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1 beta

검색결과 2,437건 처리시간 0.038초

Production and bioactivity of recombinant tilapia IL-$1\beta$

  • Hong, Su-Hee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53
    • /
    • 2009
  • To study the biological activity of interleukin-$1\beta$(IL-$1\beta$), a proinflammatory cytokine,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iticus, the recombinant tilapia IL-$1\beta$ was produced in E. coli cells based on pQE vector. Ni-NTA (nitriloacetic aci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 was used to purify recombinant protein. The eluted fractions exhibited a single band of protein with a molecular weight of about 25kDa, which is in close agreement with 25.4 kDa predicted by the cDNA sequenc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purified recombinant tilapia IL-$1\beta$ was tested through its effects on IL-$1\beta$ gene expression, which are known as IL-$1\beta$ inducible genes in mammals and fishes. IL-$1\beta$ gene expression induced by poly I:C, a synthetic double stranded RNA, was also assessed in tilapia head kidney cells. IL-$1\beta$ gene expression was analysed using QPCR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ratio of the indicated gene expression was expressed as the relative mRNA level to $\beta$-actin mRNA level, which i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macrophages. Consequently, head kidney cells incubated for three hours with rIL-$1\beta$(10, 2, 1 $\mu{g}$/ml) showe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IL-$1\beta$ mRNA levels and 1 $\mu{g}$/ml of poly I:C was also able to induce IL-$1\beta$ gene expression in head kidney in tilapia.

Anti-IL-1$\beta$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해서 발열환자의 뇨중 IL-1$\beta$ inhibitor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IL-1$\beta$ inhibitor in the febrile patient urine by anti-IL-1$\beta$ monoclonal antibody)

  • 남경수;배윤수;남명수;오은숙;박순희;최인성;정태화
    • 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0-426
    • /
    • 1993
  • To effectively purify of IL-1 inhibitor from human febrile urine, we have established monoclonal antibody that reacts with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 l$\beta$(IL-1$\beta$). The antibody, designated ON-1, was highly specific to IL-1$\beta$ and no cross-reaction with other cytokines(IL-l$\alpha$ and IL-4) was observed. As the results of ELISA inhibition assay and Western blotting method, it was further identified that ON-1 had high binding specificity with IL-1$\beta$. IL-1 receptor binding material from febrile patient urine was effectively purified with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which conjugated with ON-1. This urinary material inhibited the thymocyte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L-l$\beta$ induced thymocyte proliferation activity was inhibited to 67.3% at 6 $\mu\textrm{g}$ of the purified urinary material. The result may suggest that this urinary material the purified urinary material. The result may suggest that this urinary material will have antagonic effect on IL-1 action mechanism and act IL-l$\beta$ inhibitor.

  • PDF

펩티도글라이칸에 의한 인터루킨-1 베타 발현 기전 연구 (Molecular Mechanisms through Which Peptidoglycan Induces IL-1β Expression in Monocytic Cells)

  • 서현철;김선미;이새아;임병용;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37-16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IL-$1{\beta}$ 발현에 PG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단핵세포에서 PG에 의한 IL-$1{\beta}$ 상향조절에 포함된 세포인자를 밝혔다. PG에 사람의 THP-1 세포를 노출시키면 IL-$1{\beta}$ 분비 증가뿐만 아니라 IL-$1{\beta}$ 유전자 전사를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TLR-2/4의 억제제인 OxPAPC에 의해 저해되었다. U0126, SP6001250, Akti IV, rapamycin, DPI 같은 약리학적 저해제도 PG에 의한 IL-$1{\beta}$의 상향조절을 상당히 약화시켰다. 그러나 polymyxin B는 IL-$1{\bet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G는 TLR-2, Akt, mTOR, MAPKs, ROS를 통하여 IL-$1{\beta}$의 발현을 상향시킴을 확인하였다.

