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131 therap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4초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腺機能亢進症)의 내과적(內科的) 치료효과(治療效果) - 방사성동위원소(放射性同位元素) ($^{131}I$)치료(治療)와 항갑상선제(抗甲狀腺劑) 치료(治療)의 비교검토(比較檢討) - (Medical Therapeutic Effect of Hyperthyroidism - Comparison of antithyroid therapy and $^{131}I$ Therapy -)

  • 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5-40
    • /
    • 1980
  • In order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 as well as side effects between antithyroid therapy and radioiodine therapy in hyperthyroidism, the author evaluated 111 cases of hyperthyroidism which were composed of 57 patients with antithyroid treatment, 23 patients with combined treatment comprising of antithyroid and radioactive iodine ($^{131}I$) and 31 patients with treatment of $^{131}I$ alone. The $^{131}I$ treatment was limited to older age, above 20 years of age, and not employed in patients with pregnancy and lactation. The patients treated with antithyroid belonged to relatively younger age, and also milder in symptoms and thyroid function tests. The remission rate of antithyroid therapy group was 97.8% within 16 months. Among them the early remission rate occured within 4 months was found to be 21.7%. The combined therapy group, having prescribed more severe cases, showed the remission rate to be 75% within 16 months. The remission rate of $^{131}I$ therapy group revealed 90.9% within 16 months. Among them the early remission rate taking place within 4 months disclosed 16.7%. The side effects of antithyroid drug, propylthiouracil, were noted as follows: itching (2.7%) skin rashes (1.3%), and adverse enlargement of goiter (10.7%). The side effects $^{131}I$ therapy were transient hypothyroidism(3.9%) permanent hypothyroidism (7.8%) and itching (2.0%).

  • PDF

갑상선 분화암 수술 후 저용량 방사성 옥소(I-131)요법 (Low-dose Radioactive I-131 Therapy after Total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최정진;정성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4-219
    • /
    • 1998
  • Objectiv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low-dose(30mCi) I-131 ablation therapy for remnant thyroid tissue following total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Methods: Between March 1995 and December 1997, forty-eight patients were given ablative doses(30mCi) of I-131 after total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n the presence of I-131 uptake in remnant thyroid tissue. Effective ablation of remnant thyroid tissue was determined by following I-131 whole body scan. if remnant thyroid tissue remained, we repeated the same management at 6 months interval. Results: Thirty-eight(79.1%) patients had papillary, 8(16.7%) follicular, 1(2.1%) medullary and 1(2.1%) Hurthle cell type cancer. Forty-eight patients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mong those central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in 35 cases, and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in 14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 developed in 8 cases, which included 4 cases of transient hypoparathyroidism, 1 case of permanent hypoparathyroidism, 2 cases of transient recurrent laryngeal nerve palsy, and 1 case of wound hematoma. There were significant remnant thyroid tissue in 46 cases(95.8%) of patients after total thyroidectomy, which could be ablated by low dose(30mCi) I-13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operative procedures and number of treatment of I-13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peated low-dose(30mCi) I-131 therapy would be needed, therefore, high -dose I-131 therapy could be considered as ablation therapy for the remnant thyroid tissue after total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PDF

진단적 방사성옥소 전신스캔이 음성인 갑상선 재발암의 진료 (Management of Recurrent Thyroid Carcinoma with Negative Diagnostic Radioiodine Whole-Body Scan)

