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beta$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3초

Anti-IL-1$\beta$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해서 발열환자의 뇨중 IL-1$\beta$ inhibitor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IL-1$\beta$ inhibitor in the febrile patient urine by anti-IL-1$\beta$ monoclonal antibody)

  • 남경수;배윤수;남명수;오은숙;박순희;최인성;정태화
    • 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0-426
    • /
    • 1993
  • To effectively purify of IL-1 inhibitor from human febrile urine, we have established monoclonal antibody that reacts with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 l$\beta$(IL-1$\beta$). The antibody, designated ON-1, was highly specific to IL-1$\beta$ and no cross-reaction with other cytokines(IL-l$\alpha$ and IL-4) was observed. As the results of ELISA inhibition assay and Western blotting method, it was further identified that ON-1 had high binding specificity with IL-1$\beta$. IL-1 receptor binding material from febrile patient urine was effectively purified with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which conjugated with ON-1. This urinary material inhibited the thymocyte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L-l$\beta$ induced thymocyte proliferation activity was inhibited to 67.3% at 6 $\mu\textrm{g}$ of the purified urinary material. The result may suggest that this urinary material the purified urinary material. The result may suggest that this urinary material will have antagonic effect on IL-1 action mechanism and act IL-l$\beta$ inhibitor.

  • PDF

생쥐 초기배아에서 Interleukin-$1\beta$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의 영향 (The Effects of Oviduct and Uterine Epithelial Cells o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Gene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 홍석호;계명찬;김종월;이정복;오은정;조동제;최규완;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59-67
    • /
    • 1999
  • 초기배아의 발생과정동안 배아와 모체에서 발현되는 여러 cytokine은 착상을 위한 신호물질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interleukin-1$\beta$ (IL-1$\beta$)는 배아와 모체간의 상호 신호전달체로서 성공적인 착상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배아의 발생과정에 있어서 IL-1$\beta$ 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생쥐 초기배아에서의 IL-l$\beta$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조사하였고, IL-l$\beta$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의 영향을 밝혀보기 위해 공배양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IL-l$\beta$ in vivo 에서는 4-세포기부터 포배기까지, in vitro에서는 상실배부터 부화중 포배기까지 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에서 IL-l$\beta$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L-l$\beta$ 의 존재가 착상전 초기배아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해 IL-1$\beta$ 유전자의 발현이 수란관과 자궁요소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 PDF

쥐의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비렉틴 구성물질)의 효과 (Effect of M11C (Non-lectin Components) Obtained from Korean Mistletoe on the $IL-1\beta$ Secretion from Mouse Splenocytes)

