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M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3초

생쥐 내세포괴의 분리방법과 지지세포의 종류와 Mitomycin C 처리 시간이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solation Method of Mouse Inner Cell Mass, Types of Feeder Cells and Treatment Time of Mitomycin C on the Formation Rate of ICM Colony)

  • 장호진;고경래;김미경;나용진;이규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4호
    • /
    • pp.265-272
    • /
    • 2006
  • 목 적: 본 연구는 생쥐 포배기 배아로부터 내세포괴를 분리하는 방법과 지지세포의 종류와 mitomycin C 처리 시간이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일반적인 면역절제술, 주사바늘을 이용한 부분 영양막세포 절개법, 포배기 배아 공배양법으로 내세포괴를 분리한 후,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STO 또는 직접 제조한 생쥐 배아섬유아세포 (pMEF)를 지지세포로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또한, mitomycin C를 1, 2, 3시간 동안 처리한 각각의 지지세포에서 7일 동안 배양한 후,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을 살펴보았다. 결 과: STO 지지세포에서는 부분 영양막세포 절개법을 사용한 경우 (52%)가 면역절제술 (12%)이나 포배기 배아 공배양법 (16%)을 사용한 경우보다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pMEF 지지세포에서의 형성률은 부분 영양막세포 절개법을 사용한 경우 (88%)와 포배기 배아 공배양법 (82%)을 사용한 경우가 면역절제술 (16%)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았다 (p<0.05). STO와 pMEF 모두에서, 2시간 mitomycin C 처리군 (52%, 88%)이 1시간 처리군 (9%, 42%)과 3시간 처리군 (18%, 76%)보다 높은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을 보여주었다 (p<0.05).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부분 영양막세포 절개법이 생쥐 포배기 배아로부터 내세포괴를 분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가장 적절한 mitomycin C 처리 시간은 2시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분 영양막세포 절개법의 효용성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분리한 내세포괴를 계대배양하여 줄기세포주로서의 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배반포기 배의 현미경적 분류와 세포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Human Blastocysts;The Correlation Between Embryo Microscopical Assessments and Their Cell Number)

  • 김은영;엄상준;김묘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319-326
    • /
    • 1996
  • 본 연구는 인간의 체외수정 program으로 부터 생산된 여분의 배반포기 배를 이용하여 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 판정과 differential labelling 기법을 이용한 세포 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된 인간 배반포기 배는 체외수정 후 5일째에 36명의 환자로부터 76개를 얻어 배반포강의 확대와 투명대 두께의 감소를 기준으로 early (ErB), early expanding (BEB), middle expanding (MEB) 및 expanded blastocyst (EdB)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배반포기 배의 크기와 투명대의 두께를 micrometer로 측정하였을 때, 그 크기는 각각 $148.8-217.6{\mu}m$, $1.2-14.4{\mu}m$로 나타나 같은 배양조건에서 생산된 배아라도 그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Hoechst 염색을 이용하여 배반포기 배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였을 때, 체외수정 후 5일째 생산된 배반포기 배는 ErB $(39.1{\pm}3.6)$ 에서 EdB $(89.6{\pm}3.3)$ 로 진행되는 동안 두배에서 세배정도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differential labelling기법 을 이용한 배반포기 배의 inner cell mass (ICM) 와 trophectoderm (TE) 세포수 조사 결과, 각각 $11.9{\pm}1.8-22.2{\pm}4.3$, $24.5{\pm}3.6-70.0{\pm}7.7$을 나타내어 발달이 진행될수록 ICM과 TE세포수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형태학적으로 약한 ICM으로 판정된 EdB의 경우 differential labelling 후, 역시 적은 ICM 세포수를 나타내어 형태학적 판정과 세포수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CM과 TE를 differential labelling하는 기법은 인간 배반포기 배의 quality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형태학적인 구분과 병용된다면 인간 배반포기 배 이식 program의 임신율 증진을 위한 배아 선별의 중요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체외성숙용 배지에 혈청과 호르몬의 첨가가 한우 난포란의 핵성숙과 배발달 및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um and Gonadotropins in In-Vitro Maturation Medium on Nuclear Maturation, Development and Cell Numbers of Korean Native Cow Embryos)

