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F Curv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Box-Cox 변환에 의한 I-D-F 곡선의 평활화 (The Smoothing of Rainfall Intensity - Duration - frequency Relationships curve by the Box-Cox Transformation)

  • 이희창;성기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53-159
    • /
    • 2003
  • I-D-F곡선을 유도할 때 강우자료의 보유연한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지속시간별 강우강도의 변화가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곡선에서, 상대적인 장시간에 강우강도가 크게 되는 문제는 실무적으로 I-D-F 곡선을 이용하는데 큰 혼란을 야기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를 Box-Cox변환을 이용하여 지속시간과 강우강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산청과 영천의 강우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Box-Cox 변환의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유역의 Fwl-D-F 곡선 산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Fwl-D-F curves for Urban Basins)

  • 최현일;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87-2692
    • /
    • 2010
  • 과거 홍수량 분석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홍수량-지속시간-빈도곡선(flood-duration-frequency curves)의 연구가 국외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수문자료는 하천의 특정지점에서 홍수량 자료 보다는 수위자료를 쉽게 수집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홍수에 따른 홍수위험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곡선(Ind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을 응용한 홍수위-지속시간-빈도곡선(flood water level-duration-frequency curves: Fwl-D-F)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한강수계 중량천의 중량교 지점으로 18년간의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Fwl-D-F곡선을 산정하였다. 홍수위에 대한 지속기간별 빈도곡선인 Fwl-D-F 곡선은 특정한 홍수위에 따른 값을 빈도개념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내수침수를 포함한 홍수예보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특정 호우사상에 대한 강우량이 예측되면 작성된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곡선(I-D-F곡선)과 Fwl-D-F곡선을 연계하여 임의 관측지점의 수위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점 강우모형과 강우강도-지속기간-생기빈도 해석 (A Point Rainfal1 Model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 유철상;김남원;정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577-58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하여 I-D-F 곡선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강우모형의 구조를 고려하여 유도되는 I-D-F 곡선은 관측 강우의 1차원 및 2타원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추정된 매개변수에 의해 그 형태가 결정되므로 년최대치계열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1-D-F 곡선에 비해 비정상적인 강우사상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지점에 적용되었으며 이때. 유도 된 I-D-F 곡선은 년최대치계열을 이용하여 유도된 I-D-F 곡선과 비교함으로서 그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속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첩확률은 아주 크게 증가한다. 그러나, 중첩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정도는 지속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 중첩을 고려하는 경우, 특히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이 긴 경우에, 강우강도의 증가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깅 우강도의 계산 시 추정된 중첩확률과 재현기간을 함께 고려함으로 생기는 당연한 결과이다. 아울러, 서울과 인천지점의 비교에서는 서울지점의 경우가 중첩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정된 중첩확률의 차이, 보다 궁극적으로는 구형펄스모형의 매개변수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형펄스 모형은 강우의 군집특성을 고려하지 못함으로 유도된 I-D-F 곡선도 전체적으로 년최대치를 이용한 I-D-F 곡선에 비해 작은 강우강도를 나타내었었다. 그러나 각 곡선의 전체적인 형태는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우의 군집특성을 고려하는 강우모형을 사용할 경우 보다 나은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후변화가 극한강우와 I-D-F 분석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Extreme Rainfall and I-D-F Analysis)

  • 김병식;김보경;경민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379-394
    • /
    • 2008
  • 최근 수공시설물의 설계규모를 넘어서는 극한 강우사상이 발생하여 홍수방어를 위하여 구축된 수리구조물이 파괴 되는 등 많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극한 강우사상의 시공간적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미래의 기후변화하에서 극한강우사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설계수명기간(Design period)동안 분포 특성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의 극한강우의 특성 분석과 I-D-F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RES B2 온난화가스 시나리오와 YONU CGCM 를 이용하여 2030s(2031-2050)를 모의하였으며 통계학적 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에 위치한 기상청 산하 관측소별로 일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과거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Quantile Mapping 방법으로 편이보정을 실시하였고, 구형펄스(Modified Bartlett Lewis Rectangular Pulse, MBLRP) 모형(Onof과 Wheater, 1993; Onof 2000)과 분해기법(adjust method)을 적용하여 일 강우 시계열자료를 시 강우 시계열 자료로 변환하였으며 지속기간별 빈도별 강우량을 산정하여 I-D-F 곡선을 작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66개 관측소 중에서 서울, 대구, 전주, 광주 지점의 결과만을 수록하였으며 그 결과 거의 모든 지점에서 현재와 비교하였을 때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강우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IMATES FOR SCHRÖDINGER MAXIMAL OPERATORSALONG CURVE WITH COMPLEX TIME