  • 전명하;강태봉;장성호;최완수;성낙술;허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5
    • /
    • 2007
  •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L)는 면역조절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열탕추출물 M11C (non-lectin components)가 비장세포를 활성화시켜 $IL-1\beta$를 생산 분비하게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비장세포를 M11C로 자극한 후, 배양액을 수집 혹은 세포 용해물을 수거해 $IL-1\beta$ 분비와 전사량을 ELISA, immunoblotting, RT-PCR로 검사했었다.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와 전사 효과에 있어서 M11C는 농도 의존성과 자극시간 의존성을 보였다. 비장세포로부터 최대의 $IL-1\beta$ 분비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8시간 이었다. 그리고 최대 $IL-1\beta$ mRNA 전사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4시간 이었다. 최대의 전사시간은 최대의 분비시간보다 4시간 빨리 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최대의 $IL-1\beta$ 분비효과가 당분해효소인 Viscozyme L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는 M11C (non-lectin components)의 구성물질 들 중 다당체 혹은 올리고당들이 $IL-1\beta$ 생산 분비를 유도하는 주된 물질임을 말해주고 있다.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L-1beta, IL-6, TNF-alpha와 TGF-beta 생성에 관한 연구 (Lipopolysaccharide-induced Synthesis of IL-1beta, IL-6, TNF-alpha and TGF-beta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정성환;박춘식;김미호;김은영;장헌수;기신영;어수택;문승혁;김용훈;이희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46-860
    • /
    • 1998
  • 연구배경: 내독소는 생체 내에서 단구와 내피세포에 강한 자극을 주나 호중구, 림프구, 호염기구, 섬유모세포 등 여러 세포에도 자극효과가 있어 염증반응이 시작된다. 그중 대식세포는 내독소의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면 interleukin-1 (IL-1),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를 분비하여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내독소의 작용기전은 CD14 의존성 경로와 비의존성 경로의 두 개로 나뉘어진다. 체내로 들어온 내독소는 혈청 내에서 내독소 운반에 관여하는 LPS-binding protein(LBP)과 결합하여 혈중내에서 세포와 결합되거나 조직으로 이동되어 조직내 세포와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LPS는 CD14항원에 비의존적으로 대식세포를 자극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LPS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CD14 항원 의존성 IL-1, IL-6, TNF-$\alpha$의 형성과정은 많이 밝혀져 있으나, 내독소에 의한 TGF-$\beta$의 형성 여부는 밝혀져 있지 않으며, CD14 항원 비의존성으로 IL-1, IL-6, TNF-$\alpha$ TGF-$\beta$가 형성되는 과정도 별로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혈청이 없는 상태 (LBP가 없는 상태)에서, 즉 LPS 자극시 LBP-CD14 비의존성으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형성된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IL-1, IL-6, TNF-$\alpha$과 섬유화 cytokine인 TGF-$\beta$의 생성유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정상인의 헤파린 처리된 말초혈액정맥혈을 비중 1.077의 Ficoll-Hypaque 용액 위에 중첩시킨 후 5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말초혈액단핵구를 얻었다. 분리된 말초혈액단핵구를 우태아혈청이 없는 RPMI에 부유시킨 후 $37^{\circ}C$, 5% $CO_2$ 보온기에서 0.1 ${\mu}g$, 1 ${\mu}g$, 10 ${\mu}g$, 100 ${\mu}g/ML$의 LPS와 1, 2, 4, 8, 12, 24, 48 시간 혼합 배양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IL-6, TNF-$\alpha$, TGF-$\beta$의 측정 cytokines의 양을 bioassay로 측정하였다. 세포층은 slide에 고정시킨 후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한 이중 면역조직화학염색법과 RNA 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에 이용하였다. 결 과: 실험사약내 내독소 존재 여부에 대한 검증결과 내독소 함유량은 10 ng/mL 이하로 되어 있어 본 실험에서는 10 ng/mL 이상의 농도로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오염된 내독소는 실험에 영향이 없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말초혈액단핵구에서 LPS 자극에 의하여 IL-6는 1시간째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96 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LPS용량의존성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TNF-$\alpha$는 LPS 자극 4시간째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갈수록 생성양은 증가하며 72 시간째까지 지속적으로 형성되었다. TGF-$\beta$형성도 LPS 용량에 의존성을 보이며 8시간째 일차로 TGF-$\beta$의 형성이 증가 한 후 12 시간째는 오히려 감소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증가하여 2차로 96 시간에 최대 형성을 보였다. 각각 cytokine의 24시간째 생성양은 IL-6의 경우 $1{\times}10^5/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서 10 ${\mu}g/mL$의 LPS에 의해서 19.8 ng 이 생성되었고 LPS 자극이 없는 상태의 자연생성능도 3.2 ng이었으며, $1{\times}10^6/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 의해서 자연 생성양은 증가하여 24시간째에 0.38 ng/mL, 10명/mL의 농도에서 24시간째 4.1 ng/mL의 TNF-$\alpha$의 생성능을 보였다. TGF-$\beta$의 경우 $2{\times}10^6/mL$의 말초혈액단핵구에 의하여 34.4 pg/mL가 생성되었고 자연생성능은 5.2 pg/mL의 생성농을 보였다. 말초혈액단핵구의 IL-1$\beta$, IL-6, TNF-$\alpha$, TGF-$\beta$ 단백과 m-RNA 발현 IL-1$\beta$, IL-6, TNF-$\alpha$단백은 주로 단구세포에서, TGF-$\beta$ 단백은 단구세포와 림프구에서 발현되었으며, CD14항원 발현과는 상관이 없었다. TNF-$\alpha$, IL-1$\beta$, IL-6, TGF-$\beta$ m-RNA 양성세포는 주로 세포질이 풍부한 것으로 보아 단구세포로 사료되었다. TGF-$\beta$의 경우 단구세포외에도 세포질이 적은 림프구에서도 약하게 양성반응을 보여 링프구에서도 분비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결 론: 내독소로 말초혈액 단핵구를 자극시 IL-6, TNF-$\alpha$는 조기에 분비되기 시작하며 TGF-$\beta$는 후기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96시간까지 지속적으로 분비된다. 주 분비세포는 IL-1$\beta$, IL-6, TNF-$\alpha$의 경우 단구세포가 되며 TGF-$\beta$도 단구세포가 주세포가 되나 림프구도 분비에 관여한다.

