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12 p40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1초

배 과수원에서 전정가지 유래 탄화물 시용이 토양 탄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ized Biomass Derived from Pruning on Soil Carbon Pools in Pear Orchard)

  • 이선일;이종식;김건엽;최은정;서상욱;나운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9-165
    • /
    • 2016
  •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전정가지 부산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매스 탄화물의 토양내 처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 전정가지를 활용하여 탄화물을 생산하고 이를 배 과원 토양에 투입하여 토양 화학성 변화와 토양 탄소 저장 잠재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배 전정가지 유래 탄화물은 방향족 화합물 형태를 유지하고 탄소함량도 62%로 매우 높았으며, 과원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탄화물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탄화물 투입 166일 후 토양 탄소저장 잠재량은 바이오매스 탄화물 시용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조구, C-1 그리고 C-2 처리구에서 각각 토양 탄소저장 잠재량은 40.1, 49.3 그리고 57.8 Mg/ha으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 잠재량은 탄화물 투입량에 따라 고도로 높은 상관관계 (P < 0.001)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 기울기가 1.496인 1차 회귀방정식을 나타냈으며, 탄화물 투입량이 100 kg/ha 높아질수록 토양 탄소 저장 잠재량은 0.1496 Mg/ha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바이오매스 탄화물을 시용한다면 토양 탄소의 중요한 공급원이 되며 결론적으로 농경지가 토양 탄소저장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 복합추출물 복용이 인체의 혈중 조혈모세포와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tracts Mixture Drink from Inonotus Obliquus, Phellinus Linteus and Ganoderma Lucidum on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Lymphocyte Subset of Blood in Human)

  • 배형석;강성근;신일섭;우상규;김윤정;김미애;라정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8-85
    • /
    • 2009
  • 본 연구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혼합추출물(IPGE)음료 복용이 인체의 혈중 조혈모세포와 임파구 아형(Lymphocyte, $CD4^+T$ cell, $CD8^+T$ cell, Natural Killer cell)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건강한 지원자들로서 $40{\sim}70$대의 남여 일반인들로 하였다. 전체 39명을 모집하여 무작위 배정을 통해 27명, 12명 씩 2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버섯 복합추출물과 위약 음료를 따로 지급하여 4주 동안 매일 복용하게 하였다. 혈액은 복용 첫날부터 시작하여 2주 간격으로 피험자들로부터 채취되었으며 면역세포 수 측정에 사용되었다.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IPGE 음료 복용군에서 복용 전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임파구(lymphocyte)는 IPGE음료 복용 전과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CD4^+T$ 세포, $CD4^+T$ 세포 및 $CD4^+/CD8^+$ 비율은 시험 음료 복용 전과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NK 세포도 IPGE 음료 복용 전과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IPGE)음료는 조혈모세포의 증식효과를 현저하게 높게 나타내었기 때문에 총체적인 혈액세포 정상화를 통해 인체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었다.

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김나리;김용일;박수병;황대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5-155
    • /
    • 2010
  •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수술 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 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Fogarty 혈전색전 제거술의 효과 (The Effect of the Simple Fogarty Thromboembolectomy)

  • 오중환;박일환;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80-486
    • /
    • 2009
  • 배경: Fogarty 카테터는 원위부 동맥 색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1960년대 이래로 급성혈전색전의 치료에 획기적인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지난 30년동안 동맥폐쇄의 주원인이 심장에서 비롯하는 색전으로부터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런 맥락에서 단순 Fogarty 혈전색전제거술이 여전히 효과가 있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Fogarty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를 혈전제거술만 시행한 79명(제 1 군)과 혈관우회수술을 같이 시행한 77명(제 2 군)으로 나누어 증상의 기간, 혈전의 원인, 응급실 내원 여부, 한방치료 및 오진경험, 동반질환, 주발생부위, 사망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T 검증, 교차분석, 카이제곱 및 Kaplan-Meier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두군 모두 환자의 나이는 평균 64$\pm$10세로 비슷하였다. 제1군과 2군의 다리 통증 기간은 평균 12$\pm$4일 vs 71$\pm$14일(p=0.001), 응급실 내원한 경우는 50명(63%) vs 18명(23%) (p=0.005), 디스크로 오인하여 치료를 받거나 침을 맞은 경우가 20명(25%) vs 30명(39%), 내원전 항응고제 치료 받은 경우는 22명(28%) vs 11명(14%), 혈전원인은 심장질환 24명(30%) vs 6명(8%) (p=0.001), 동맥경화증 46예(58%) vs 67명(87%) (p=0.001), 외상 9명(11%) vs 6명(8%)이었다. 동반질환으로는 뇌졸증, 고혈압 당뇨가 주를 이루었으며(22$\sim$37%), 막힌 부위는 대부분 장골 및 대퇴동맥이었다 우회수술은 58명(75%)에서 대퇴-대퇴 및 대퇴-슬와동맥간 우회수술을 시행했다. 내막절제술은 각각 7명(9%) vs 18명(23%)에서 동반시술이 이루어졌다(p=0.012). 수술의 성공율은 27명(34%) vs 40명(52%) (p=0.019), 다시 막힌 경우는 37명(47%) vs 20명(26%) (p=0.000), 하지절단 4명(5%) vs 12명(16%) (p=0.012), 사망 10명(13%) vs 3명(4%) (p=0.044)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최근 급성동맥폐쇄증의 원인이 류마티스 심장질환에서 동맥경화성 질환으로 변화함으로서 단순한 Fogarty 혈전색전 제거술의 효과가 줄어들고 있어 이러한 단순 시술 대신에 부가적인 우회수술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사료 내 생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in the Diet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 longissimus dorsi of Hanwoo Steers)

