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can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41초

그림의 부호화 과정과 신경기제 : fMRI 연구 (Neural Substrates of Picture Encoding: An fMRI Study)

  • 강은주;김희정;김성일;나동규;이경민;나덕렬;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3권1호
    • /
    • pp.23-40
    • /
    • 2002
  • 본 연구는 fMRI를 이용하여 정상인에 있어서 자극 유형, 특히 그림 자극의 부호화와 관련된 두뇌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can 1에서는 그림 자극의 부호화 과정에 관여하는 두뇌 영역을 화인하기 위하여 어의범주 판단 과정 중에 그림과 단어에 대하여 비교 관찰하였으며 Scan 2에서는 그림자극에 대하여 그림 명명과제와 어의범주 판단과제를 비교하여 과제 유형에 따른 그림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두뇌 활성화 영역을 연구하였다. 피험자는 어의범주(인공물/자연물)에 따라 마우스를 눌러 반응하거나(Scan 1) 그림명명이나 범주 소속 여부를 속으로 말하도록(subvocal response)(Scan 2) 요구되었다. 자극의 유형과 무관하게 부호화 중에 좌측 전전두 영역 양측의 두정엽, 그리고 양측의 고차시각 피질 등이 공통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그림보다 단어의 부호화에는 좌측 하 전전두엽, 우측 전측 전전두 영역, 양측의 도(insula), 좌측 두정-측두엽 등 광범위한 언어/개념관련 두뇌 영역에서 더 높은 활성화가 발견되는 반면, 그림의 부호화에는 양측의 고차 시각 영역과 해마방화(parahippocampal gyrus) 영역에서 더 높은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동일한 어의판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도 단어는 어의적/언어적 처리가 그림은 지각적 정보처리 및 novelty 관련 정보처리가 서로 다른 해부학적인 영역에 의하여 매개됨을 의미한다. 그림 명명과제나 어의범주 판단과제 모두를 속으로 말하는 수행(Scan 2)은 배측 하 전전두 영역, 즉 Broca영역의 활동 증가를 야기시켰으며, 특히 명명과제 수행에는 어의범주 판단과제를 수행할 때에 비하여 양측의 시각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상의 명칭을 인출하는 과정에 고차 시각정보 처리가 더 많이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양성자 치료에서 Moving Phantom을 이용한 Single Scan PBS와 Layered Rescanning PBS의 선량비교 (Comparison of Doses of Single Scan PBS and Layered Rescanning PBS Using Moving Phantom in Proton Therapy)

  • 김경태;김선영;김대웅;김재원;박지연;전상민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2019
  • 목 적: 움직이는 장기에 취약한 Pencil Beam Scanning(PBS)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Layered Rescanning PBS 기법을 Moving Phantom에 적용하여 Single Scan PBS와 선량비교를 통해 Homogeneity를 비교해 본다. 대상 및 방법: Matrix X(IBA, Belgium)와 Moving Phantom(standard imaging, USA)을 이용하였다. 가상의 tumor $10{\times}10{\times}5cm$에 AP 방향에서 200 cGy의 선량을 조사하였다. 치료계획은 single scan PBS, rescan 4, 8, 12회 총 4가지로 하였고 각 치료계획별로 3번씩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시 Moving Phantom의 호흡주기는 한 cycle당 4초로 설정 후 S-I 방향 움직임 2 cm으로 설정하였다. 추가로 beam on time을 측정하였다. 결 과: PTV 내에서 $D_{max}$의 평균값은 single scan, 4, 8, 12회 rescan 순서로 각각 $246.47{\pm}18.8cGy$, $223.43{\pm}8.92cGy$, $222.47{\pm}7.7cGy$, $213.9{\pm}6.11cGy$ $D_{min}$의 평균값은 각각 $165.53{\pm}4.32cGy$, $173.13{\pm}11.94cGy$, $184.13{\pm}8.04cGy$, $182.67{\pm}4.38cGy$으로 $D_{mean}$ $192.77{\pm}6.98cGy$, $196.7{\pm}4.01cGy$, $198.17{\pm}4.96cGy$, $195.77{\pm}3.15cGy$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rescan 횟수가 늘어날수록 Homogeneity Index가 1에 가까워졌으며, beam on time은 평균 2분 15초, 3분 15초, 4분 30초, 5분 37초로 rescan 횟수가 증가할수록 치료시간이 증가되었다. 측정하는 과정에서 MU가 낮은 선량 layer에서는 설정한 rescan 횟수만큼 실제로 rescan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결 론: 장기 움직임이 있는 종양 치료 시 Layered Rescanning PBS을 적용했을 때 single scan PBS보다 균일한 선량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rescan 횟수가 증가할수록 균일한 선량분포를 보였다. single scan PBS와 12회 Layered rescanning 비교 시 HI 수치가 0.32 향상되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호흡동조 방사선치료가 불가능환자에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etermination of Scattered Radiation to the Thyroid Gland in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Wilson Hrangkhawl;Winniecia Dkhar;T.S. Madhavan;S. Sharath;R. Vineetha;Yogesh Chhaparwal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8권1호
    • /
    • pp.15-19
    • /
    • 2023
  • Backgrou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s a specialized medical equipment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iagnosis of oral and maxillofacial diseases and abnormalities; however, it is attributed to risk of exposure of ionizing radia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and determine the amount of scattered radiation dose to the thyroid gland in dental CBCT during maxilla and mandible scan. Materials and Methods: The average scattered radiation dose for i-CAT 17-19 Platinum CBCT (Imaging Sciences International) was measured using a Multi-O-Meter (Unfors Instruments), placed at the patient's neck on the skin surface of the thyroid cartilage, with an exposure parameter of 120 kVp and 37.07 mAs. The surface entrance dose was noted using the Multi-O-Meter, which was placed at the time of the scan at the level of the thyroid gland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neck. Results and Discussion: The surface entrance dose to the thyroid from both jaws scans was 191.491±78.486 µGy for 0.25 mm voxel and 26.9 seconds, and 153.670±74.041 µGy from the mandible scan, whereas from the maxilla scan the surface entrance dose was 5.259±10.691 µGy. Conclusion: The surface entrance doses to the thyroid gland from imaging of both the jaws, and also from imaging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lone were within the threshold limit. The surface entrance dose and effective dose in CBCT were dependent on the exposure parameters (kVp and mAs), scan length, and field of view. To further reduce the radiation dose, care should be taken in selecting an appropriate protocol as well as the provision of providing shielding to the thyroid gland.