  • PDF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Fungal ${\beta}-Glucan$ through Dectin-1 and Toll-like Receptor on Murine Macrophage

  • Kim, Ha-Won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pp.103-115
    • /
    • 2006
  • [ ${\beta}-Glucan$ ] is a glucose polymer that has linkage of ${\beta}-(1,3)$, -(1,4) and -(1,6). As exclusively found in fungal and bacterial cell wall, not in animal, ${\beta}-glucans$ are recognized by innate immune system. Dendritic cells (DC) or macrophages possesses pattern recognition molecule (PRM) for binding ${\beta}-glucans$ a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 Recently ${\beta}-glucans$ receptor was cloned from DC and named as dectin-l which belongs to type II C-type lectin family. Human dectin-l is consisted of 7 exons and 6 introns. The polypeptide of dectin-l has 247 amino acids and has cytoplasmic, transmembrane, stalk and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s. Dectin-l could recognize variety of beta-l,3 and/or beta-l,6 glucan linkages, but not alpha-glucans. In our macrophage cell line culture system, dectin-l mRNA was detected in RA W264.7 cell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Dectin-l was also detected in the murine organs of spleen, thymus, lung and intestines. Treatment of RA W264.7 cells with ${\beta}-glucans$ of Ganoderma lucidum (GLG) resulted in increased expression of IL-6 and $TNF-{\alpha}$ in the presence of LPS. However, GLG alone did not increase IL-6 nor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ptor dectin-l cooperate with CD14 to activate signal transduction that is very critical in immunoresponse.

  • PDF

패혈증 증후군환자에서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발생의 예측 지표서의 혈중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Interleukin-$1{\beta}$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beta}$ as Predictable Markers for Development of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Septic Syndrome)

  • 고윤석;장윤혜;김우성;이재담;오순환;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52-461
    • /
    • 1994
  • 연구배경: ARDS발생 기전에 있어 TNF-$\alpha$나 IL-$1{\beta}$의 역할은 이들이 폐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나 ARDS환자 발생 예측 지표로서의 TNF-$\alpha$ 및 IL-$1{\beta}$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부정적이다. 이는 기존연구들이 다양한 질환들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ARDS 발생기전의 다양성이 ARDS환자 발생 예측지표로서의 TNF-$\alpha$의 유용성을 부정적으로 나타나게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저자들은 ARDS 발생이 내독소와 cytokines등에 의한 작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패혈증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TNF-$\alpha$와 IL-$1{\beta}$의 ARDS 발생의 예측 표지자로서 임상적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패혈증 증후군환자들을 대상으로 ARDS발생군(이하 ARDS군, 16명)과 호흡부전 상태에서 ARDS로는 진행하지않은 급성호흡 부전군(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group, 이하 AHRF군, 20명)으로 분류하여 등록시, 24시간 및 72시간후에 채혈하여 ARDS군은 ARDS 발생시에, AHRF군은 동맥혈 산소분압에 대한 폐포 산소분압의 비가 가장 낮은 시점의 TNF-$\alpha$와 IL-$1{\beta}$의 농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ARDS 및 AHRF군에서 쇽 발생군과 비발생군으로 분류하고 쇽 발생시에 측정된 TNF-$\alpha$와 IL-$1{\beta}$를 비발생군의 TNF-$\alpha$ 및 IL-$1{\beta}$의 값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은 건강 대조군으로서 1회만 채혈하였다. 결과: 1) 혈중 TNF-$\alph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Predicta kit의 TNF-$\alpha$ 농도 측정의 민감도는 평균${\pm}2$표준편차의 하한값이 10pg/mL이며, 특이도는 100%로, ARDS군 16명중 8명이, AHRF군 20명중 12명이 10pg/mL 이상으로 측정되어 두 군사이에서 혈중 TNF-$\alpha$가 10pg/mL 이상 발현된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TNF-$\alpha$의 중앙값 농도는 각각 10.26pg/mL(<10-16.99pg/mL, 사분위수범위, interquartile range), 10.82pg/mL(<10-20.38pg/mL)로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Fig. 1), ARDS 발생 전후의 혈중 TNF-$\alpha$의 농도도 중앙값이 10pg/mL미만(<10-15.32)pg/mL 및 10pg/mL미만(<10-10.22)pg/mL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6명중 2명만이 ARDS 발생 전에 비하여 TNF-$\alpha$의 값이 증가되었다. ARDS 및 AHRF군에서 패혈성 쇽이 발생한 환자들(26명)의 TNF-$\alpha$의 농도는 12.53(<10-20.82)pg/mL로서 비발생군(10명) <10p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Fig. 2), 전체 생존군(<10, <10-12.92pg/mL)과 사망군(11.80, <10-20.8pg/mL)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8). 2) 혈중 IL-$1{\bet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Quantikine kit의 최저 측정치는 0.3ng/mL로서 건강 대조군 10명중 1명을 제외한 모두에서 IL-$1{\beta}$측정치가 0.3pg/mL이하였다. ARDS 및 AHRF군의 검체 중 0.3ng/mL 이하로 측정된 경우는 ARDS, AHRF군에서 각각 1예가 있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IL-$1{\beta}$의 농도는 각각 2.22(1.37-8.01)ng/mL, 2.13(0.83-5.29)ng/mL으로서 두 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ig. 3), ARDS 발생전(2.53, 0.3-8.38ng/mL)과 발생후(5.35, 0.66-11.51ng/mL)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패혈성 쇽 발생군(2.51, 1.28-8.34ng/mL)과 비발생군(1.46, 0.15-2.13ng/mL)사이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비발생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각각 P=0.44, P=0.054)(Fig. 4).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각각 1.37(0.4-2.36), 2.84(1.46-8.34)ng/mL로서 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혈중내 TNF-$\alpha$의 농도는 패혈증증후군 환자들에서 패혈성 쇽의 발생과는 연관성이 있으나 혈중내 TNF-$\alpha$ 및 IL-$1{\beta}$의 농도 측정이 ARDS 발생의 예측 지표로서는 임상적 효용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