  • 정준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7-124
    • /
    • 2001
  • Serum thyroglobulin measurement and I-131 whole-body scintigraphy (WBS) are well-establishe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recurrence in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However, inconsistent results are observed frequently, and these two methods are not always able to detect recurrence. In some patients, serum thyroglobulin level is elevated but the WBS is negative, because the recurrent tumor is too small and below the sensitivity of the diagnostic scan, or there is a dissociation between thyroglobulin synthesis and the iodine frapping mechanism. In such cases, various nuclear imaging methods including Tl-201 Tc-99m-sestamibi, and F-18-FDG PET can be used besides anatomical imaging methods. Among them, FDG PET localizes recurrent lesions in WBS-negative thyroid carcinoma with high accuracy.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mpirical high-dose I-131 therapy resulted in a high rate of visualization in post-therapy scans with evidence of subsequent improvement. An important question is when to operate on patients with recurrent tumor. We believe that surgical removal is the best means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localized persistent tumor, despite the high-dose I-131 therapy. with tumor in thyroid remnant, and with isolated recurrence in the lymph node, lung or bone. In addition, we recommend palliative resection of locally unresectable mass with subsequent treatment with high-dose I-131 therapy. Before I-131 therapy, the evaluat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expression in thyroid carcinoma can predict iodine uptake. Retinoic acid is known to induce redifferentiation, and to enhance I-131 uptake in thyroid carcinoma. Retinoic acid therapy may represent an alternative approach before high-dose I-131 therapy.

  • PDF

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I-131 치료에 의해 유도되는 방사선적응반응 (Radiation Adaptive Response Induced by I-131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이명호;범희승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3-88
    • /
    • 200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분화갑상선암 환자에서 치료용량의 방사성옥소(I-131)를 섭취한 후 말초혈액 림프구에서 방사선적응반응이 유도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분화갑상선암에 대한 I-131 치료를 시행한 21명의 환자(남자 7명, 여자 14명, 평균연령 $55{\pm}12$세)를 대상으로 I-131 투여전과 5,550 GBq (150 mCi) 투여 후 72 시간에 각각 5 ml씩 채혈하여 배양하고, 배양 70 시간 후에 Cs-137 세포조사기를 사용하여 1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I-131 치료 후 채혈한 혈액 중 일부는 배양 68 시간째에 단백합성억제제인 cycloheximide (CHM) $10{\mu}g/ml$을 첨가하고 2시간 후에 2차례 세척한 다음 1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염색체 이상을 동반하는 유전병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 10명(남자 6명, 여자 4명, 평균연령 $43{\pm}7$세)에서 분리한 림프구를 이용하였다. 환자군 중 I-131 치료 전에 채혈한 군과 I-131 치료 후 채혈한 군, 그리고 대조군을 각각 1 Gy를 조사하지 않은 군과 조사한 군으로 나누어 불안정 염색체를 계수한 다음 불안정염색체의 출현빈도를 나타내는 Ydr값을 구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대조군과 I-131 치료전 환자군에서 Ydr값은 $0.08{\pm}0.01$$0.09{\pm}0.0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I-131 치료 후에는 환자군의 Ydr값이 $0.13{\pm}0.02$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혈액에 1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더니 Ydr값이 대조군과 환자군의 림프구에서 1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더니 Ydr값이 대조군에서는 $0.24{\pm}0.01$이고, I-131 치료전 환자군에서는 $0.21{\pm}0.02$, 치료후 환자군에서는 $0.17{\pm}0.03$로 대조군에 비해 치료전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치료후 환자군은 대조군과 치료전 환자군에 비해 더욱 낮았다. 증가치는 대조군 $0.16{\pm}0.01$, 치료전 환자군 $0.12{\pm}0.03$, 치료후 환자군 $0.03{\pm}0.02$로 치료후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I-131 치료후 환자군에 CHM을 처치하고 1 Gy의 외부감마선을 조사한 경우에는 Ydr값이 $0.20{\pm}0.05$으로 CHM을 처치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고선량의 I-131을 투여한 환자의 림프구에서 방사선적응반응이 유도됨을 알 수 있었고, 이 반응에는 단백질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 재발된 신경모세포종 3예에서 131I-MIBG의 고식적 치료 효과 (Palliative effect of 131I-MIBG in relapsed neuroblastoma afte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용직;하정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214-218
    • /
    • 2008
  • 신경모세포종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흔한 두개외 고형 종양 중 하나로서 진행된 경우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재발이 잘 되어 예후가 매우 나쁘다. Iodine-131 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는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신경모세포종 4기 환자를 위한 대증적 치료 요법으로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저자들은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 재발된 신경모세포종 3례에서 $^{131}I-MIBG$를 이용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생존 기간을 늘이는 고식적인 치료 효과를 얻어 이들에 대한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