  • 김성일;정근기;김덕영;김진열;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1-459
    • /
    • 2011
  • 본 연구는 거세한우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를 첨가 함으로써 거세한우 도체등심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20.92개월령(평균체중 599.89 kg)의 거세한우 36두를 대조구, 시험 1구(미강 첨가구) 및 시험 2구(볶은 대두 첨가구)로 나누고 각각의 처리구는 체중 및 월령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12두/처리구).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 수준은 시험 사료 내 조지방 함량을 5%로 설정하고, 조지방 부족분을 각각의 첨가원료(미강과 볶은 대두)로부터 보충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시험동물이 평균 31.2개월령에 도달할 때까지 31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도체등심의 일반 조성분은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는 없었고 가열 감량과 드립 감량도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지방 부위에 따른 처리구별 융점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 부위별 융점은 등심지방($25.83-26.17^{\circ}C$), 피하지방($17.26-18.53^{\circ}C$) 및 신장지방($32.40-33.15^{\circ}C$)이 서로 다른 범위를 나타내었다. 도체등심의 단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 1구가 39.48 mg/100 g으로서 대조구의 32.24mg/100 g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쓴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 2구가 25.93mg/100 g으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지방산 조성 중 $C_{14:0}$, $C_{16:0}$, $C_{16:1}$, $C_{18:0}$$C_{18:1}$의 함량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가불포화지방산인 $C_{20:3}$은 시험 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관능평가 결과는 다즙성의 경우 시험 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종합기호 도의 경우는 시험 1구와 시험 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관능 평가 항목들과 주요지방산 조성간의 상관관계는 $C_{18:1}$은 연도와, $C_{18:0}$은 풍미와 정(+)의 상관관계(각각 r=0.650 및 0.698; p<0.05)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관능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 쥬스 제조를 위한 starter로써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ongchimi as Starter for Radish Juice)

  • 김정희;김종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7-314
    • /
    • 1999
  • 본 연구는 동치미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치미의 가능성이 강화된 무 주스를 제조하기 위한 starter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산균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치미에서 분리 동정된 40 균주는 당 발효능과 양상에 따라 5개의 group으로 분류되었다. Species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sake,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fermentum의 5개 균종이었으며, 유산균의 분포는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52.5%로 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5개의 group에서 가장 생육능이 왕성한 1개 균주씩 Leuconostoc mesenteroides J-9, Lactobacillus brevis J-12, Lactobacillus plantarum J-39, Lactobacillus fermentum J-7 등 5균주를 선정하여 한외 여과한 무즙에 각각 0.3($10^6$ cfu/㎖)%씩 접종하여 25${\circ}C$에서 9일간 숙성하면서 pH 및 총 산도, 비휘발성유기산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각 접종 균주 중 Lactobacilus plantarum의 생육능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Lactobacillus sake가 가장 느리게 성장하였다. 발효 개시 전의 한외 여과한 무즙의 pH 및 총 산도는 6.30~6.36, 0.09~1.0%이었으나 9일째 pH 3.2~4.3, 0.85~1.2%로 나타났다. 각 접종 균주의 pH, 산도의 변화를 비교해보면 미생물의 생육능과 상관성이 높아 유산균수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pH는 빠르게 감소하고, 산도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보면 모든 접종구에서 시트르산, 말산, 말론산, 숙신산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락트산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적으로 맛에 좋은 영향을 주는 유기산으로 알려진 숙신산과 락트산의 함량을 보면 L. mesenteroides J-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락트산 단독의 경우는 L. plantarum J-39m, L. brevis J-12 접종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cdot}$ 화학적 검사와 향미에 대한 관능검사결과 L. mesenteroides J-9, L. brevis J-12, L. fermentum J-7이 무쥬스의 젖산발효를 위한 starter로써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1일 영양소 및 간식 섭취 (The Daily Intakes of Nutrients and Snacks of High School Smokers and Non-Smokers)