소엽(蘇葉) 추출물이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의 cytokine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um Perillae on cytokine productions in ischemic rats)

  • 양기호;김형우;조수진;김상대;윤관희;김부여;정현우;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3-99
    • /
    • 2007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ium Perillae (FP) on several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L-1$\beta$, TNF-$\alpha$, IL-10 and TGF-$\beta$ to determine related mechanisma in Rats. Methods: So,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P on levels of several cytokines such as IL-l$\beta$, TNF-$\alpha$, IL-10 and TGF-$\beta$ in ischemic rats. Results: In this experiment, IL-10, an immune-modulatory cytckine, level was elevated by treatment with FP, but another regulatory cytokine, TGF-$\beta$1 level was not affected. On the other hand, levels of IL-l$\beta$ and TNF-$\alpha$, an inflammatory cytokines, were lowered by treatment with FP effectivel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P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disease related to cerebral ischemia, because FP can elevate IL-10 level, lower IL-l$\beta$ and TNF-$\alpha$ levels.

  • PDF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서 산소기 역할에 관한 연구 (Role of Oxygen Free Radical i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and Interleukin-$1{\beta}$ Gene in Mononuclear Phagocytic Cells)

  • 강민종;김재열;박재석;이승준;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62-870
    • /
    • 1995
  • 연구배경: 산소기의 작용은 과거에는 세포독성이 주로 알려져 있었던 반면, 최근 들어 산소기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서의 역할에 많은 사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여러 cytokine의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하는 $NF{\kappa}B$는 기저상태에서는 세포질에 존재하는데 $I{\kappa}B$와 결합되어 핵내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의 분리는 외부자극에 의해 생성된 산소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렇게 하여 분리된 $NF{\kappa}B$가 핵내로 이동하면 핵내에서 전사인자로 작용하여 여러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IL-8 유전자는 5'flanking promotor region에 $NF{\kappa}B$-like motif가 있어 핵내 $NF{\kappa}B$ activity의 증가로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또한 내독소는 핵내의 $NF{\kappa}B$ activity의 증가와 함께 호중구에서의 산소기의 분비를 가져온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내독소에 의한 IL-8 유전자의 발현은 세포내에서 생성된 산소기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 분리되어 핵내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가설을 생각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가설 검정의 첫번째 단계로써 체내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 세포내의 산소기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Ficoll-Hypaque density gradient 법과 plastic 부착법을 이용하여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외부에서 투여한 산소기의 농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발현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H_2O_2$를 0, 10, 100, $300{\mu}M/L$, 1mM/L의 농도로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후 IL-8 및 IL-$1{\bet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변화를 관찰하고자 $H_2O_2$$100{\mu}M/L$의 농도로 투여하고 0, 2, 4, 6, 8, 24시간이 경과한 후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항산화제가 내독소에 의한 IL-8과 IL-$1{\beta}$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TMTU(10 mM/L) 1시간; PDTC($100{\mu}M/L$) 1시간, NAC(10 mM/L) 2.5시간, ME(10mM/(L) 2.5시간, Desferrioxamine(100mM/L) 15시간 동안 전처치 한 디음 내독소를 투여허여 4시간이 경과한 후 IL-8 및 IL-$1{\beta}$ mRN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H_2O_2$농도 및 시간에 따른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항산화제로 전처치하였을 때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TMTU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 발현에 $H_2O_2$가 아닌 다른 산소기가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rrelation of the Beta-Trace Prote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Chronic Subdural Hematomas : A Prospective Study