($17{\beta}$-Estradiol 및 1,25-Dihydroxyvitamin $D_3$가 치주인대 세포의 Interleukin-6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7{\beta}$-Estradiol and 1,25-Dihydroxyvitamin $D_3$ on Interleukin-6 Produc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곽월아;최봉규;이현정;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645-654
    • /
    • 1999
  • Interleukin-6(IL-6)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17{\beta}$-estradiol, 1,25-dihydroxyvitamin $D_3$(1,25-$(OH)_2D_3$) and interleukin-$1{\beta}$ inhibit or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ynthesis of interleukin-6(IL-6) from stromal/osteoblastic cells, respectively.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resid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cementum and have osteoblastic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effect of $17{\beta}$-estradiol and 1,25$(OH)_2D_3$ on IL-6 production of PDL cells, PDL cells were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or 1,25-$(OH)_2D_3$ in the absence or the presence of IL-$1{\beta}$. The concentration of IL-6 produced form PDL cells was determined by enzym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unstimulated PDL cells, we detected constitutive production of IL-6 at 1st and 2nd day. IL-$1{\beta}$ increased IL-6 synthesis at 1st day and 2nd day. $17{\beta}$-estradi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cretion of this cytokine, either constitutively or after stimulation with IL- $1{\beta}$(0.05 ng/ml). 1,25-$(OH)_2D_3$($10^{-8}M$) decreased not only constitutive IL-6 production but also IL-$1{\beta}$-induced IL-6 production at 2nd d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5-$(OH)_2D_3$ may control IL-$1{\beta}$-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ecreasing IL-$1{\beta}$-induced IL-6 secretion of PDL cells.

  • PDF

생쥐 초기배아에서 Interleukin-$1\beta$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의 영향 (The Effects of Oviduct and Uterine Epithelial Cells o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Gene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 홍석호;계명찬;김종월;이정복;오은정;조동제;최규완;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59-67
    • /
    • 1999
  • 초기배아의 발생과정동안 배아와 모체에서 발현되는 여러 cytokine은 착상을 위한 신호물질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interleukin-1$\beta$ (IL-1$\beta$)는 배아와 모체간의 상호 신호전달체로서 성공적인 착상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배아의 발생과정에 있어서 IL-1$\beta$ 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생쥐 초기배아에서의 IL-l$\beta$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조사하였고, IL-l$\beta$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의 영향을 밝혀보기 위해 공배양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IL-l$\beta$ in vivo 에서는 4-세포기부터 포배기까지, in vitro에서는 상실배부터 부화중 포배기까지 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에서 IL-l$\beta$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L-l$\beta$ 의 존재가 착상전 초기배아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란관과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해 IL-1$\beta$ 유전자의 발현이 수란관과 자궁요소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 PDF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에서 IL-1 ${\beta}$ 유전자의 유전자 다형성 발생빈도에 관한 연구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IL-1 ${\beta}$ genes in periodontally healthy Korean population)

  • 신승윤;김경화;박옥진;김각균;구영;;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739-745
    • /
    • 2003
  • Interleukine-1(IL-1)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싸이토카인으로써 미생물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IL-1의 유전자 다형성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이 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이후 중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IL-1의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가 인종간에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에서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및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4학년 학생 중 치주낭 깊이와 부착소실이 4mm 이하인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의 유전자 다형성은 분리한 DNA에 각 대립유전자에 특이성을 지닌 primer를 넣고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증폭시킨후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각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결정하였다. IL-1${\beta}$-511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 대립유전자 22의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23.1%, 49.2%, 26.2%의 분포를 보였다. IL-1${\beta}$+3954의 유전자 다형성은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의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89.2%, 10.8%의 분포를 보였으며, 대립유전자 22의 유전자형을 갖는 사람은 한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IL-1RN의 유전자형은 5가지의 대립유전자 중에서 1, 대립유전자 2, 대립유전자 4만일 발견되었으며,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 대립유전자 14의 유전자형이 86.2%, 12.3%, 1.5%로 분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립유전자의 발생빈도 계산한 결과 IL-1${\beta}$-511에서는 대립유전자 1과 2의 비율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47.7%, 52.3%), IL-1${\beta}$+3954, IL-1RN에서는 대립유전자 1이 90%이상 발견되었으며, 또한 대립유전자 1외의 다른 대립유전자가 발견된 경우, 모두 이형접합체였다. 이 연구는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한 것으로 한국인에서 이들 유전자의 유전자형의 분포는 백인에서의 분포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후 치주질환자의 유전자형 분포와의 비교로 치주질환과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Facilitated Formalin-induce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in Freely Moving Rats