A technique to expand the I/O of the PLC Using remote I/O module

  • Suesut, Taweepol;Kongratana, Viriya;Tipsuvannaporn, Vittaya;Kulphanich, Supha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9년도 제14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61-64
    • /
    • 1999
  • In this paper, a technique to expand the Input and Output (I/O) of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using remote I/O module is presented. The controller and the remote I/O module should have the same protocol and are interfaced through RS 485. Each remote I/O module consists of 16 digital input and 16 digital output, and the maximum of 32 remote I/O module can be linked to one controller. The remote I/O is programmed for interrupt request to controller independently. Therefore, there is no affect to the scan time of the controller. Using this technique, the PLC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several hundred meters different control points such as the ON-OFF control fur the agriculture farm,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a multi group of machine control.

  • PDF

DCT에서 유효계수와 Zero계수를 이용한 영상 압축 (Image Compression using Validity and Zero Coefficients by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 김장원;한상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97-10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56{\times}256$ 입력영상을 압축을 위하여 $8{\times}8$ 블록의 유효 블록과 에지 블록으로 나눈다. 유효 블록에 대해서는 유효계수인 DC계수에 대해서만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한다. 에지 블록에 대해서는 양자화 계수가 0이 되는 위치를 예측하고, 축소된 영역 내에서 DCT를 수행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제안한 알고리즘은 FDCT(Forward DCT)와 IDCT(Inverse DCT)의 계산 량을 줄여 부호화 시간과 복호화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허프만 부호화 시에도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분류된 블록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수평 수직 지그 재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압축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은 분류된 블록 특성에 적합한 수평 수직 지그재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Run-Length를 줄이고, 그로 인해 향상된 압축률을 제공한다.

  • PDF

대규모 VOD서버에서의 DISK I/O SUB SYSTEM의 구현 (Implementation of Disk I/O Sub System in Large Scale Video On Demand Sewer)

  • 선창우;최경희;정기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3-1056
    • /
    • 1999
  • Video On Demand servers generally require massive disk storages for storing many video data.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topics of efficient allocation of movies in disks. This paper, We describe efficient disk placement techniques and implement storage system with SCSI and PCI Bus interface for efficient data handling. This paper also proposes a logical zone reconstruction method for the SCAN data placement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 reconstructs physical zones into logical zones by split and merge operations.

  • PDF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 기능 탐색 (Delineating CBD and Subcentres and Detecting Specialized Areas in that Central Places of Seoul)

  • 서민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5-298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의 중심업무지구와 부심을 설정하고 그 기능적 특징을 비교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서울 도심 설정 연구에 대하여 두 가지 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기존 연구는 대부분 자료 구득 상의 어려움 때문에 도심 지역이라고 여겨지는 범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늘 중심업무지구의 범위는 가설적인 도심 지역을 벗어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도심은 물론 부심까지 동시에 설정하였다. 두번째는 이 자료를 공간 스캔 통계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심 범위 설정에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 도심은 기존 연구에 비해 동쪽으로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쪽으로는 다소 축소되어 있었다. 또한 도심과 부심의 특화지역을 분석한 결과 도심은 중추 행정, 도매업이 발달하고 강남 부심은 대기업, 사무실, 병원이 발달하여 보다 근대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