  • 박용수;김재명;박흠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9-23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소 체외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용 배지에 첨가하는 혈청과 호르몬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제1극체 출현율과 배발달율을 조사하였고, 생산된 배반포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수를 검토하였다. 1. 체외성숙용 배지에 혈청 및 성선자극호르몬의 첨가에 따른 한우 난포란의 제1극체 출현율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혈청 및 성선자극호르몬 공동 첨가군(26.0%)이 대조군과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첨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청 및 성선자극호르몬 공동 처리군에서 생산된 배반포의 ICM, TE, 총 세포수가 가장 많았으며, ICM 세포는 혈청 첨가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체외성숙용 배지에 혈청의 첨가시기에 따른 한우 난포란의 제1극체 출현율은 체외성숙 18시간 동안의 처리군과 체외성숙 9시간째부터 첨가한 처리군이 미첨가군보다 높았으며, 체 외 성숙 후 9시간까지의 처리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체외성숙용 배지에 혈청의 첨가시기에 따른 한우 난포란의 배발달율은 전군에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배반포의 TE와 총세포수는 비슷한 경 향이었으나, ICM 세포수는 체외성숙 18시간 동안 처리군이 혈청 미첨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다수 개 빼기 성형에서 일반사출성형과 사출압축성형의 성형특성 비교 (Comparison of Molding Characteristics for Multi-cavity Molding in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and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 이단비;남윤효;류민영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44-149
    • /
    • 2014
  • 일반사출성형은 공정 중 보압단계에서 캐비티에 높은 압력이 작용하여 성형품에 큰 잔류응력이 남게 된다. 또한 캐비티 내 위치 별로 압력분포가 달라 균일한 물성의 제품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다수 개 빼기 일반사출성형에서는 캐비티간 충전 불균형이 일어나 캐비티간 품질의 편차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출압축성형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 개 캐비티를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일반사출성형과 사출압축성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과 해석을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투명한 수지인 PC와 PS를 이용하여 시편에 나타나는 복굴절을 관찰하여 일반사출성형과 사출압축성형에서 나타나는 성형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사출 압축성형으로 제작된 시편에서 캐비티 내의 압력이 균일하여 복굴절과 성형수축률이 낮고 균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사출성형에서 나타나는 캐비티간 충전 불균형에 의한 캐비티간 물성의 편차가 사출압축성형에서는 크게 줄어들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출압축성형은 다수 개 빼기 사출성형에서 캐비티 내 균일한 물성확보뿐만 아니라 캐비티간 품질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환경에서 에이전트를 이용한 설계자원의 통합 (A Study for agent-based Integration Framework in mobile environment)

  • 옥형석;이수홍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6
    • /
    • 1997
  •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as many difference in character from conventional communication over wired network. These include very presents distributed design system based the mobile agent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o integrate design resource, we presented ISA(Integration Service Agent, which allows a designer to build integrated application using distributed resources, and to collaborative by exchanging service. Also we propose ICM(XML based Intelligent Connection Manger) using mobile agent. And suggested new intelligent data and process transfer architecture using ICM to implement an agent based desig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

  • PDF

Effects of Ovarian Morphology and Culture Vessel on In vitro Development and Cell Number in Embryos of Korean Native Cows

  • Park, Yong-Soo;Kim, Jae-Mye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31-35
    • /
    • 200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in vitro embryo production in Korean Native Cows (KNC). We examined the effects of ovarian morphologies (Experiment 1) and the culture vessel (Experiment 2) on in vitro maturation (IVM). We measured the subsequent development rates and cell numbers of blastocysts. In Experiment 1, the ovaries of KNC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based on follicle and corpus luteum (CL) morphology. The development rates to the 2- and 8-cell stages were similar among the six groups. The development rates to blastocyst s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out a CL or follicle (WOCL/F) than in the groups with follicular cysts (FCs), regressive CLs (RCLs) or cystic CLs (CCLs) (p<0.05). The cell number of the inner cell mass (ICM) of blastocysts in the FCs and RCLs groups, and the number of cells in the trophectoderm (TE) in the WOCL/F group, FCs, growing CLs (GCLs) and RC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p<0.05). The total cell number (TCN) in the WOCL/F, FC and RCL groups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p<0.05). The ICM cell number/TCN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C and RCL groups than in the GCL and DF groups (p<0.05). In Experiment 2, oocyte IVM was carried out in culture dishes, in 0.25- or 0.5-ml straws used for freezing sperm.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cell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5-ml straw group than in the 0.25-ml straw group. The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similar in the dish and the two straw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ell numbers of ICM, TE or TCN or ICM cell number/TCN ratios between groups.

체외성숙 배지에 amino acid 첨가가 배발달율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 이재협;박용수;최수호;변명대;박흠대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5-115
    • /
    • 2003
  • 아미노산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발달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체외배양 단계에 아미노산 첨가에 관한 보고는 많지만, 체외성숙 단계에서의 아미노산 효과와 관련된 보고는 소수이다. 본 실험에서는 먼저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군들의 첨가 농도가 PB 출현율, 배발달율 그리고 생산된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새로운 아미노산원으로 LA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을 위한 난포란은 도축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포로부터 회수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는 10% FBS가 첨가된 CRlaa 용액을 사용하였고, 실험1에서는 NEAA와 EAA(20$\mu l$/ml)군을 각각 $\times$l (NEAA:10$\mu l$/ml, EAA:20$\mu l$/ml), $\times$2 및 $\times$4를, 실험2에서는 LAH를 각각 1, 5 및 10 mg/ml를 첨가하였다. 체외수정은 fer-TALP 용액을, 체외배양은 CRlaa 용액을 배양 2일째까지는 0.3% BSA를, 그 이후에는 10% FBS와 난관상피세포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배양 8일째 확장배반포의 세포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중형광염색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X^2$-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 1에서 NEAA와 EAA 첨가 농도에 따른 PB 출현율은 $\times$l 첨가군(46.6%)이 대조군(29.9%)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정을, 8세포기 및 배반포까지 발달율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times$l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한편 ICM 세포수가 아미노산 첨가 농도의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times$4 첨가군($23.9 \mu 3.9$)이 대조군($14.8 \mu 2.5$)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 LAH 첨가에 따른 핵성숙율은 5mg 첨가군, 배반포까지 발달율은 1mg 첨가군(25.9%)이 각각 가장 높았다. 배양 8일째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 총세포수와 TE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ICM 세포수가 l0mg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 첨가가 배발달율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ICM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배지에 LAH 첨가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배발달율은 낮았지만 ICM 세포수는 증가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Glucose on Blastulation and Cell Counts of Blastocysts in Mice

