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B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3초

Uncommon configuration of intercostobrachial nerves, lateral roots, and absent medial cutaneous nerve of arm in a cadaveric study

  • Rosemol Xaviour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4호
    • /
    • pp.570-574
    • /
    • 2023
  • The intercostobrachial nerve (ICBN) originates from the second intercostal nerve's lateral cutaneous branch, while the median nerve (MN) typically arises from the brachial plexus's lateral and medial roots. The medial cutaneous nerve of the arm, a branch of the medial cord of the brachial plexus, often connects with the ICBN. Variations were observed during the dissection of a 50-year-old male cadaver, including MN having two lateral roots (LR), LR1 and LR2, joining at different levels. Three ICBNs innervated the arm in this case, with the absence of the medial cutaneous nerve of the arm compensated by branches from the medial cutaneous nerve of the forearm. Understanding these anatomical variations is crucial for surgical procedures like brachioplasty, breast augmentation,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nd orthopedic surgery. Surgeons and medical professionals must be aware of these variations to enhance preoperative planning, minimize complications, and improve patient outcomes in these procedures.

균류의 새로운 명명 규약과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 (Introductions of the New Code of Fungal Nomenclature and Recent Trends in Transition into One Fungus/One Name System)

  • 홍승범;권순우;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77
    • /
    • 2012
  • 곰팡이의 명명을 규정하는 규약이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ICBN)'에서 '국제 조류, 균류, 식물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CN)'으로 바뀌게 되었다(2011.7). ICBN에서 ICN으로 바뀌게 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지만 가장 큰 변화는 곰팡이의 이중명명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는다(2013. 1)는 것이다. 새로운 이름을 가질 곰팡이는 이 규칙에 따라 명명하면 되지만 문제는 2013년 1월 1일 이전에 완전세대와 불완전 세대에 근거하여 두 개의 이름을 이미 가지고 있는 10,000-12,000개의 곰팡이의 경우이다. 우선 ICN에는 이에 대한 혼란을 막기 위해서 2013년 1월 1일 전에 이전의 명명규약에 의하여 보고된 학명은 유효성과 합법성을 유지한 채 우선권의 원칙에 따라 서로 경쟁한다는 조항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결국은 세대에 관계없이 하나의 곰팡이 이름을 사용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세계 균학계는 곰팡이 분야별 작업반 또는 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배경, 경과,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이 외에도 전자출판이 유효출판으로 인정(2012.1)되게 되었고, 영어신종기술도 정당출판으로 인정되게 되었으며(2012. 1), 또한 신종의 학명과 필수정보를 공인정보저장소에 등록하는 것이 의무화 된다(2013. 1). 곰팡이의 새로운 명명규약과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국제 균학계의 움직임을 국내에 한글로 쉽게 소개하였다.

The Importance of Using Correct Names in Taxonomy - A Case Study of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nd Other Recent Published Literature in Korea

  • Chang, Kae Sun;Chang, Chin-S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24-530
    • /
    • 2009
  • We scrutinized the Korean taxonomic literature, with special focus on some nomenclatural points and four different cases were listed categorically. Several naked names (nomen nudum), invalidly published names, typographical and orthographical errors, incorrect use of hybrid names and authorship, and errors in the citation of the bibliographic references have appeared in newly published literature in Korea, due to misapplications of ICBN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Although literature review and synonyms are imperative and essential elements of taxonomic study, many author citations tend to be copied from one publication to another without any confirmation of the original sourc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scientists who have previously published careless work should be more careful, and they should be instructed to read original descriptions and to learn current practices in the code.

이창복 교수가 발표한 비합법명 (Invalid Names Published by T. B. Lee)

  • 김휘;이흥수;박하늘;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1-226
    • /
    • 2005
  • 1980년에 출간된 이창복교수의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에는 선만실용임업편람(鮮滿實用林業便覽), Mori의 조선식물명휘(朝鮮植物名彙), 그리고 이창복교수의 여러 출전 문헌에서 언급된 비합법명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여전히 다른 신간 식물도감에서 이런 잘못된 학명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런 문제의 약 150여개 비합법명을 정리하여 출전별로 목록을 만들어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 언급된 이런 비합법명은 더 이상 문헌에서 인용하거나 언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산 돌나물속 Telephium 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dum Section Telephium in Kore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1-24
    • /
    • 199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taxonomic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up to now in the study o section Telephium, genus, Sedum: the delimitation of taxa belong to Telephium group, their relationship, and nomenclatural confusion and the rank of Telephium group. Specimens were collected at 19 sites in Korea. The habitat, distributi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abit, leaf shape, phyllotaxy, inflorescence, color of floral organs, floral formula, carpel, capsule, and micro-characters of pollen, seed coat, stigma and anther with SEM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delimitation of taxa that belong to section Telephium i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Nomenclatural errors were corrected. In S. rotundifolium Lee, species epithet“rotundifolium”is later homonym of s. rothundifolium Lamarck, so corrected to S. duckbongii Chung and Kim by article 64 of ICBN. Phyllotaxy was elucidated to meaningless, character in sect. Telephium. S. taquetii was a separate species from S. viridescens and not of its synonym. S. alboroseum Baker in Korea was S. erythrostictum sensu Master not of S. erythrostictum Miquel. By this study , taxa of sect. Telephium in Korea were arranged to 7 species. Considering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sect. Telephium, S. duckbongii and S. alboroseum are considered to be more advanced forms and S. viridescens, S. taquetii, and S. viviparum to be more primitive forms among 7 species.

  • PDF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국내 목본식물의 학명 (Overlooked and invalidly published names of Korean woody plants)

  • 장진성;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71
    • /
    • 2002
  • 선만실용임업편람(鮮滿實用林業便覽) 및 Mori의 한선식물명휘(韓鮮植物名彙)에 실린 Nakai의 많은 나명들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식물도감에서 지속적으로 잘못 사용하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일부 국내학자들에 의한 새로운 조합명도 기본명이 발표된 문헌과 저자, 발표년도 등에 대한 기재가 없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종기재시 요구되는 기재와 표징뿐 아니라 기준표본에 대한 언급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거나 혹은 문헌상으로만 기준표본이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기준 표본을 보관하지 않은 식물명은 모두 나명이거나 혹은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들이다. 이러한 학명들은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이름들이다. 목본식물 중 이전의 문헌에서 간과하기 쉬운 비합명을 정리한 본 연구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초본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시도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