방사성 옥소 치료 후 분화된 갑상선암 추적관찰에서 Thallium-201 스캔, Tc-99m MIBI 스캔과 I-131 스캔 검사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allium-201, Tc-99m MIBI and I-131 Scan in the Follow-up Assessment after I-131 Ablative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권재성;이성근;김도민;박세종;장경순;김은실;김종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3-501
    • /
    • 1999
  • 목적 : 분화된 갑상선암에서 암 절제술 및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추적관찰 중 재발이나 전이병소를 찾기 위한 효과적인 검사 방법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T1-201 스캔, Tc-99m MIBI 스캔, I-131 스캔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화된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및 방사성 옥소로 치료 후 추적관찰 중 국소 재발 또는 전이로 생각되어 한번이상의 방사성 옥소 재 치료를 시행한 20명(총 33예)의 환자를 대상하여 T1-201 스캔, Tc-99m MIBI 스캔, 진단적 및 치료적 I-131 스캔을 시행하여 각 스캔에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갑상선글로불린을 측정하였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검사로 암의 재발 및 전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4가지 검사의 비교에서 병소를 발견할 수 있는 양성률은 Tc-99m MIBI 스캔, T1-20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 치료적 I-131 스캔에서 각각 70% (19/27), 54% (15/28), 35% (17/48), 63% (30/48)였다. T1-201 스캔과 I-131 스캔을 같이 시행한 군(20 예, 28병소)에서는 병소의 양성률은 치료적 I-131 스캔, T1-20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 순으로 높았으나(71%, 54%, 36%), T1-201 스캔과 진단적 I-131 스캔간의 차이는 없었다(p>0.05). Tc-99m MIBI 스캔을 I-131 스캔과 같이 시행한 군(20예, 27병소)에 서는 Tc-99m MIBI, 치료적 I-13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의 순으로 높았고(70%, 52%, 33%), Tc-99m MIBI는 진단적 I-131 스캔보다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 후 추적 관찰에서 국소 재발 및 전이 병소를 찾는데 Tc-99m MIBI 스캔은 진단적 I-131 스캔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치료 전에 진단적 I-131 스캔을 시행하기보다는 갑상선 호르몬제를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Tc-99m MIBI 스캔을 시행한 후 결과에 따라서 치료용량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하고 치료적 I-131 스캔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즙분비가 있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I-131 치료 (Radioiodine Therapy in a Patient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ssociated with Breast Uptake; Hyperprolactinemia due to Empty Sella Syndrome)

  • 배문선;박찬희;서정호;김경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3
    • /
    • 1998
  • 진단적 I-131 스캔에서 유방의 섭취는 주로 수유 여성에서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나 수유 여부와는 관련 없이 나타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갑상선 암으로 갑상선 절제술 후 I-131 치료를 위해 시행한 진단적 스캔에서 유방의 섭취를 보인 환자에서 고프로락틴 혈증에 의한 유류증의 발견 및 이를 근거로한 뇌 단층 촬영상 Empty sella가 진단되어 이를 bromocriptine으로 치료한 후, 유방 섭취의 소실이 확인 되어 I-131 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재발한 악성 갈색세포종 환자에서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치료 후 $^{131}I$-MIBG와 $^{18}F$-FDG PET/CT 영상의 차이점 (A Discrepancy between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Scintigraphy and $^{18}F$-FDG PET/CT after $^{131}I$-MIBG Therapy in a Patient with Recurred Malignant Pheochromocytoma)

