 상황은 실시간 방송의 품질을 높일 것이며, 초저지연은 무선라이브 제작환경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초연결성은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 단말기의 무한 확장을 가져올 것이다. 이처럼 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은 연결형 서비스로 거듭난 지상파 방송 서비스의 진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고에서는 5G에서 달라진 기술 혁신의 내용과 미디어 소비 환경의 변화가 지상파 방송 미디어 서비스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침투도랑(IT)과 침투화분(IP)의 영양염류 저감효율 비교분석 (Comparison of nutrient removal efficiency of an infiltration planter and an infiltration trench)

  • ;;;전민수;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4-391
    • /
    • 2019
  • 최근 강우시 수계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을 적용하고 있다. LID 시설 중 침투도랑 (Infiltration trench, IT) 과 침투화분 (Infiltration Planter, IP) 은 높은 침투율 및 침강지를 통한 오염물질 제거와 식생을 통한 영양염류 저감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장기간 모니터링을 통한 침투도랑(IT)과 침투화분(IP)의 영양염류 오염물질 제거효율에 대해 분석하였다. 침투도랑(IT)과 침투화분(IP) 두 시설 모두 TSS 약 84%, TP 약 76%이상으로 제거효율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의 화합물과 퇴적물간의 이온교환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의 경우 침투화분시설(IP)의 제거효율이 침투도랑(IT)에 비해 약 28%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침투도랑(IT) 내 여재와 침강지에서의 침전을 통한 입자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암모늄질소(NH4-N)와 아질산염 질소(NO2-N)의 감소 및 질소(NO3-N)의 증가는 질산화 및 탈질산화로 인한것으로 나타났다. 침투도랑(IT 모니터링 이벤트 중 강우강도가 11mm/hr로 강한 강우사상에서의 TN 및 TP의 저감효율은 각 34% 및 55%로 저감효율이 낮았으나, 5mm이하의 강우강도에서의 저감효율은 약 100%로 높은것으로 분석됬다. 반면 침투화분시설(IP)은 최대 강우강도 27mm/hr에서도 TN 및 TP의 저감효율은 97%이상으로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두 시설 모두 영양염류의 제거효율은 좋은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용량 및 HRT가 높고 시설 내 식생이 적용된 침투화분시설(IP)이 영양염류 제거효율이 더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New Framework and Mechanisms of Context-Aware Service Composition in the Future Internet

  • Gonzalez, Alberto J.;De Pozuelo, Ramon Martin;German, Martin;Alcober, Jesus;Pinyol, Francesc
    • ETRI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7-17
    • /
    • 2013
  • The ongoing proliferation of new services, applications, and contents is leading the Internet to an architectural crisis owing to its inability to provide efficient solutions to new requirements. Clean-slate architectures for the future Internet offer a new approach to tackl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This proposal introduces a novel clean-slate architecture in which the TCP/IP protocol stack is decoupled in basic functionalities, that is, atomic services (ASs). A negotiation protocol, which enables context-aware service discovery for providing adapted communications, is also specified. Then, we present how ASs can be discovered and composed according to requesters' requirements. In addition, a media service provisioning use case shows the benefits of our framework. Finally, a proof-of-concept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is described and analyzed. This paper describes the first clean-slate architecture aligned with the work done within the ISO/IEC Future Network working group.

뉴미디어를 활용한 재난방송 전달체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 of Emergency Disaster Broadcast using New Media)

  • 최재웅
    • 방송과미디어
    • /
    • 제17권3호
    • /
    • pp.24-39
    • /
    • 2012
  • 2011년 3월 11일 일본 혼슈 센타이 동쪽 179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지진에 의한 쓰나미로 동북부 지역에 엄청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을 비롯한 각종 대규모 자연재해 상황 하에서 재난방송에 대한 체계를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재난이 발생하면 TV나 라디오 등 전통적인 매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 이러한 매체는 지금까지 국민들에게 신속하게 재난정보를 알리는 중요하고도 충실한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일본의 쓰나미와 같이 인간의 능력으로 감당하기 힘든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전통적인 재난 방송 매체만으론 역 부족이 될 수 있고. 실제로 일본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은 인터넷 전화(VoIP)와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뉴미디어로 구글, 페이스북과 국내의 NHN, 다음 등은 실종자 정보와 피난처 정보를 제공하고 피해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는 등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리는 새로운 매체로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고에서는 뉴미디어를 재난방송 전달 매체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재난방송 체계 및 시스템의 조사를 통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 활용 가능한 뉴미디어 현황 조사를 통해 재난방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외국의 재난방송 운영 사례를 참고하여 새로운 전달체계 모델의 정립과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