  • Niu, Yaoming;Xue, Ying
    • 대한수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89-111
    • /
    • 2020
  • In the present paper, we give some characterization of the L2 maximal estimate for the operator Pta,γf(Γ(x, t)) along curve with complex time, which is defined by $$P^t_{a,{\gamma}}f({\Gamma}(x,t))={\displaystyle\smashmargin{2}{\int\nolimits_{\mathbb{R}}}}\;e^{i{\Gamma}(x,t){\xi}}e^{it{\mid}{\xi}{\mid}^a}e^{-t^{\gamma}{\mid}{\xi}{\mid}^a}{\hat{f}}({\xi})d{\xi}$$, where t, γ > 0 and a ≥ 2, curve Γ is a function such that Γ : ℝ×[0, 1] → ℝ, and satisfies Hölder's condition of order σ and bilipschitz conditions. The authors extend the results of the Schrödinger type with complex time of Bailey [1] and Cho, Lee and Vargas [3] to Schrödinger operators along the curves.

구형펄스 모형과 분해기법을 이용한 시간단위 이하 I-D-F 곡선 작성에 관한 연구

  • 김병식;이정기;임주호;하성룡;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1-341
    • /
    • 201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호우의 발생으로 도시유역에서의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유역에서의 설계홍수량 산정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도시유역에서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I-D-F 곡선을 이용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시간단위 이하의 관측강우량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신뢰성 있는 시간단위 이하의 설계강우량 산정에 많은 불확실성을 지니고 있다.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자연유역에 비해 강우발생시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이 한 시간 이하이기 때문에 극한 강우사상 즉,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 할 경우 시간단위 이하의 강우강도를 이용한 유출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 강우발생기법을 통해 시간단위 강우시계열자료를 확충한 후 분해기법을 통해 시간단위이하강우를 생성하였다. 이를 위해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모형과 Cascade 분해 기법을 이용하여 5분단위 강우량자료를 모의발생 하였다. 또한 모의치와 관측치를 재현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 PDF

I-D-F곡선 유도 시 짧은 지속기간(20분, 30분, 40분, 50분) 강우자료 누락에 따른 강우강도 차이 고찰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Rainfall Intensity According to the Omission of Short-Term (20, 30, 40, 50 Minutes) Rainfall Data in Inducing I-D-F Curves)

  • 이희창;성기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465-475
    • /
    • 2020
  •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5개 대도시와 그 외 산청과 영천지점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Box-Cox변환기법에 의한 I-D-F곡선을 유도하였다. Box-Cox변환기법의 실용성은 여러 학문분야에서 검증받은 기법으로 분석 자료가 일반 빈도해석을 수행하기에 부족하여 적절한 확률밀도함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에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적용성 측면에서 전통적인 빈도해석 방법보다 확장성이 크다. 전술한 7개 지점의 전체지속기간 강우자료(10분~1440분)와 짧은 지속기간(20분, 30분, 40분, 50분) 강우자료가 누락될 경우의 강우강도를 비교했을 때 100년 빈도 이하 지속기간 10분~60분에서 -23.0~14.7 %의 상대오차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강우분석 시 짧은 지속기간(20분, 30분, 40분, 50분) 강우자료를 포함하여 I-D-F곡선을 유도함이 요구되며 짧은 지속기간(20분, 30분, 40분, 50분) 강우자료가 누락될 경우 소규모 수공구조물 설계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지점에 따라 기존의 여유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Sol-gel법에의한 BiDy-철 석류석의 합성 (The Growth of Magnetic DyBiIG by sol-gel Method)