  • 김근호;김성민;서영덕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82-587
    • /
    • 2009
  • A 59-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malignant pheochromocytoma underwent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18}F$-FDG PET/CT). She had undergone left adrenalectomy for pheochromocytoma 4 years previously. Recent multiple metastatic pulmonary nodules were noted on the chest X-ray. After treatment with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with 7.4 GBq, post-therapy $^{131}I$-MIBG scintigraphy depicted multiple distant metastases including lung, liver, abdominal para-aortic and mesenteric lymph nodes. $^{18}F$-FDG PET/CT also depicted multiple metastases in lung, liver, and abdominal para-aortic lymph nodes, but some lesions were not shown. In this case, $^{131}I$-MIBG scintigraphy found additional lesions in metastatic malignant pheochromocytoma.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후 잔여갑상선조직 및 전이병소의 진단: Tc-99m Pertechnetate 스캔과 고용량 옥소 치료 후 I-131 스캔의 비교 (Detection for Residual Thyroid Tissue and Metastatic Lesion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between Tc-99m Pertechnetate Sean and High Dose I-131 Therapy Sean)

  • 이주령;안병철;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7
    • /
    • 2003
  • 목적: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잔여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 병소를 찾기 위해서는 진단적 I-131 스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I-131 스캔은 갑상선 호르몬 중지가 필요하고, 방사성 옥소 투여후 $2{\sim}3$일에 영상을 얻어야 하며, 기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Tc-99m 스캔은 검사가 용이하고 영상의 질이 좋아 진단적 I-131 스캔을 대체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시행한 I-131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치료전 시행한 Tc-99m 스캔의 진단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 135명을 대상 (여: 114, 연령: $45{\pm}15.3$세)으로 하였고, 방사성옥소 치료 병력이 있는 환자는 23명 (1회 16명, 2회 4명, 3회 3명)이었다.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4주간 중단한 후 370 MBq의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 한 20분 후에 전경부의 평면 및 바늘구멍 Tc-99m 스캔 영상을 얻었고, $3.7{\sim}7.4GBq$의 I-131 옥소를 경구 복용한 3일후 전경부 평면 및 바늘구멍 I-131 스캔 영상을 얻었다.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은 최대 7일 간격 이내에 시행되었다. 영상의 판독은 두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함께 합의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섭취여부 및 섭취부위의 개수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모두는 혈청 TSH는 30 mlU/L 이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상태에 있었다. 전체 환자 135명 가운데 65명 (48.1%)에서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두 스캔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환자 가운데 23명 (35.4%)은 Tc-99m 스캔에서는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된 경우이며, 42명 (64.6%)은 Tc-99m 스캔보다 I-131 스캔에서 전경부 옥소 섭취부위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이 없는 환자 112명 가운데 51명 (45.5%)은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가운데 Tc-99m 스캔에서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던 11명 가운데 9명 (81.8%)은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되었다. 수술후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전체 23명은 Tc-99m 스캔상 전경부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 중 14명 (60.9%)은 I-131 스캔에서 전경부의 옥소 섭취부위가 나타났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갑상선조직이나 전이병소를 평가시 Tc-99m 스캔은 고용량의 방사성 옥소 치료후 얻은 I-131 스캔을 기준으로 볼때 진단적 예민도가 낮았으며, 특히,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을 가진 환자의 경우, 진단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이성 분화 갑상선암에서 200mCi 방사성 옥소 치료효과 평가를 위한 혈청 Thyroglobulin 추적검사와 전신스캔의 의의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 with Serum Thyroglobulin and Whole Body Scan after 200mCi $^{131}I$ Treatment in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 이창희;윤종길;정상훈;권교선;최창운;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1-459
    • /
    • 1995
  • Thirty-eight patients with metastatic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reated with 200mCi $^{131}I$ were studied. There were false negative serum thyroglobulin values during TSH suppression or at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discrepancies between findings of whole body scan and serum thyroglobulin level. After one to five cycles of 200mCi $^{131}I$ therapy, complete remission and partial remission were achieved at 5.3% and 57.9%,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all of serum thyroglobulin,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131}I$ or $^{123}I$ whole body scan were necessary in follow up of metastatic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lso, if there was no response after repetitive 200mCi $^{131}I$ therapy, higher doses of $^{131}I$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PDF