  • Choi, Hyo-Soon;Jung, Sung-Chul;Choi, Byung-Ju;Ahn, Dong-K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1호
    • /
    • pp.23-27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nterleukin-1${\beta}$ (IL-1${\beta}$) on the formalin-induced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ain. Under anesthesia, a 30-gauge needle was introduced into the right TMJ region for injection of formalin. Microinjection of 50 ${\mu}l$ of 5% formalin significantly produced noxious scratching behavioral response, and the scratching behavior lasted for 40 min. Although the responses produced by formalin injection wer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response of 1st phas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scratching behavior response in the saline-treated group.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on the number of noxious behavioral responses produced by 50${\mu}l$ of 5% formalin injectio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100 pg and 1 ng of IL-1${\bet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behavioral responses of the 2nd phase, while 10 pg of IL-1${\beta}$ did not change the formalin-induced behavioral responses. To investigate whether IL-1 receptor was involved in the intra-articular administration of IL-1${\beta}$-induced hyperalgesic response, IL-1 receptor antagonist (IL- ra, 50 ng) was administrated together with IL-1${\beta}$ injection. IL-1${\beta}$ receptor antagonist blocked IL-1${\beta}$- induced hyperalgesic response in the TMJ formali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articular injection of IL-1${\beta}$ facilitated the transmiss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in the TMJ area.

쥐의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비렉틴 구성물질)의 효과 (Effect of M11C (Non-lectin Components) Obtained from Korean Mistletoe on the $IL-1\beta$ Secretion from Mouse Splenocytes)

  • 전명하;강태봉;장성호;최완수;성낙술;허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5
    • /
    • 2007
  •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L)는 면역조절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열탕추출물 M11C (non-lectin components)가 비장세포를 활성화시켜 $IL-1\beta$를 생산 분비하게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비장세포를 M11C로 자극한 후, 배양액을 수집 혹은 세포 용해물을 수거해 $IL-1\beta$ 분비와 전사량을 ELISA, immunoblotting, RT-PCR로 검사했었다.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와 전사 효과에 있어서 M11C는 농도 의존성과 자극시간 의존성을 보였다. 비장세포로부터 최대의 $IL-1\beta$ 분비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8시간 이었다. 그리고 최대 $IL-1\beta$ mRNA 전사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4시간 이었다. 최대의 전사시간은 최대의 분비시간보다 4시간 빨리 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최대의 $IL-1\beta$ 분비효과가 당분해효소인 Viscozyme L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는 M11C (non-lectin components)의 구성물질 들 중 다당체 혹은 올리고당들이 $IL-1\beta$ 생산 분비를 유도하는 주된 물질임을 말해주고 있다.

쥐의 골세포에서 $PGE_2$ 합성과 plasminogen activator 활성 조절에 의한 IL-$1{\beta}$의 골 흡수유도와 TGF-$\beta$에 의한 골 흡수 억제 기전에 관한 연구 (Interleukin-$1{\beta}$ induces bone resorption by regulation of prostaglandin $E_2$ synthesis and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and TGF-$\beta$ inhibits bone resorption of rat bone cells)