  • 박춘만;이상훈;김승훈;장희동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6-40
    • /
    • 2003
  • D $y_{x}$B $i_{3-x}$F $e_{5}$ $O_{12}$(x=0.5,1.0,1.5,2.0) 가네트 박막을 sol-gel법의 일종인 Pechini법의 이용하여 $Al_2$ $O_3$, G $d_3$G $a_{5}$ $O_{12}$ (111) 평면에 성장시켰다. 단일 조성의 D $y_{x}$B $i_{3-x}$F $e_{5}$ $O_{12}$ 박막을 얻기 위한 열처리 온도는 기판의 종류에 의존하며, 박막과 같은 구조의 G $d_3$G $a_{5}$ $O_{12}$ (111) 기판의 경우 A1$_2$ $O_3$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단일 조성을 얻기 위한 열처리 온도가 약 5$0^{\circ}C$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G $d_3$G $a_{5}$ $O_{12}$ (111) 기판 위에 성장된 가네트 박막의 낟알들은 대부분 기판과 같은 [111] 방향으로 정렬하며, 이 경우 박막의 자기 이력 곡선은 5000 Oe 이상에서도 포화 자기화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회전 자기화 과정 (rotation magnetization process)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Pechini 법으로 성장시킨 D $y_{x}$B $i_{3-x}$F $e_{5}$ $O_{12}$ 박막에서 단위 세포 당 최대 Bi 이온의 양은 2.0 이하임을 처음으로 확인하였고, 이는 LPE법에 의해 성장된 단결정 가네트의 경우에 알려진 최대 Bi이온의 양 2.3보다 작은 값이다.에 알려진 최대 Bi이온의 양 2.3보다 작은 값이다.은 값이다.

재단각도 변화에 따른 오그림에 관한 연구 (제 2보) -소매산높이에 따른 각도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Easing contraction made by different angles(Part II) -About variations of sleeve cap curve lines-)

  • 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3-360
    • /
    • 1999
  • An investigation made of the variations of angle of bias on the top of the sleeve cap curve line and calculated easing contraction ratio by capheights(A ; a,h$\times$5,/6) B: A, H/4 +4cm C:A.H/3 D: A.H/ 4+3cm E:AH/4+2cm, F: A,H/4+1cm, G: A,H/4, H:A,H/6, I:A,H/8) and the efects of easing contraction on the cap curve lines of sleeve A, D, G by easing stitch density with the gathering foot: sewing condition-lockstitch industrial machine stitch density(N1.0 ; 38stitches/3cm N1.5: 26stitches/3cm, N2.0 ; 19stitches/3cm, N2.5 ; 14stitches/ 3c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variations of the angle of bias on the top of the sleeve cap curve line by cap heights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angle balance (front; $\alpha$-$\beta$ back ; $\alpha$'- $\beta$') between the angle (front ;$\alpha$, $\beta$, back ; $\alpha$'- $\beta$') of bias of the two base-lines. 2) The higher cap height the more higher the calculated easing contraction ratio. 3) The lower the stitch density the higher easing contraction ratio. 4) The effects of easing contraction was that sleeve G was more than sleeve A, D.

  • PDF

한국 근해 수온의 주기적 변화(I) 남해의 거문도해역 표면수온 년주변화 및 영년변화 (Periodic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eas Around Korea(I) Annual and Secular Variation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Kumun-Do Region, Southern Sea of Korea)

  • 한상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3
    • /
    • 1970
  • Ten days and monthly mean temperatures were analysed daily data observed during July, 1916 to March, 1970 statistically. Periodic characters were calculated by Δn, new method of approximate solution of Schuster Method. According to ten days mean temperatures, annual variation function is F($\theta_d$)=16.29-5.27 cos $\theta_d$+0.75 cos2 $\theta_d$-3.14 sin $\theta_d$+1.16 sin2 $\theta_d$-0.63 sin $\3{theta}_d$, where $\theta_d$=$-\frac{\pi}{18}$(d-3), d is the order of ten days period, 1 to 36. Annual mean water temperature is 16.3$^{\circ}C$, minimum in the last ten days of February 10.9$^{\circ}C$, maximum in the last ten days of August 24.5$^{\circ}C$. Periodic character of secular variation shows 11 year and its curve is F($\theta_y$)=16.29+0.53 cos $\theta_y$ -0.16cos $2{\theta}_y$+0.10 cos$3{\theta}_y$-0.10 sin $\theta_y$, where $\theta_y$=2$-\frac{2\pi}{11}$(y-1920), y is calendar year. And the 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x and water temprature y is following. y=9.67 1.035$\^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