  • 송영미;한장일;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6-48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smoking o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snack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high school students. Up to date scientific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gular school system is needed for a professional nutrition education teach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nutrition education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areas. 381 out of 4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12.0K.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9.8% male, 50.1% female and 40.9%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59.1%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and smokers 43.1%, non-smokers 56.9%. 43.4% of smokers had been smoking since middle school. On analysis of daily nutrient intakes, 16 out of 19 nutrients except animal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C were much more consumed by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non-significantly. Especially vegetable fat and Vitamin E were higher in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p<0.05). The intake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 fat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smoking group 55:15:29, nonsmoking group 56:15:28). Intakes of Vitamin B1 and potassium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KDRI) were under 50% in both groups. However, sodium was taken over 200% compared to KDRI in both groups. Intakes of Vitamin C in the smoking group were as low as 76.5% in comparison to KDRI. Smokers need to increase the intakes of Vitamin C considering that smokers need to intake Vitamin C two times than non-smokers. Nutrient intakes from snacks in the smoking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smoking group. Nutrients that originated from snacks which took over 20% among daily nutrient intakes were 12 nutrients(energy, fat, carbohydrate, calcium, P, Fe, K,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in the smoking group compared to 7 nutrients(energy, vegetable protein, fat, carbohydrate, calcium, Vitamin $B_2$, Vitamin C) in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was significantly paying more money for snacks each month than the non-smoking group was(p<0.01). Periods of consumption were irregular in the smoking group(p<0.05) and the smoking group was used to taking snacks in the morning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preferred sweets and high calorie food over other snacks in comparison of the non-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had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smoking group.

Partial Replacement of Fish Meal by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iets

  • Lee, Sang-Min;Pham, Minh Anh;Shin, Il-Shi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305-31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use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FSTV) as an alternative for fish meal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iets. Lactobacillus bulgaricus was used as a starter for fermentation of skipjack tuna viscera. Four isonitrogenous (49% crude protein) and isocaloric (4 kcal/g DM)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graded levels (0, 5, 10, and 15%) of FSTV.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hree replicate groups (40 fish per tank) of juvenile flounder (average weight, $3.3\pm0.2$ g) for 5 weeks. At the end of feeding experiment, inclusion of FSTV up to 15% in diets did not affect survival rate (%) and weight gain of fish. Feed efficiency, protein efficiency ratio, protein and lipid retentions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FSTV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The values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5% FSTV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other diets. Whole body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FSTV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5% FSTV and control diet.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could partially replace fish meal in juvenile flounder feed, and the inclusion of 10% FSTV may be efficient in improving the feed utilization of fish.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without reduction and effusion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oh, Kwang-Joon;Park, Ha-Na;Kim, Kyoung-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4호
    • /
    • pp.245-25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and effusion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patien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53 TMD patients. MRI examinations were performed using a 1.5 T MRI scanner. T1- and T2-weighted images with para-sagittal and para-coronal image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MRI findings,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c positions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normal,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WR), a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DWOR). The cases of effus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mild (E1), moderate (E2), and marked effusion (E3).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the Fisher's exact test using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The subjects consisted of 62 males and 191 females with a mean age of 28.5 years. Of the 253 patients, T1- and T2-weighted images revealed 34 (13.4%) normal, DWR in 103 (40.7%), and DWOR in 116 (45.9%) on the right side and 37 (14.6%) normal, DWR in 94 (37.2%), and DWOR in 122 (48.2%) joints on the left side. Also, T2-images revealed 82 (32.4%) normal, 78 (30.8%) E1, 51 (20.2%) E2, and 42 (16.6%) E3 joints on the right side and 79 (31.2%) normal, 85 (33.6%) E1, 57 (22.5%) E2, and 32 (12.7%) E3 on the left sid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Conclusio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as not related to the MRI findings of effusion in TMD patients (P>0.05).

사상체질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이태규;황민우;이수경;최봉근;고병희;송일병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2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valences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364 subjects who had taken health examinations and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 from January to June of 2003 at a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a hospital in Seoul were reviewed. The prevalences and the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1) Among the 364 subjects, 88 (24.2%) were Soeumin, 101 (27.7%) were Soyangin, and 175 (48.1%) were Taeumin. 2) The prevalences of high WC, high TG, low HDL-c, high BP and high FBS of Taeum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onstitutions (p-value < 0.05). 3)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of Taeumin, Soyangin, and Soeumin were 46.3%, 16.8% and 9.1% respectively. Th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p-value < 0.001). 4) Taeumin had higher risk of high WC than Soeumin (adjusted OR : 3.83, 95% CI : 1.19-12.29) and higher risk of high FBS than Soeumin (adjusted OR: 5.93,95% CI : 1.11-31.77). 5) Taeumin had higher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than Soeumin (adjusted OR : 3.40, 95% CI : 1.25-9.23).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Sasang constitution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