  • 김영훈;이영준;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13-721
    • /
    • 2000
  • 골세포는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성장인자와 싸이토카인을 생성하여 골 기질로 유리시킨다. 이 연구는 쥐의 장골 세포 배양 모델에서 recombinant human IL-$1\beta$$PGE_2$ 합성과 plasminogen activator의 활성 조절을 통한 골 흡수 유도 기전의 일단을 구명하고, 이와 동시에 TGF-$\beta$에 의한 골흡수 억제 기전을 해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쥐의 장골 세포를 배양하여 통법의 골모세포 phenotype을 발현하는 세포를 분리하고 세포 배양능, alkaline phosphatase assay, PG assay, 골흡수능 측정들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L-$1\beta$는 쥐의 골모세포의 증식, $PGE_2$ 생성 및 palsmonogen activator의 활성을 촉진하였다. 2. IL-$1\beta$는 쥐의 골모세포에서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감소시켰다. 3. rhIL-$1\beta$는 골 흡수를 촉진시켰다. 4. TGF-$\beta$는 쥐의 장골 세포에서 골의 흡수를 억제하였으며, Vitamin $D_3$에 의하여 유도된 골 흡수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IL-$1\beta$에 의한 골 파괴의 병인과 관련하여 골 세포 대사의 병리학적 조절에 있어서의 IL-$1\beta$의 역할을 지지하며, 이와 동시에 골 흡수 억제에 있어서의 TGF-$\beta$의 역할을 확인시켜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마우스에서 $IL-1{\beta}$가 염증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BI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IL-1{\beta}$ UPON INFlAMMATION IN MOUSE)

  • 윤덕상;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1-626
    • /
    • 1998
  • 이 연구는 염증반응에서 $IL-1{\beta}$의 생성을 관찰하고, $IL-1{\beta}$가 조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여 염증반응에서 $IL-1{\beta}$의 역할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웅성과 자성 마우스 각각 10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의 3단계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리포다당(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한 염증발현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면역 B-세포에 대한 영향평가, 세포독성 없이 최대의 $IL-1{\beta}$를 생성할 수 있는 LPS의 양 결정 및 LPS투여로 생성되는 조직의 $IL-1{\beta}$를 동정하는 실험의 결과, LPS는 B-림포세포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높였으며, 10-50${\mu}g$ 투여로 세포독성 없이 $IL-1{\beta}$를 최대로 생성함을 나타냈고, 여러 장기의 조직 에서 $IL-1{\beta}$를 생성시키나 특히, 구강조직과 관절활액세포에서 많은 양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2. 관절강에 50${\mu}g$의 LPS를 투여하고 $IL-1{\beta}$$TNF_{\alpha}$의 경시적 생성량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에서, $IL-1{\beta}$는 투여 2시간 후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4-5시간 경과 후에 최고농도에 도달하고, 점차 감소하여 24시간 경과 후에는 미량만이 존재하였으며, $TNF_{\alpha}$는 투여 1시간 경과 후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2-3시간 경과 후에 최고농도에 도달하고, 그 이후에 감소되기 시작하여 6시간 경과 후에는 미량만이 검출되었다. 3. $IL-1{\beta}$를 정상조직에 투여하여 $IL-1{\beta}$의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관절강에 투여하여 leucocyte의 수가 투여 4-5시간 경과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고 36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수치에 도달하였으며, 세포기질인 proteoglycaqn의 소실은 15시간 경과 후 시작되어 45-60시간 경과 후에 최대이었고, 90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수치로 복귀함이 관찰되었으며, 구강조직에 투여하여 cyclooxigenase 대사산물(prostandin $E_2$)의 축적이 일정농도 한계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PS로 유도된 마우스 관절염 활액에서 $IL-1{\beta}$는 염증반응 초기의 수 시간이내에 생성되어 4-5시간 경과후에 최대양이 생성되며, 염증 조직에서 leucocyte(염증세포)의 침윤, proteoglycan의 소실 및 cyclooxygenase 대사산물($PGE_2$)의 축적을 유도하는, 즉 염증반응을 중재하는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