  • Park, Ki-Su;Park, Seong-Hyun;Hwang, Sung-Kyoo;Kim, Chaekyung;Hwang,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4호
    • /
    • pp.235-241
    • /
    • 2015
  • Objective :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detects various patter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many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and highly specific protein [beta-trace protein (${\beta}TP$)] for cerebrospinal fluid (CSF) in CSDHs, and correlate the levels of these markers with the MRI findings.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treated surgically for CSDH,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MRI findings into hyperintense and non-hyperintense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IL-6, IL-8, and ${\beta}TP$ in the subdural fluid and serum were measured. The ${\beta}TP$ was considered to indicate an admixture of CSF to the subdural fluid if ${\beta}TP$ in the subdural fluid $({\beta}TP_{SF})/{\beta}TP$ in the serum $({\beta}TP_{SER})>2$. Results : The mean concentrations of IL-6 and IL-8 of the hyperintense group (n=17) of T1-WI MRI were $3975.1{\pm}1040.8pg/mL$ and $6873.2{\pm}6365.4pg/mL$, whereas them of the non-hyperintense group (n=14) were $2173.5{\pm}1042.1pg/mL$ and $2851.2{\pm}6267.5pg/mL$ (p<0.001 and p=0.004). The mean concentrations of ${\beta}TP_{SF}$ and the ratio of ${\beta}TP_{SF}/{\beta}TP_{SER}$ of the hyperintense group (n=13) of T2-WI MRI were $7.3{\pm}2.9mg/L$ and $12.6{\pm}5.4$, whereas them of the non-hyperintense group (n=18) were $4.3{\pm}2.3mg/L$ and $7.5{\pm}3.9$ (p=0.011 and p=0.011). Conclusion : The hyperintense group on T1-WI MRI of CSDHs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of IL-6 and IL-8 than non-hyperintense group. And, the hyperintese group on T2-WI MRI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of ${\beta}TP_{SF}$ and the ratio of ${\beta}TP_{SF}/{\beta}TP_{SER}$ than non-hyperintense group. These findings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rebleeding and CSF admixture in the CSDHs.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Facilitated Formalin-induce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in Freely Moving Rats

  • Choi, Hyo-Soon;Jung, Sung-Chul;Choi, Byung-Ju;Ahn, Dong-K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1호
    • /
    • pp.23-27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nterleukin-1${\beta}$ (IL-1${\beta}$) on the formalin-induced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ain. Under anesthesia, a 30-gauge needle was introduced into the right TMJ region for injection of formalin. Microinjection of 50 ${\mu}l$ of 5% formalin significantly produced noxious scratching behavioral response, and the scratching behavior lasted for 40 min. Although the responses produced by formalin injection wer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response of 1st phas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scratching behavior response in the saline-treated group.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on the number of noxious behavioral responses produced by 50${\mu}l$ of 5% formalin injectio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100 pg and 1 ng of IL-1${\bet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behavioral responses of the 2nd phase, while 10 pg of IL-1${\beta}$ did not change the formalin-induced behavioral responses. To investigate whether IL-1 receptor was involved in the intra-articular administration of IL-1${\beta}$-induced hyperalgesic response, IL-1 receptor antagonist (IL- ra, 50 ng) was administrated together with IL-1${\beta}$ injection. IL-1${\beta}$ receptor antagonist blocked IL-1${\beta}$- induced hyperalgesic response in the TMJ formali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facilitated the transmiss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in the TMJ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