  • Park, Sung-Baek;Kim, Ji-Chul;Park, Kee-Sang;Lee, Taek-Hoo;Chun, Sang-Sik;Song, Hai-Bum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8-118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ucose on embryonic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Two cell embryos were recovered from ICR female mice(3-4weeks) at 46~50 hrs after hCG 5 IU injection (mated just after hCG injection) and cultured in 50 $\mu m$ DMEM droplets supplemented with nothing (control: n=46), glucose 0.5mM (Group A; n=46) or glucose 3.15 mM(Group B; n=46) under mineral oil. All experimental media were supplemented with 20% human follicular fluid. Total blastocyst formation rates was lower (NS) in glucose groups (group A: 52.2% : B. 47.8%) than control group (60.9%). ZiB rates was the highest (P<0.05) in control (47.8%) than those in group A (21.7%) and B (28.3%). ZeB rates were the highest (NS) in group A (30.4%) than those in control (13.0%) and group B (19.6%). Blastocysts, cultured in group B (50.5), had the highest (NS) mean cell number compared with the others (control: 39.2 ; group A: (45.6). The ICM proportion (% ICM of total cells) in blastocysts cultured in group A (20.6%) was the highest (NS) than those of other tested groups (control: 15.2 ; group B: 13.9%). This study shows that a low dose of glucose added to culture medium increases the ICM proportion of blastocysts in mice.

  • PDF

Solving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for Ephemeral Keys in Chang and Chang Password Key Exchange Protocol

  • Padmavathy, R.;Bhagvati, Chakravarthy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3호
    • /
    • pp.335-346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iculty of sol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namely the DLP (Discrete Logarithm Problem) for ephemeral keys. The DLP is the basis for many public key cryptosystems. The ephemeral keys are used in such systems to ensure security. The DLP defined on a prime field $Z^*_p of random prime is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solve the DLP is the ICM (Index Calculus Method). In the present study, an efficient way of computing the DLP for ephemeral keys by using a new variant of the ICM when the factors of p-1 are known and small is proposed. The ICM has two steps, a pre-computation and an individual logarithm computation. The pre-computation step is to compute the logarithms of a subset of a group and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is to find the DLP using the precomputed logarithms. Since the ephemeral keys are dynamic and change for every session, once the logarithms of a subset of a group are known, the DLP for the ephemeral key can be obtained using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Therefore, an efficient way of solving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based on the newly proposed precomputation method is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is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set of experiments. The ephemeral keys are also solved by using other methods, which are efficient on random primes, such as the Pohlig-Hellman method, the Van Oorschot method and the traditional individual logarithm step.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newly proposed individual logarithm step of the ICM. Also, the DLP of ephemeral keys used in a popular password key exchange protocol known as Chang and Chang are computed and reported to launch key recovery attack.

A redshift survey of the nearby galaxy cluster Abell 2199: comparison of the spatial and kinematic distributions of galaxies and intracluster medium

  • 송현미;황호성;박창범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42.1-42.1
    • /
    • 2017
  • We present the results from an extensive spectroscopic survey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nearby galaxy cluster Abell 2199 (A2199) at z=0.03. By combining 775 new redshifts from the MMT/Hectospec observations with the data in the literature, we construct a large sample of 1624 galaxies with measured redshifts at R<30', which redsults in high spectroscopic completeness at $r_{petro,0}$<20.5 (77%). We use these data to study the kinematics and clustering of galaxies,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intracluster medium (ICM) from Suzaku X-ray observations. We identify 406 member galaxies of A2199 at R<30' using the caustic technique. The velocity dispersion profile of cluster members appears smoothly connected to the stellar velocity dispersion profile of the cD galaxy. The luminosity function is well fitted with a Schechter function at $M_r$<-15. The radial velocities of cluster galaxies generally agree well with those of the ICM, but there are some regions where the velocity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about a few hundred kilometers per second. The cluster galaxies show a hint of global rotation at R<5' with $v_{rot}=300-600kms^{-1}$, but the ICM in the same region does not show such rotation. We apply a friends-of-friends algorithm to the cluster galaxy sample at R<60' and identify 32 group candidates, and examin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the galaxy groups and X-ray emission. This extensive survey in the central region of A2199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future studies of interplay among the galaxies, the ICM, and the dark matter in the clus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